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사진읽기 636

[20250219]1925년 일본군이 지나가는 안양역 앞 풍경

2025.02.19/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일제강점기 #일본군 #안양 #since1925/ 1925년 일본군이 지나가는 안양역앞 풍경. 국립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소장한 엽서에 안쇄된 사진으로 일본력 대정13년(1925년) 어느날 일본군 제20사단 병력이 추계연습차 경성(서울)에서 군포장 인근으로 가기위해 안양역 앞 통과하는 모습이다. 사진 좌측 뒷쪽의 높다란 2그루 나무를 볼때 민속학자인 석남 송석하 선생이 1934년 2월 20일 촬영한 안양역 앞에 있던 미륵당과 안양음식점 사진속 현장으로 보여 안양역이 사진 좌측 초가집 뒤에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원본: 해상도 3576 * 2500명칭: 大正十三年第二十師團秋季演習, 步七九安養驛前通過국적/시대일본 - 근대분류..

[20250219]1970년대 초 시흥군 안양읍내 원도심 풍경

025.02.19/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항공사진 #안양/명칭: 시흥새마을화보소장: 시흥오이도박물관원본 해상도 6254 * 4170크기: 가로 18.9cm, 세로 26.3cm분류: 소장품번호구입 105 1970년대 초반 안양 중앙로 안양6동 현 은혜와 진리교회 사거리 정도 하늘에서 석수동 방향으로 찍은 항공사진으로 시흥군이 발행한 시흥새마을화보> 표지에 실린 사진이다. 사진 윗쪽이 석수동삼거리 방향이며 아랫쪽이 구 경찰서사거리 방향이다. 사진 중앙의 황토빛 비포장도로가 중앙로이며 사진 중간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황토색 흙길 주변은 교하동(현 안양5동)으로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 위로 안양초등학교가 있다. 비포장도로는 비산동(현 비산대교)으로 가는 방향이다. 비포장 도로 위로 버스들이 주차된 모습..

[20250215]1982년 영업 개시 당시의 안양 석수역

2025.02.15./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석수역 #since1982/ 석수역은 1982년 역사가 신축 준공되며 경부선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공사비가 387백만 원으로 233.7㎡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상 3층 건물로 지어졌으며 이후 1992년 운전간이역으로 승격하였으나 199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격하되었다. 이 역은 1974년 경부선의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때는 없었다가 1982년에 경부선 영등포~수원 2복선화에 맞춰 신설된 역이다. 공사 당시의 가칭은 삼막역이었다. 경부선 영등포~수원 2복선화는 1981년에 완료되었는데 왜 1982년에 개통되었느냐 하면, 승강장은 2복선화를 겸해 다 만들었는데 예산 부족으로 역사 완공이 1982년으로 연기되었기 때문이다. 그래..

[20250213]의왕 하우고개 가던길 1980년대 청계삼거리

2025.02.12/ #아카이브 #엣사진 #기록 #의왕/ 안양 인덕원사거리에서 성남가는 길(현 안양판교로)의 1980년대 청계삼거리 풍경이다. 사진은 의왕문화원에 발굴한 기록으로 삼거리 정면의 2차선 도로는 하우현성당이 있는 원터를 지나고 청계공동묘지가 있는 하우고개를 넘어 성남가는 길이고 우측은 청계저수지(현 백운호수)로 가는 길이다. 현재 안양 판교로라 통칭되는 이 도로는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사거리에서 경기도 의왕시를 경유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백현1교차로까지를 잇는 길이 12.3km의 도로로 57번 지방도에 포함된다. 원래는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이 길은 안양공동묘지 한복판을 통과해서 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넘어가던 가로수가 울창한 2차로 도로였는데 계속되는 ..

[20250212]1970년대 다운타운 태평방직과 구시장 이야기

2025.02.12./ #안양 #도시 #마을 #동네 #골목 #옛사진 #안양1동 #태평방직 #구시장 #수푸루지 #임곡교 #안양천 #시대동/ 안양3동의 금성방직과 함께 1950-70년대 굴뚝공장 산업단지 안양을 상징하던 안양1동의 태평방직과 주변 풍경으로 국가기록원 자료에서 찾아낸 1970년대 모습이 담긴 사진이다.사진 중앙의 거대한 공장이 안양3동의 금성방직과 함께 시흥군 지역 경제를 살리던 태평방직이다. 사진 좌측위로는 안양천이 보이고 사진 우측 아래로는 경부선철길과 1번국도가 보인다. 사진 좌측 아래 주택들이 보이는 동네가 당시 시대동(안양1동)과 안양시장(구시장)으로 1950-60년대 안양의 다운타운이었다. 사진 가은데 위 안양천에 다리 교각이 보이는데 비산대교가 개통되기 전으로 안양시내에서 비산동을..

[20250211]안양천 쪽다리와 삼영농장과 기독보육원

2024/02.11/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기억 #안양 #since1960/ 안양박물관에서 VTR로 방영하던 안양의 옛모습 영상중 한컷으로 1960년대 안양2동으로 망해암과 안양풀 가기위해 안양천을 건너던 지름길인 나무다리와 뒤로는 별장같은 건물이 자리한 삼영농장(현 대우아파트)이 엿보인다. 사진속 당시는 양명고와 양명여고가 자리하기 이전으로 나무다리를 건너 좌측은 안양기독보육원(현 좋은집), 우측으로는 삼영농장이 있었으며 쪽다리를 건너 보육원과 농장 가운데 사잇길을 지나 쭉 가면 망해암 올라가는 산길이다. 당시는 망해암 뒷산(현 비봉산)을 깍아 개설한 경수산업도로가 생기기 전이다. 1970년대 경수산업도로(현 1번국도)가 놓여지면서 산 끝자락에 있던 삼영농장과 안양기독보육원 땅이 많이 훼손됐다...

[20250204]한국전쟁 당시 치열했던 안양에서의 전투 영상

2025.02.04/ #아카이브 #기록 #영상 #한국전쟁 #안양/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서 발견한 한국전쟁 당시 안양지역에서의 전투 기록.1951년 2월 7일 영상을 촬영한 곳이 안양이하고 표기된 기록을 보면 안양에서 서울로 진격하는 미군들과 함께 치욜한잔투장면이 담겨있다. 화면에는 수리산을 배경으로 현재의 안양2동과 석수동 일대, 경부선철길, 안양철교, 유원지입구옆동산(현 좋은집뒷산), 삼성산, 꽃메산, 와룡산, 만안교 등의 모습이 담겨있다. 27 INF 부대(울프하운드)가 포격을 받다나이드:23233지역 ID:111-ADC-9468제작:1951년 2월 7일장소: 안양(한국) 샷 리스트요약: LS, M-16 다..

[20250203]한국전쟁 안양 전투( 미군과 중공군)

2025.02.03/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한국전쟁 #안양/ 1951년 5월5일의 한국전쟁 안양 전투( 미군과 중공군). 소대장이 무선으로 본부와 연락하는 모습, 한국전쟁 당시 미 27보병연대, 25보병사단 "B" 중대원들이 한국 안양리 근처에서 중국 공산당 적군을 향해 진군하고 있다.  사진: 사진작가: JE Northcutt 미 육군 미 국립문서보관소에서 발견Collection HST-PHC: Photograph CollectionSeries: Photographs Relating to the Administration, Family, and Personal Life of Harry S. Truman한국전쟁에서 적군을 상대로 진군하는 군대나이드: 348338123지역 ID: 2007-471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