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99

[20250605]1975년 8월 안양 6.8동 경계 <문예로>와 주변

2025.06.0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문예로/ 1975년 5월에 찍은 안양시 안양 6동과 8동 모습이 담겨있는 사진으로 안양시청 홍보실에 근무했던 이정범 선생이 기록한 자료다. 사진 위로 보이는 산은 수리산으로 사진 좌측에 성문여중고 학교 건물이 담겨있으며 성결대학교 건물은 보이지 않는다. 사진 중앙의 도로는 지금의 안양 만안구청 사거리에서 안양아트센터(구 문예회관)-명학성당-냉천로와 연결되는 문예로 길로 도로 포장 공사가 진행중으로 보인다. 지금의 문예로에는 하늘로 쭉쭉 뻗은 메타쉐콰이어 나무가 멋진 가로수길을 민들고 있으나 당시에는 나무가 보이지 않는다. 안양6.8동 경계 문예로를 비롯 안양8동 냉천로, 안양양6동 소곡로, 언영6동 옛검역원 주변 도로 가로수가 메타쉐콰이어 나무가 ..

[20250602]1973년 안양 명학사거리(현 성결대사거리) 주변

2025.06.02/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since1973/ 경기도 시흥군 관내에 있던 안양읍이 시로 승격하던 해인 1973년에 찍은 안양명학사거리주변의 모습로 1973년 6월13일자 조선일보에 게제된 안양 르뽀 기사에 포함된 사진 기록이다. 명학사거리는 현 성결대학교사거리로 사진 중앙의 도로가 안양읍내를 관통하는 안양로이며 도로를 경게로 왼쪽은 안양8동, 오른쪽은 안양6동이다. 명학사거리 오른쪽의 나무숲이 있는 곳이 현재의 명학공원이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경기도 가축위생시험소와 잠사연구소가 있었으며 콘크리트 토굴과 빨갛게 익은 오디가 주렁주렁 열리던 뽕나무가 많았다. 사진 오른쪽에 지니가는 버스 옆으로 건물이 보이지 않지만 안양경찰서 건물이 있었다. 안양경찰서가 있던 곳은 안양6동 576-1..

[20250516]1940년대 의왕 일왕면사무소 직원들 기념사진

2025.05.16/ #도시기록 #옛사진 #의왕 #기록/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의왕 고천동(당시 화성군 일왕면 시절) 옛모습. 당시 행정기관인 일왕면사무소에 근무하던 직원들로 추정되는 기념사진으로 의왕문화원 아카이브 자료다.이 사진을 발굴한 의왕문화원 박철하 향토연구소장에 의하면 일왕면사무소는 지지대고개 너머 경수대로 1220번길 23 근처에 있었다고 한다.

[20250516]의왕 오전1리 국가재건최고회의 총무처 자매결연(1960년)

2025.05.16/ #도시기록 #옛사진 #의왕 #기록/ 의왕의 1960년대 일왕면 시절 옛모습. 경기 화성군 일왕면 오전1리(현 고천동)와 당시 중앙 정부인 국가재건최고회의 총무처 자매결연(1960년)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소장 중심의 주체세력이 1961년 6월 6일 제정 · 공포된 '국가재건비상조치법(國家再建非常措置法)'에 의해 최고통치기구였다. 1961년 5월 16일 구성된 군사혁명위원회는 입법 · 사법 · 행정의 3권을 완전히 장악하여 국회와 지방의회를 해산하였다. 군사혁명위원회는 5월 18일 장면 국무총리로부터 계엄령 추인과 함께 정권을 인수받자, 5월 19일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라 개명하고 5월 20일 혁명내각을 발표함으로써 군사정부를 수립하였다. 제3..

[20250511]1984년 안양노동상담소 개소식 & 당시 민주인사

2025.05.12/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since1985/ 1985년 8월22일 전태일 기념관에 개설한 안양노동상담소 개소식 사진으로 박용수님이 기록하고 민주화기념사업회에 기증돼 아카이브 되어있다. 사진출처: https://archives.kdemo.or.kr/photo-archives/view/00756530 사진속에는 1980년대 민주화청년운동연합 의장을 지내는 등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민주화운동가로 활동했던 고 김근태선생, 전태일열사 어머니 고 이소선여사, 안양노동상담소 초대 소장으로 활동했던 송운학소장(현 촛불계승연대 상임대표), 최근 국민의힘 대통형 후보가가 된 김문수 등 당시 걸죽한 민주 인사들이 모습이 담겨있다. 안양지역의 노동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인천, 성남,..

