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자료 433

[20250408]1910년 설립된 안양 부림말교회(동은교회) 문헌 기록

115년전 옛 부림말 교회의 뿌리를 잇는 현 동은교회는 안병인 사무장 등 원로 교인들과 기록의 중요성을 알고 계시는 분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발견한 초창기 부림말교회의 당회록, 영수증 등 옛 문건을 잘 보관해왔으며 지금도 교회의 역사와 뿌리찾기 계속하고 있다. PDF자료 작성 및 제공: 안양 동은교회  부림말교회는 1910년 안양시 관양동(현재 동편마을)에 설립된 안양 최초의 장로교회다. 교회가 있던 장소는 수차례 이전했지만 안양시 관양동 1476-9(안양시 동안구 관악대로434번길 27)에서 동은교회로 명칭을 바꿔 달고 1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조선예수교장로회 사기와 당회록에 따르면 1910년 4월 15일 미국산교사 피득(Alex A. Pieters) 선교사가 문학선 씨에게 복음을 전파하며..

[20250408]안양 만안초등학교 제7회(1969) 동창회 졸업 사진첩

안양만안초등학교 7회동회는 졸업앨범이 없었다. 다만 졸업식장에서 반별 사진 한장만 받았을뿐이다. 이에 7회 동창들은 1999년 동창회를 만들면서 각 반별 사진을 모아 30년이 지난후 자체 즐업 앨범을 만들었다. 이 자료는 그때 만든 사진첩이다. 만안초등학교 제7회동창회 창립총회 경과보고일시: 1999년 12월 11일 17시-22시장소: 안양 신도웨딩홀참석: 약 100여명⊙ 경과보고▣ 1970/02/11 만안초등학교 제7회 졸업▣ 1999/06/20 만안초등학교 동창회 준비에 대해 논의(송봉섭,최병렬,권혜순,박청희외)▣ 1999/07/09 동창회 창립준비 예비모임[삼원프라자호텔](남:송봉섭,최병렬,김영호,신원철,홍순학,하재남,이천수,남주우,송교철외)(여:염경일,염은행,이창임,이혜경,임명자,박청희,권혜..

[20250408]안양 동편마을 다큐영화 제작 기록 소환(2005.02.22)

2022.01.10/ #기록 #기억 #안양 #동편마을 #영화 #독립영화 #댜큐/ 책장과 박스속의 오래된 옛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발견한것은 2005년 안양에서 제작하려던 다큐멘터리 영화 '동편마을' 작품 개요와 시놉시스 그리고 당시 신문 기사의 자료들이다. 지난 2004년 영화에 관심있거나 관계하는 젊은 청년 영화인들이 안양에서 안양독렵영화협회를 출범( 총무 김병옥)하고는 변방영화제를 두차례 열기도 했다. 그들이 안양시의 지원을 받아 다큐영화를 만들겠다는 것이었는데 어찌된일인지 유야무야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당시 안양시는 관양동 동편마을을 개발해 국민임대주택을 지으려는 정부와 LH에 맞서 거세게 반대했지만 결국에는 관악산 남동쪽에 자리한 자연부락으로 안양에서 마지막으로 논농사를 짓던 부림말과 둥편말은 완전..

[20250407]조선총독부 기록한 안양 중초사지 일대 유물 목록

[자료] '고적급유물등록대장' 등재 안양 중초사지 일대 유물 목록조선총독부 학무국 고적조사과, 대정13년 4월 현재) 고적급유물등록대장초록> (조선총독부, 1924) [아래의 유물목록은 1916년 제정 '고적급유물보존규칙(고적급유물보존규칙)'에 따라 등록된 고적 및 유물 목록에 포함된 것으로, 나중에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보물지정이 이뤄질 때에도 기초자료로 그대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아래의 목록을 보면, 지금은 보물지정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안양석수동마애종'도 한때나마 여기에 포함되어 있었던 사실이 흥미롭다]  등록번호 제6호 중초사지당간지주(中初寺址幢竿支柱) 종류 및 형상대소 : 화강석의 당간지주로 높이 12척, 폭 1면 1척8촌, 1면 1척3촌으로 기반 높이 1척.소재지 : 경기도..

[20250331]김부식이 지은 안양사(安養寺) 칠층탑명 탁본

2025.03.31./ #아카이브 #기록 #탁본 #유리건판 #since1931/ 안양사 칠층탑명 탁본일제강점기 당시인 1931년 유리 건판으로 기록한 안양사 칠층탑명 탁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안양시향토문화사료에 따르면 이 비문(碑文)은 삼국사기( 三國史記)의 저자인 김부식(金富輯)이 지은 것으로 대동금석서(大東金石)에 탁본(招本)만이 실려 있다. 이 비문은 안양사(安養寺)에 관한 비문은 분명하지만 왕건이 안양사를 창건할 당시 세웠던 칠층 벽돌탑을 위한 탑비(搭牌)는 아니고 그 당시 이 절의 고승인 속성 고씨(高氏)를 위한 비가 아닌가 생각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재질: 유리크기: 가로 25.2cm, 세로 30.3cm소장품번호: 건판 16995촬영연도: 1930 ~ 0건판크기: 대판소장품설명원..

