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23

[20250307]안양 서이면사무소 한옥 원형 1980년대 안양옥

2025.03.07/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사이면사무소 #안양옥 #since1980 #안양1동 #중앙동/  안양1동(현 안양일번가)에 자리한 구서이면사무소(舊西二面事務所)가 재건축되기전 갈비집 안양옥으로 사용될 당시의 모습으로 안양문화원에서 1984년 12월31일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 속지에 수록된 사진이다.사진을 들여다보면 조선기와가 지붕에 얌전하게 가즈런히 앉아있는 모양새와 곡선의 처마선이 예쁜것이 안양시가 매입후 복원한 현재의 새 건물과는 모양새도 달라 당초 원형이 많이 달라진듯 하다. 안양옥 건물을 매입해 전면 해체 복원 보다는 원형 그대로 두었더라면 문화적 가치도 더 있지 않았을까 싶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장내로143번길 8(안양1동 674-271번지)에 소재한 이 건물은 1..

[20250306]안양읍(안양일번가) 당시 시흥군청사(1966년)

2025.03.06/ #안양 #옛사진 #과거 #기억 #기록 #시흥군청 #since1966/ 1960년대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 경기 시흥군 안양읍(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로 1966년 발행된 시흥군청 통계연보 제6호 속지에 수록된 모습이다.청사 왼쪽에 지붕이 살짝 보이는데 안양읍사무소다. 군청 앞쪽에는 안양경찰서와 소방대가 있었다. 군청 뒷쪽으로 멀리 보이는 산은 의왕 모락산이다, 사진 왼쪽 뒤로 굴뚝과 공장이 보이는데 안양1동의 태평방직(진흥아파트-현 안양역푸르지오더샵)으로 안양3동의 금성방직과 함께 지역 경제를 발전 시키는데 큰 몫을 했던 곳이다 .시흥군청 건축(건축사 최승원 선생님 글)영등포구에 있던 시흥군청은 안양에 1946년 7월 튼튼히 준공됐으며, 설계는 군정시 경기..

[20250406]안양읍(안양일번가) 당시 시흥군청사(1964년)

2025.03.05/ #안양 #옛사진 #과거 #기억 #기록 #시흥군청 #since1964 경기 시흥군 안양읍(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로 1960년 발행된 시흥군청 통계연보 제4호 속지에 수록된 모습이다.  시흥군 안양읍 중앙동(현 안양일번가)에는 1970년대 초까지 시흥군청을 비롯 안양읍사무소, 안양경찰서, 의용소방대 등 관공서와 양화점, 양복점, 대서소, 다방, 식당 등이 밀집했던 다운타운이었다. 시흥군청은 현재 안양 일번가 삼원프라자호텔과 그 주변을 포함하던 곳으로 청사 뒷쪽에는 운동장이 있을만큼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했었다.시흥군청은 1946년 7월 준공됐으며 설계는 군정시 경기도청 회계과 영선담임 홍광우洪寬祐(서울 흑석동 20의4)가 했으며 일본 강점기때 일반 풍조이던 절충주의..

[20250305]1750~1768년경 八道郡縣地圖 금천현(衿川)

2025.03.0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팔도군현지도 #과천현/  팔도군현지도는 1750년~1768년경에 제작된 지도책이며 4.2cm 방안위에 전국의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적으로 그려진 지도다. 경기도 38개 고을, 충청도 54개 고을, 평안도 42개 고을을 3책으로 엮은 지도책으로 지도의 내용은 ≪朝鮮地圖≫(도서번호: 奎16030)와 동일하다.  금천현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금천구·관악구와 안양천 동쪽의 구로구 및 동작구의 대방동·상도동, 경기도 광명시의 대부분과 안양시의 박달동 일대에 해당된다. 읍치는 금천구 시흥동의 금청구청 근처에 있었으며, 고을의 鎭山은 읍치 오른쪽에 표시된 三聖山(478m)이었다. 지도 위쪽으로 한강이 보이고 있으며, 남쪽에서 지금의 안양천이 합류된다. 안양천은 ≪신증..

