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537

[20251126]안양 연현마을 부모모임 '대한민국 교육문화대상' 수상

안양 건강한 연현미을 부모모임 '대한민국 교육문화대상-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상' 수상 경기 안양시 건강한 연현미을 부모모임이 국내 교육과 문화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이룬 사람과 기관에 수여하는 '2025년 대한민국 교육문화대상'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상(단체상)을 수상했다. (재)한국교육문화재단이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한국교육문화진흥협회가 후원한 '2024 대한민국 교육문화대상'이 지난 18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교육문화대상은 AI 기반 미래교육, 지역 교육문화, 교육격차 해소, 문화·예술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이룬 개인과 기관을 발굴해 알리는 데 의의를 두고 격려하고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건강한 연현미을 부모모임(이하 건연모)는 연현마을 ..

[20251126]안양 골목길, WINDOW ARTIST _ 일상의 기하학

[WINDOW ARTIST _ 일상의 기하학] 전시에 초대합니다! 도시공상가가 보석상자처럼 박짝입니다. 11.29일(토)과 30일(일) 오후2시-5시 오프닝 행사에 초대합니다. 어린이와 함께 보면 좋은 전시입니다. 체험과 작가이야기와 간단한 간식과 음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WINDOW ARTIST ‘일상의 기하학’**은 아이들이 건축가·예술가와 함께 인덕원의 골목을 걸으며 만난 풍경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그중 일부를 기하학적 그림으로 재해석한 후, 이를 예술가가 다시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렇게 완성된 작품들이 드디어 ‘도시공상가’에서 공개됩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일상의 공간 속에서도 작품의 소재를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참가자들이 직접 경험하는 ..

[20251126]안양 자연보호 헌장탑 표지석과 표어 이야기

2025.11.26./ #도시기록 #안양 #표지석 #자연보호헌장탑/ 안양시 안양5동 현충탑 올라가는 게단 중간에 자리한 자연보호 헌장탑으로 1987년에 세워졌다.1976년에 박정희대통령이 ‘自然保護’라는 친필 휘호를 자연환경보존협회에 보냈고, 본격적으로 자연보호 운동이 태동했다. 1978년 10월 5일 ‘자연보호헌장(自然保護憲章)’ 선포식은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여 훈시했다. 1980년대 초반 각 지자체는 우후죽순처럼 ‘자연보호 헌장탑’을 세웠고, 산 곳곳에 ‘사람은 자연보호, 자연은 사람보호’라는 표어가 걸렸다.‘사람은 자연보호, 자연은 사람보호’라는 표어는 전국에 ‘자연보호 헌장탑’을 세우고 자연보호란 용어는 국가의 정책이 되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유명한 표어가 아닐까 싶다. 그 탄생 배경..

[20251123]안양 원도심에 노란 둥근공 모양의 은행나무 가로수

2025.11./ #도시기록 #안양 #디로수 #은행나무/ 안양 만안구 중앙로의 둥근공 모양의 은행나무 가로수들 노랗게 물들었다.어느 도시를 방문하면 가장 먼저 인사를 건네는 도로변 가로수의 모양새도 그 도시의 품격을 말해준다. 손발 짜른듯 무지막지한 가지치기로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도시가 있는가 하면 마치 자로 잰든 깍뚜기 모양으로 만드는 도시도 있다. 도심의 가로수는 도심 속 콘크리트 숲속에 사는 시민들이 그래도 가까이에서 접하는 녹지대로 경관개선이나 대기오염 정화, 소음공해 감소,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시환경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녹지자원이다. 동시에 도시 영역의 일정한 부분을 차지하는 '공공디자인'이란 용어와도 접목시킬 수 있는 자연적인 시설물로 잘 조성된 가로수는 도시의 랜드마크이자, 품격을 ..

[20251123]안양도심 옛검역원에 숨어 사는 고라니 네마리 포착

2025.11.21/ #도시기록 #안양 #고라니/ 안양6동 주민(황규동 안양시걷기협회 부회장) 제보 사진. 동물원의 고라나가 아닙니다. 안양 도심 한복판 안양6동 옛검역원 본관 뒷쪽 철조망이 쳐진 미개방구역안에 몰래 들어와 숨어 살고있는 고라니 네마리. 지난 21일 오후 5시경 철조망 담장길(안양세무서 방향)을 산책하다 발견. 네마리 모습이 한컷의 사진에 포착되기는 처음이다. 옛 검역원에서위 고라니 발견은 2018년에도 있었다. 당시 4마리(1쌍이 들어와 새끼 2마리 낳음)의 고라니 가족이 몰래 살다가 119구조대가 출동하여 포획 과정에서 1마리는 죽고 3마리는 포획하여 수리산 수리사 절앞에서 방사한바 있다. 한편 안양시는 안양6동 엣검역원(안양시청 이전 추진)의 부지 활용 방침이 최종 확정되기전 개방..

