안양지역얘기/담론 635

[이동현]의왕 부곡동 소중한 이웃, 맹꽁이와 수달의 생태 이야기

부곡동 지역학 3부. 부곡향토문화연구회 활동 부곡동의 소중한 이웃, 맹꽁이와 수달의 생태 이야기 이동현(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사무차장)1.사라지는 이웃에 대한 기록 왕송호수는 사람에게는 평온한 쉼터이고 야생동물에게는 치열한 삶터이다. 왕송호수는 본래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조성된 인공 저수지였으나, 이제는 수도권의 철새 도래지로 중요한 야생동물 서식지로 알려지고 있다. 왕송호수 일대의 수변공간은 생물다양성 보전의 역할만이 아니라 도시의 무분별한 팽창을 막는 녹지축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한다. 왕송호수의 생태환경적 위상은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더 중요시될 것이다. 왕송호수 일대에는 수달(멸종위기 I급)과 삵(멸종위기 II급)을 포함해 8종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양서류는 맹꽁이(멸종위기 II급)와 ..

[최승원]토지대장 기록으로 본 안양 유유산업 터 이야기(2025.11.19)

안양 유유산업터 이야기안양리 석수동(남자하)221의2는 소화11년 215번지 거주 조재0 소유로 기록하고 4292년 본장에 기록하고 4289년 사태현으로 기록되고 4294년 212-1 주소인 유특한이 소유권 이전 1965년 주식회사유유산업(충무로2가7)으로 기재된다.석수동215의1-215 1946년 거주 조주현이 소유하고 4289년 사태현(안양의집 원장)이 소유하고 4294년 212의1에 주소인 유특한에게 소유권 이전된다.216번지는 1946년 208 주소인 조창현에 소유권이전되고 4294년 208 주소인 한창희에게 소유권 이전되고 4294년 (주)유유산업이 소유권 이전한다.215의3은 4293년 1960년 238 주소인 사태현이 잡었고 4294 212외1 유특한이 소유권 이전한다.315의 2는 1946..

[오숙경]2004년 안양천 다녀가신 제인구달 추모(2025.10.03)

2025.10.03/ 담론 #글 #안양 #오숙경 2025년 10월1일, 제인구달을 추모하며2004년, 제인 구달 박사가 안양천을 찾았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을 때, 제안에 조용한 울림이 일었습니다. 그녀는 평생을 침팬지와 숲을 넘어, 인간과 자연이 맺는 관계를 일깨운 분이었습니다. 건축을 하는 사람으로서 저는 그녀가 남긴 메시지—모든 생명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를 삶과 작업 속에 새깁니다.이제 안양천은 국가하천으로서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안양천이 단순히 정비된 물길이 아니라, 시민의 문화와 삶을 품고, 생태의 다양성을 키워내는 공간으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그것이 제인 구달이 남긴 발자취와도 맞닿아 있다고 믿습니다.안양을 살아가는 한 시민이자 건축가로서, 안양천이 우리 모두의 삶을 풍요롭게 ..

[오숙경]안양 구도심, 우리가 잃어가고 있는 것들(2025.11.13)

2025.11.13/ #담론 #글 #오숙경 #안양안양의 오래된 골목을 걷다 보면, 도시가 우리에게 말을 거는 순간이 있습니다.차곡차곡 쌓인 시간의 냄새, 오래된 기와에 내려앉은 햇볕,시장 골목을 채우던 소리, 그리고 그 속을 살아온 사람들의 사연들.그 모든 것이 이 도시의 얼굴이자, 우리가 매일 무심히 스쳐 지나가던 풍경이었습니다.그런데 요즘 이 얼굴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습니다.재개발이라는 이름의 거대한 시간의 톱니가 돌아가기 시작하면서,오래된 도시의 결은 어느새 얇게 갈려 나가고 있습니다.많은 시민들은 “경제적 이익이 크다”는 이유로 재개발을 당연한 미래처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그러나 지역을 사랑하는 건축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저는 감히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얻는 것이 있으면, 분명 잃는 것도 ..

[20251107]문화기획자 박이정의 안양 구석구석 이야기

문화기획자 박이정이 쓴 안양이야기 시리즈 글구석 현장을 찾아다니며 발로 쓴 글이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문화기획자 박이정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sssomina 2024 안양(1)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안양 빵투어?) https://blog.naver.com/sssomina/223646940019 2024 안양(2) 여기 내 자리가 있겠구나, 딱 아는 순간 https://blog.naver.com/sssomina/223649945818 2024 안양(3) 반듯반듯, 평면적인 계획도시의 울퉁불퉁한 공공미술 APAP 평촌투어 https://blog.naver.com/sssomina/223657950583 2024 안양(4) 안양 4대 떡볶이의 최종 승자와 범접할 수 없는..

[이현정]살려낸 것과 버려진 것으로 안양을 기억하다(2016.09.28)

중부일보[경기도 근대문화유산을 찾아서] '애써 남겨놓은' 또는 '그저 남아있는' 도시의 흔적2016. 9. 28. 19:05건축학박사 이현정https://blog.naver.com/jung36kr/220823210465 살려낸 것과 버려진 것으로 안양을 기억하다. 삼십여 년 전에 안양은 흰 연기를 뿜는 공장이 많으면서도 포도와 딸기 농사가 유명했다. 안양천의 맑은 물 덕분이다. 여름에는 안양유원지로 사람들이 몰려 북새통을 이뤘다고 한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기차를 타고 떠난 여행에서 물놀이하며 포도를 먹는 것은 최고의 휴가였을 것이다. 공업과 농업을 적절하게 유지하던 안양은 1990년대에 공장이 이전하고 평촌 신도시가 개발되며 큰 변화가 있었다. 없어진 곳은 손에 꼽을 수도 없고 대부분 아파트 단지..

[한경석]나의 작은 시네마 천국-안양의 극장들(2015.12.23)

[한국영상자료원]NUOVO CINEMA PARADISO 나의 작은 시네마 천국by.한경석(팝음악 전문 매거진 비굿 편집장) 2015-12-23원문보기 https://www.kmdb.or.kr/story/165/4552 내가 태어난 곳은 서울 영등포. 엄연히 서울이지만, 4대문 안이거나 4대문 근처는 아니다. 초등학교 졸업 전까지 서울 끝자락 시흥시와 경기도 시흥군을 거쳐 충청도를 누빈 후 초등학교 6학년 때 정착한 곳이 안양. 이렇게 변두리만 돌아다닌 탓에 서울 도심 개봉관에서 영화를 보는 호사는 대학 입학 이후에야 누릴 수 있었다. 사실 중고등학생 시절 극장 스토리는 너무나 뻔해 특별한 게 없다. 누구나 그렇듯 학생 단체관람으로 극장을 가거나 방학을 노려 개봉하는 애니메이션을 때맞춰 보는 게 전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