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839

[20251020]안양포도 표기된 1967년 한국관광안내도

202510.20/ #옛지도 #한국관광안내도 #since1967/ 안양포도가 표기된 한국관광안내도. 1967년 발행된 이 지도에는 안양의 특산물인 포도가 안양을 대표하는 주요 관광 상품이었음을 알리고 있다. 안양 포도는 부천의 복숭아,수원의 딸기와 함께 경기 3미로 불리우며 교과서에도 실렸을만큼 이름을 날렸다. 1967년 9월 15일 경기도 안양 경향포도조합에서 국내 최초 양조포도주를 생산했다는 기록을 보더라도 안양포도는 명물이었다. 과거 1970년대에는 포도밭이 90ha에 달할 정도로 안양 곳곳에 포도밭이 있었다. 그러나 80년대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에 밀려 안양포도가 점차 자취를 감추자 안양시는 1995년 '안양포도'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품질인증과 고유의 디자인을 넣은 포도 박스 등을 지원하고..

[20251018]1957년 동양 최대 규모 스튜디오 안양영화촬영소

2025.1018/ #아카이브 #안양 #옛사진 #기록 #안양촬영소 #since1957/ 한 한국영상자료원 기록물. 1957-00-00 ~ 1975-00-00수도영화사(대표 홍찬)가 1957년, 경기도 안양에 대지 32,000평, 건평 5,400평 규모로 건설한, 당시 동양 최대 규모의 스튜디오로, 이곳에서 창립작품 이 제작되었다. 안양촬영소는 촬영소 규모 뿐 아니라 시설과 설비 면에서도 '동양 최대'임을 자랑했는데, 당시로서는 접하기 힘들었던 미첼NC카메라 3대와 웨스트렉스 녹음 시스템 일체를 구비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안양촬영소는 을 비롯해 제2회 작 (박상호, 1959)의 잇다른 흥행 부진으로 수십억 원의 부채를 떠안게 되었고, 결국 1959년 4월 부도 처리되어 상업은행의 관리로 넘어갔다. 이후 ..

[20251014]1956년 수도영화사 안양촬영소 정초식 & 상량식

2025.10.14/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since1956/ 1956년 10월 17일 시흥군 안양읍 석수동(현 석수현대아파트 자리)에서 열린 수도영화사(대표 홍찬) 안양촬영소 정초식 및 상량식 현장.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 속 여러 장에 걸쳐 발견되는 일련의 사진들에는 수도영화사 사장 홍찬과 현제명 박사, 문학가 박계주와 조경희, 시나리오 작가 유한철과 이진섭, 영화평론가 임영과 허백년, 스틸 작가 백영호, 감독 한형모, 배우 이민과 유계선 등의 인물들이 포착되어 있다. 생전 이 사진을 소중히 보관하고 있었던 촬영감독 김학성의 모습 역시 박혀있다. 한국영상자료원 기록 https://www.kmdb.or.kr/story/836/8311

[20251014]1911년 독일 선교사 기록한 과천 향교(유리원판)

2025.10.14/ #아카이브 #기록 #엣사진 #과천향교 #since1911/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소장 유리원판 기록물소장처 관리번호10/0982 Ko시대1911크기9.9×15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과천향교자료분류유리원판조사기관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보고서 바로가기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아카이브 소장 한국사진출판정보국외소재문화재재단, 『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아카이브 소장 한국사진』, 서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24.「과천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20251009]일본 대정8년(1919년) 군포장(軍浦場) 지도

2025.10.09/ #옛지도 #군포장 #since1919 #軍浦場 #대정8년 군포장 지도국립새만금건척박물관 소장원본 해상도 3000 * 2000지도 출처 및 확대보기https://www.emuseum.go.kr/IMG/bG50aGwwMzNjNzFEYzR6RDBMM0ltSC9pb01KWkRhejA4WXpuRnpONFBOQTlrWHRtWFpvRFpoRmN2TGVKeGFkOFFHVHBaM09iRW1oRFgyWWJwL1B6bndHbEdoTjJaZEk4 1919년(일본 대정8년) 제작한 '군포장'지도로 당시의 안양.군포.의왕 일대 모습을 볼수 있는 근대 지도이다. 일제는 조선을 강점하고, 통치차원에서 일본군 육지측량부대를 비밀리에 파견하여 조선인 측부를 고용하여 조선 땅을 측량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 강제 ..