[20250331]관악산 연주대(戀珠臺) 관광 안내 전단지

2025.03.31/ #아카이브 #기록 #전단지/ 관악산 연주대 관광안내 전단지안양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연주대 안내전단이다. '서울교통주식회사' 제작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연주대 지도와 자사 광고가, 후면에는 관악산과 연주대의 이력에 대해 나와있다.출처: e뮤지엄, 전국박물관소장품 검색원본 해상도 1151 * 822명칭:관악산 연주대 관광 전단지(冠岳山戀珠臺觀光傳單紙)크기:가로 26.4cm, 세로 21.1cm소장품번호: 안양박물관 신수 150

[20250327]안양 향토문화 <만안답교놀이> 실태조사

답교놀이는 정월 대보름날 다리를 밟고 노는 세시풍속의 하나입니다. 1987년 실태조사를 통해 안양에서는 호계지역과 만안교지역에서 답교놀이가 성행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식민착취에 따라 경제적 여유가 점차 없어지면서 1920~30년경에 사라졌다고 한다. 안양만안답교놀이는 실태조사와 원로들의 고증을 통해 호계지역의 답교놀이와 만안교지역의 답교놀이를 실존하는 만안교(경기도 유형문화유산)를 중심으로 복원한 것으로 놀이는 길놀이, 다리밟기놀이, 무동춤놀이, 선소리꾼놀이, 대동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1988년 첫 재현이 이루어졌으며, 1989년 제6회 경기도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첫 출전하여 공로상을 받았다. 현재 안양만안답교놀이보존회에서 전승하고 있으며, 매년 정월대보름 시기에 시민과 함께하는 대동놀이로 재현되..

[20250326]사근참행궁(肆覲站行宮)과 화성(華城) 축성 고찰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272-2번지 구 고천동주민센터 자리에는 의왕시청 별관이 있는데, 입구에는 눈에 띄는 표석이 하나 있다. 표석의 전면에는 사근행궁 터가 새겨져 있어 이곳이 과거 사근행궁(肆覲行宮)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행궁(行宮)이란 왕이 거동할 때 머무는 임시 궁궐로, 그 목적은 화성행궁(華城行宮)처럼 능행을 목적으로 하거나 온양행궁(溫陽行宮)의 사례처럼 온행,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行宮)처럼 전쟁 시 피난 등의 다양한 목적이 있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현륭원으로 옮기면서 수원에 새로운 성을 쌓아 도시를 형성하고, 수원에 이르는 경유지마다 행궁을 설치하였다. 모두 6개소의 행궁이 설치되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현 고천동주민센터 자리에 있던 사근행궁(肆覲行宮)이다.  사근행궁은 ..

[20250325]잊혀진 독립운동가, 의왕 하우현성당 윤예원 신부

구한말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의병항쟁을 비롯해 많은 민족해방운동이 일어났을 때, 한국 천주교회의 인사들 가운데도 의분을 참지 못해 독립운동에 참여한 이들이 많았다. 그들은 평신도를 비롯해 사제와 신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이미 친일로 돌아선 교회지도부의 거부로 종교적-정치적 어려움을 겪었다. 1919년 3.1만세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을 읽은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천주교 신자는 없었지만, 천주교인 역시 겨레의 독립을 바라는 마음은 한결같았다.  당시 천주교회의 주교들은 한결같이 민족의 거사였던 3.1운동을 단죄하였다. 뮈텔 주교는 “우리 천주교 신자들은 이 운동에 가담하지 않음으로써 기존 정부에 대한 충성의 모범을 보였다.”고 하였으며, 대구 교구장이던 드망쥐 주교는 “일..

[20250322]이등박문에 짱돌 던진 원태우지사 사건 기록

2025.03.21/ #아카이브 #기록 #역사 #안양 #항일운동 #원테우 #원태근 #조선총독부 #판결문/한국근대사료 데이터베이스 {주한일본공사관기록·통감부문서} 기록에서 원태우지사의 판결.선고문을 발견했다. 선고문 내용을 보면 그동안 전해지고 있는 것과 다르게 사건을 축소하기 위해 각색한 것으로 보인다.자료에 원 지사의 주소지는 京畿道 果川郡 安養市場 22통 不詳로 기록돼 있다. 이는 현재 원 지사 생가터 표지석이 세워져 있는 안양1번가 농협(현 안양1동)이 아닌 과거 시대동 구시장(현 안양1동)이 아닌가 싶다. 또한 이름과 나이는 元泰根(원태근) 당시 20세로 기록돼 있어 현재 불러지고 기록되는 원태우와 다르다.이는 공식기록을 통해 이름, 사망일자, 이미지 등 가짜 정보가 안내되고 지식백과 등 온라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