[20251122]1916년 9월 안양천 범람으로 끊긴 안양철교

2025.11.23./ #아카이브 #엣사진 #기록 #since1916 #안양천 #대홍수 #범람 #매일신보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재해를 거론하면 일제강점기였던 1925년 여름 네 차례에 걸쳐 일어나 한반도 전역에 막대한 피해흘 입혔던 을축년 대홍수를 얘기한다. 안양에서 일어난 재해를 찾아보가 위해 과거 옛신문을 검색해보니 매일신보(1916년 9월13일자)에 안양천이 범람해 안양~시흥간 안양철교가 끊겨 엿가락처럼 휘어진 찰교 사진이 실려았다. 일제강점기 시대 신문에서 안양 관련 사진을 발견한것은 안양풀 개장 사진 이후 두번째 아닐까 싶다.안양철교는 1977년 발생했던 이른바 쌍칠년 대홍수때도 끊겼었다. 1977년 대홍수는 안양에서 일어났던 가장 큰 재해가 아닐까 싶다. 안양에서는 이후 2023년에도 큰 물난리..

[20251123]1945년 연합신문 지면에 실린 안양양조장 광고

2025.11.23/ #아카이브 #엣신문 #기록 #광고 #안양양조장/ 1949년 6월21일 연합신문(聯合新聞) 지방종합판 광고 지면에 실린 안양양조장 광고 연합신문 [ 聯合新聞 ]발행처 聯合新聞발행일 1949년 06월 21일관련 키워드 安養釀造場,南一商會,香泉기사위치 4면 11단기사유형 광고기사주제 문화주기사항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14檀紀四千二百八十二年六月二十一日, 火曜日

[20251122]안양 인덕원 디지털 맵 프로젝트 인덕도(島&圖)

2025.11.22/ #전시 #안양 #인덕도/ 안양 인덕원 도시공상가에서 열리고 있는 ‘문화예술단체골목길’에서 준비한 인덕원 디지털맵 프로젝트 '인덕도'. 폐막(23일)을 하루 앞두고 귀한 전시 기록을 보고 오다.인덕도 = 섬도(島)& 지도도(圖)‘지도는 사진 기록과 함께 우리가 볼 수 없는 많은 것들을 말한다’‘문화예술단체골목길’은 ‘비그라운드 아키텍츠’와 ‘도시공상가’를 운영하는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예술인과 협업하여 문화예술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는 비영리단체이다.

[20251122]크리스마스 기다리는 맛 '슈톨렌' 안양 구입처

2025.11.22/ #겨울 #크리스마스 #슈톨렌 #Stollen #바크슈투베 27/ 겨울이 기다려지는 맛, 크리스마스에 맛보는 슈톨렌(Stollen)을 구입하기 위해 오랫만에 안양 바크슈투베27에 다녀왔습니다.먼곳에 사는 지인에게 성탄 선물로 보내기 위해 일찌감치 디녀온 것이지요.슈톨렌은 버터와 꼬냑과 럼에 숙성한 건과일, 견과류를 듬뿍 넣은 독일 전통 과일케익으로 유럽에서는 아기 예수님 오시는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며 겨울의 식탁에서 향과 맛이 풍성한 ‘슈톨렌’을 조금씩 잘라 나누어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기다림의 시간을 따뜻하게 채우는 문화이지요.슈톨렌은 천천히 숙성되어야 깊어지는 풍미와 향신료의 향이 어우러지에 1달전쯤 구입해 숙성시켜야 맛나다고 합니다.마침 안양에서 슈톨렌을 만들어 판메하는 곳이 있어..

[20251122]의왕역의 옛 이름은 1944년 시작한 부곡(富谷)

2025.11.22./ #아키이브 #옛사진 #부곡 #의왕/ 의왕역(義王驛, Uiwang station)은 경기도 의왕시 삼동에 있는 경부선과 남부화물기지선의 철도역이다. 1944년 3월 1일 영업을 시작할 당시 역명이 부곡역(富谷驛)이었으나 2004년 6월 25일 의왕역(儀旺驛)으로 변경되었다가 2007년 3월 6일 동년 2월 20일 의왕시의 한자 표기 변경으로 의왕역의 한자 표기도 '儀旺'에서 '義王'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하반기부터 부기역명을 '철도대학'에서 '한국교통대학교'로 변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