[20251009]일본 소화7년(1932년) 군포장(軍浦場) 지도

2025.10.09/ #옛지도 #군포장 #since1932 #軍浦場 #소화7년 군포장 지도화성시역사박물관 소장원본 해상도 14001 * 11330지도 출처 및 확대 보기https://www.emuseum.go.kr/IMG/cVRiNS8vOEFTN2wrQVhEQ0w0b2tlUEVuQ3lKSzlBRGtIRWdBYTFhQ3Y0UHZTZmR3ZHlGMDMveDRrazFKdlNYaWo5TW5WNm5ZWVlqZzFDaUZPUWtscGc9PQ== 1932년(일본 소화7년) 제작한 '군포장'지도로 당시의 안양.군포.의왕 일대 모습을 볼수 있는 근대 지도이다. 일제는 조선을 강점하고, 통치차원에서 일본군 육지측량부대를 비밀리에 파견하여 조선인 측부를 고용하여 조선 땅을 측량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 강제 합방 전까지 ..

[20251008]1973년 안양유원지 만안각 수영장의 뽀드장

2025.10.08/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안양유원지 #뽀드장 #since1973/ 사진속 풍경은 안양유원지(현재의 안양예술공원)에 있던 만안각 수영장으로 1973년에 찍은 기록이다. 도로변 수영장 난간에 뽀드장이 현수막이 내걸렸다.. 만안각 수영장이 뽀드장으로 홣용된 사실은 이 사진 기록을 통해 처음 알게됐다.1960-70년대 운영되어 온 안양유원지 보트장은 한여름 피서철뿐 아니라 여름이 끝나고 물놀이를 못하게 되면 인공수영장도 보트장으로 탈바꿈하여 운영했는데 안양유원지 초입에 있던 공짜풀장과 안양유원지 중간 계곡(현 파빌리온 앞 용의눈물 분수 조형물 있는 곳)을 비롯 유료풀장으로 인공수영장이었던 대영풀장(현 워터렌드 자리), 만안각수영장 등에서 초가을까지 보트장으로 운영돼 다소 늦게까지..

[20251007]1873년 조선국전도(朝鮮國全圖) 금천.과천 표기

2025.10.07/ #고지도 #since1873 #조선국전도 #금천 #과천발행년도 : 1873년제작자 : 林子平크기 : 54*78 임자평(林子平)이 발간한 삼국통람도설 중 '조선국전도'를 보고 목판으로 찍어 만든 것이다.울릉도에 '우산국'표기가 있고, 도별 채색을 달리하고 있으며, 방위 표시가 한글로 표기되어 있다. 목판인지 동판인지 정확하지는 않으나 목판으로 추정된다. 삼국통람도설 발간 이후 그것을 보고 직접 그린 지도는 많으나 목판본은 귀한 편이다.

[20251006]1966년 발행 서울도시계획행정망도 안군의

2025.10.06/ #옛지도 #since1966 #안군의 #서울특별시 도시계획행정망도 서울특별시도시계획행정망도발행년도 : 1966크기 : 78*1081966년 6월 5일 한국지도공업사에서 발행한 서울특별시도시계획행정망도는 1:50.000만 지도로 서울중심부로 부터 8키로,15키로 반경내 행정망 계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시 도 읍간 경계, 철도, 도로와 지형현화에 대한 참고 범례를 표기하고 있다.특히 당시 사흥군 안양읍, 남면(군포), 의왕면, 과천면 등 현 안양권의 지형은 동네 지명까지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