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담론 615

[최병렬]안양은 한국 영화의 산실이자 메카였다(2017.03.20)

안양하면 영화를 빼놓을 수 없다. 1960년대 안양시 석수동에 자리했던 동양최대의 종합영화촬영소인 안양영화촬영소가 한국 영화사에 있어 차지하는 위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의 헐리우드로 불리워질 만큼 근대 한국영화의 메카로 지역사 연구는 물론 한국영화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1954년 수도영화사 홍찬 사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종합촬영시설인 안양촬영소를 안양시 석수동에 설립한다. 당시 기공식에 이승만 대통령까지 참석할 정도로 대단했던 이 촬영소는 동양의 헐리우드를 꿈꾸며 3만평의 대지 위에 각각 500평과 350평의 스튜디오, 수중촬영장 등을 갖추고 촬영, 편집, 현상, 미술, 음악, 사진, 소품, 분장 등 모든 분야의 제작이 가능한 시설을 구비하고 있었으며 미국과 영국, 독..

[최병렬]문화유산 안양 소방망루를 아십니까?

소방망루를 아십니까. 통신수단이 귀하던 시절 화재가 났을때 소방차들이 출동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했던 추억과 역사속 유물이지만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안양소방서 안양119치안센터에는 전국에 몇개 남지 않은 소방망루가 현존하고 있습니다. 고층빌딩과 아파트가 숲을 이루는 요즘과는 달리 예전에는 조금만 높은 곳에 올라서면 시야가 넓게 트여 불이 나면 현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루종일 화재를 감시하던 탑을 '소방 망루'라고 하는데 망루위에는 망루 요원이 24시간 주·야로 파수꾼 역할을 하면서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징후가 있으면 타종과 싸이렌을 통해 화재발생을 알리고 출동대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리는 역할을 했지요. 기록을 보면 한국역사상 소방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것은 최..

[최병렬]안양 삼성산에 숨어있는 폐광 '장석광산'

안양지명 유래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천년 고찰 안양사지, 국내에 단하나밖에 없는 마애종을 비롯 수많은 문화유산과 APAP공공예술작품들이 가득한 안양예술공원(안양풀-안양유원지)을 감싸고 있는 안양 삼성산 기슭 현재 까치골이라는 부르는 골짜기에는 오래된 폐광이 하나 있다. 이 광산은 도자기 유약 재료인 장석을 생산하던 ㈜안양장석으로 현재는 옛 건물과 굴 초입의 동굴을 이용하여 음식을 파는 식당(까치골식당)으로 사용중이다. 안양예술공원 입구 주차장 뒷쪽의 안양의집(보육원)에서 왼쪽으로 난 안양노인전문요양시설로 가는 길(까치골)로 접어 들어 새소리가 들리는 산길로 15분여를 올라가면 예술공원로 117번길 112(지번 석수1동 456-7)이라 적힌 녹슨 대문이 보인다. 활짝 열린 대문을 들어서 폐광 입구까지는 5..

[최병렬]없어진 안양 낙원마을과 화심천’(和心泉) 이야기

안양 낙원마을과 화심천’(和心泉) 이야기 안양시 안양2동 낙원마을. 지금은 고급 단독주택단지로 바뀌었지만 이 곳은 불과 10년전인 2004년까지만 하더라도 안양시가 지정한 전통마을이 있던 곳으로 우리나라 고유풍습인 전통 세시풍속을 이어가고 있으며, 절기와 명절 때마다 마을합동으로 행사를 지내왔었다. 낙원마을은 1950년대만 하더라도 험준한 산골이었는데, 1959년경, 박정원와 안학순 부부가 이 마을에 정착하면서 식수를 구하던 중 ‘화심천’(和心泉) 우물을 발견하고 그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이를 식수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부부는 가을이 되면 매년 햇곡식으로 떡과 술을 빚어 제물을 차려놓고 소원과 마을의 평안을 빌었다. 그러던 중 화심천 물이 어느새 건강에 좋다는 소문이 났고, 주변 각지에서는 이 ..

[이한성]안양 미륵불(彌勒佛) 어디로 갔을까?

[이한성]안양 미륵불(彌勒佛) 어디로 갔을까? [이한성 교수의 옛절터 가는 길 - 54]안양 비봉산 ~ 삼성산 절길 부국안민(富國安民)의 꿈, 미륵불(彌勒佛) 어디로 갔을까? [ CNB저널 제389-390호] / 등록일 : 2014.08.04 14:44:02 정조(正祖)는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현륭원(顯隆園)을 수원으로 옮긴 후 자주 원행(園幸)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남태령을 넘는 과천길을 택하였으나 시흥 방향으로 신작로를 뚫어 수원별로(水原別路)가 열리자 이 길을 이용하였다. 가장 장관이었던 원행길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아버지 사도세자가 환갑을 맞은 해인 1795년(정조 19년) 을묘년의 원행이었다. 이 때의 행차(幸次)길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로 기록되어 지금도 그 생생한 ..