[20250305]1750~1768년경 八道郡縣地圖 과천현(果川)

2025.03.0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팔도군현지도 #과천현/ 팔도군현지도는 1750년~1768년경에 제작된 지도책이며 4.2cm 방안위에 전국의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적으로 그려진 지도다. 경기도 38개 고을, 충청도 54개 고을, 평안도 42개 고을을 3책으로 엮은 지도책으로 지도의 내용은 ≪朝鮮地圖≫(도서번호: 奎16030)와 동일하다.  과천현은 경기도 과천시, 속달동·둔대동·대야미동을 제외한 군포시, 박달동 일대를 제외한 안양시, 상도동·대방동을 제외한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초구의 대부분에 해당된다. 읍치는 과천시 관문동 일대에 있었으며, 고을의 鎭山은 읍치 위쪽에 표시된 冠岳山(631m)이다. 지도 위쪽에는 한강이 보이고 있으며, 북쪽 방향에 露梁(津)과 銅雀(津)이 표시되어 있다...

[20250304]안양 한자 지명 과거 <安陽∙安養> 혼용했다

2025.03.04/ #기록 #역사 #지명 #안양 #安陽 #安養/  조선시대에 수원을 둘러싸던 5개 군현, 즉 용인 · 진위 ·안산 · 시흥 · 과천 중에서 북쪽의 두 개 현이 곧 시흥과 과천이다. 현재의 안영권역 4개 시, 즉 과천 · 의왕 · 안양 · 군포는 서로 붙어 있어 한 덩어리로 보이지만 두 길로 갈라지는 서울길 때문에 시흥길에 속한 안양과 군포, 과천길의 과천 그리고 두 길로 갈라지기 전의 의왕으로 나눌 수 있다. 안양시 지명유래 설명을 보면 안양(安養) 지명은 고려 태조 왕건이 세운 안양사(安養寺)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안양은 경부선 철도가 놓여지고 안양역이 생기기 이전까지 행정구역상에서 옛 금천현(衿川縣.시흥군)과 과천현(果川縣)의 중간에 자리했던 이른바 두 행정구역의 변방이었다. 그런데..

[20250304]안양 출신 독립운동가 夢堂 한흥리(한항길)

2025.03.04/ #인물 #독립운동가 #한흥리 #몽당/ 안양 호계동 출신 독립운동가. 한흥리 韓興履본관: 청주(淸州)아호: 몽당(夢堂),이명 : 한항길(韓恒吉)출신지: 경기 시흥군 서이면 호계리(현재의 안양)생년월일 1900. 7. 18 ~ 1979. 5. 8운동계열: 3·1운동관련 사건: 1919년 서울 남대문역 만세운동포상훈격(연도): 애족장(1990)1919년 3월 5일 서울 남대문역 만세시위 참여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몽당(夢堂)이다.  용익(用翼)의 아들로 1900년 7월 18일 부천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린시절 안양으로 이전하여 동안구 호계동 289번지에서 성장하였다. 경성고등보통학교 2학년에 재학하던 1919년 3월 1일에 탑골공원 밖에서 동료들과 독립선언문을 낭독하였고, 기차 통학생의 ..

[20250304]1899년 간행 시흥군읍지(京畿道始興郡邑誌)

2025.03.04/ #아카이브 #기록 #옛지도 #시흥군 #since1899 #안양 #군포 #금천/ 1899년(光武3)의 전국적인 읍지 편찬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경기도시흥군읍지-始興郡 邑誌』〈규 10711〉에 수록된 경기도 시흥군(始興郡) 지도로 현재의 서울 금천구와 구로구를 중심으로 인근 안양지역의 산세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특별시 금천 지역 읍지류경기도시흥군읍지(京畿道始興郡邑誌)청구기호: 奎 10711역할: 편찬 시흥군(始興郡)간행지역: 경기도 시흥군 /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안양시간행연도: 1899크기: 세로 : 32.5 가로 : 22.4판본: 필사본장정: 칠침선장(七針線裝)수량: 1책 6장판식: 朱絲欄印札板, 四周雙邊, 半葉 10行 字數不定재질: 표지: 능화문황지(菱花紋黃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