[20250512]1970년대 의왕 왕송호수 낚시꾼 운송 나룻배

2025.05.12/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의왕 #왕송호수/ 의왕 왕송호수에서 낚시가 허용되던 시절인 1970년대 서울과 수도권에서 낚시꾼들이 몰려들었다. 나룻배 뒤로 보이는 것처럼 당시 왕송호수 곳곳에는 낚시꾼이 앉아 낚시를 할수 았는 좌대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곳으로 낚시꾼을 실어나르기 위한 나룻배가 다녔다. 사진출처; 의왕문화원 의왕시 관내에는 농업용수로 이용하던 저수지가 3개나 있다. 청계동의 백운호수, 부곡동의 왕송호수, 오전동의 오매기저수지.왕송호수(旺松湖水)는 경기도 의왕시 남부, 황구지천 상류에 위치한 제방 길이 640 m, 높이 8.2 m, 만수면적 0.96 km2의 호수이다. 1948년 1월에 준공되었으며, 이름은 설치 당시 수원군 일왕면의 '왕'과 매송면의 '송'자를 따서 붙여..

[20250508]1968년 안양유원지에 있던 은하수 뽀-드장

2025.05.08./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안양유원지 #은하수뽀드장 #since1968/ 사진속 풍경은 안양유원지(현재의 안양예술공원)에 있던 은하수 보드장으로 1968년에 찍은 기록이다. 사진속 쁘드장 위치는 현재의 안양예술공원 초입 과거 공짜풀이 있던 곳으로 여름 피서철이 끝나면 뽀드장으로 이용했다,1960-70년대 운영되어 온 안양유원지 보트장은 한여름 피서철뿐 아니라 여름이 끝나고 물놀이를 못하게 되면 인공수영장도 보트장으로 탈바꿈하여 운영했는데 안양유원지 초입에 있던 공짜풀장과 안양유원지 중간 계곡(현 파빌리온 앞 용의눈물 분수 조형물 있는 곳)을 비롯 유료풀장으로 인공수영장이었던 대영풀장(현 워터렌드 자리), 만안각수영장 등에서 초가을까지 보트장으로 운영돼 다소 늦게까지 열리는..

[20250507]새싹회 주최 소파상 수상한 오긍선박사(1962년)

2025.05.07/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오긍선박사 #안양기독보육원 #소파상1962년 새싹회 주최 소파상을 수상한 오긍선박사가 안양기독보육원에서 원생들과 찍은 시진으로 정부기록 사진집(https://www.ehistory.go.kr/view/photo?mediasrcgbn=BK&mediaid=11&mediadtl=1435&mediagbn=BK)에서 발견했다.사진 제목으로 새싹회 주최 소파상 시상식(오긍선 씨), 촬영일은 1962.11.15, 촬영장소는 미상으로 되어있다. 사진 설명으로는 새싹회가 주최한 소파상 시상식 직후 수상자 오긍선씨(사진 중앙)와 자리를 함께한 어린이들로 표기돼 있다. 사진 찍은 장소가 사진 배경 뒷편의 콘셋트 막사를 볼때 안양기독보육원(현 좋은집)의 예배당(현 양명고 테니..

[20250506]1970년대 의왕 덕장초교 가는 길 도로 정비

2025.05.06/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의왕/ 1970년대 의왕 덕장초등학교 가는길(현 안양판교로 덕장삼거리에서 덕장로). 주민들이 도로 정비를 하고 있다. 출처: 의왕문화원 아카이브에서 입수 의왕 청계산 청계사 가는길 초입에 자리한 덕장초교는 1944년 4월1일 개교했으니 2025년 현재 81년의 역사를 지닌 학교다. 기록을 찾아보니 덕장이란 아주 먼 옛날 조선 중엽 좌참찬을 역임한 채세영(1490~1563)의 큰 별장이 있었다 해 덕장골이라 부르게 됐다고 한다. 덕장초교는 1944년 4월1일 고천초등학교 청계분교장으로 설립, 1949년 3월25일 덕장초등학교로 승격돼 오랜 역사를 지녀 덕장초교에는 여타 학교에는 없는 역사관이 있다. 지난 2004년 5월 29일에 개교60주년 기념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