[최병렬]오래된 곳 안양 항아리골목 이야기

오래된 곳 안양 항아리골목 이야기 안양에는 골목의 향수를 떠오르게 하며 아직도 정감있게 불리우는 골목이 여럿 있다. 밧데리골목. 변전소골목, 곱창골목, 한복골목 등등.. 1970년대 초반에 생긴 항아리골목도 그중 하나로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초까지 활기를 띠었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안양에도 많은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일자리를 찾아 충청도, 경상도 등지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들며 인구도 늘어나고 당연히 생필품 가게가 줄지어 생겨나기 시작했다. 1977년 중앙로가 개통되면서 안양4동의 새시장(현 중앙시장)은 인근 군포, 의왕, 과천은 물론 멀리 안산, 군자에서도 물건을 구입하러 오는 손님들로 항상 붐빌 정도로 호황이었다. 당시 그릇으로는 양은그릇과 함께 ..

[자료-최고당]군포장(軍浦場)을 아시나요.

군포장(軍浦場)을 아시나요. 군포장 (軍浦場)은 과거 인근 충청도에까지 입소문이 흘러 장돌뱅이들과 장꾼들을 불러 모아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한다. 웬만한 장꾼들이라면 을 모르는 사람들이 없을 정도였다고 하니 그 규모가 얼마나 컸던지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겠다. 어린 시절, 장날은 명절 다음으로 기다려지는 설렘이었다. 장에 가신 아버지의 손에 들려 있을 자반고등어와 총천연색이 어우러진 사탕, 그 사탕가운데 가장 인기가 있었던 것은 줄무늬가 들어간 왕눈깔 사탕이었다. 입안에 넣으면 오랫동안 단맛을 즐길 수 있는 사탕은 어린 시절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최대의 기쁨이었고 즐거움이었다. 장터는 많은 이야기들을 생산해 내고 있었다. 고만고만한 이야기들이 상당부분 과장되거나 와전되기도 했는데 장돌뱅이와 과수댁의 눈..

[심재민]지역특유의 문화예술 관광컨텐츠를 개발하라

글쓴이: 심재민/ 안양시의회 의원 기고처: 안양광역신문사(2017-02-11) 지난해 5월경 본인은 지면에 “지역자원을 활용한 문화_예술_관광 활성화 시키자”는 기고문을 실은 적이 있다.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원을 연계한 종합적인 관광 청사진을 마련해야 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특색 있는 관광 컨텐츠를 만들어 내야한다는 내용이었다. 최근 법무부 자료에 의하면 2016년 7월부터 12월까지 중국인 방문객수를 살펴보면 7월에 93만 5천명, 8월에 89만 5천명, 9월 74만 7천명, 10월 69만8천명, 11월 53만 천명, 12월 54만8천명으로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 이런 감소 추세의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으로 한-중관계가 냉각되면..

[조성현]안양의 명물, 안양포도에 대하여

가을포도가 제철을 맞았다. 요즈음 안산대부포도축제, 안성마춤포도축제 등 포도를 콘텐츠로 한 향토축제 개최로 지역의 활력이 샘솟는 고장을 보면 부럽기 만하다. 경기도 안성은 포도축제를 ‘안성포도박물관’과 연계할 정도로 포도가 성황이며, 또한 포도 관련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과거 안양은 포도의 대표적인 고장으로 기억되는 곳이었다. 하지만 옛 명성을 추구하는 안양포도가 안산, 안성, 천안, 송산 등 다른 지역 출신의 포도로 대처되어 소비되고 있고, 현재 안양은 포도를 테마로 한 축제를 벌일 정도로 상황이 그리 녹녹한 상태는 아니다. 안양하면 포도가 연상될 정도로 성가를 누리며, 당시 손꼽히는 포도 주산지였지만 자라나는 청소년들은 그러한 사실을 알리 없고, 기성세대도 아련한 기억 속에서 흐릿하게 잊혀져가고 있..

[최승원]안양시 근대건축과 도시 이야기

안양시 근대건축과 도시 2015.11.12/ #안양 #구술 #원로 #최승원 #옛이야기 #역사 #기록 #기억 #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방의제21 안양시지속가능협의회 마을분과에서는 기획사업으로 ‘원로에게 듣다. 건축사 최승원 교수님 두번째 이야기’로 안양의 근대 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 편집자주 [최승원]안양시 근대건축과 도시 관악산 골이 얕고 바위가 많다. 하여 남성산 청계산11M낮지만 관악산보다 골이 깊다 하여 여성산으로 상징 白虎山돌과 石手동석조건축출연. pool조성. 방직공장. 제지산업출현. 石산업.근교도시로 볓이 풍부한安陽 밤. 쌀米. 포도. 안양천 참외밭벌말 서남은 한천과 인덕원천이 만나는 충적지( 삼각주) 범람원1894년경 일본군사지도. 고지도등 安陽村 (배산임수원리를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