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483

[20251108]1998년 한국관광안내도 부곡저수지(왕송호수)

2025.11.08/ #아카이브 #지도 #since1998년 #한국관광안내도 #의왕 #부곡저수지 #왕송호수/ 의왕 왕송호수는 의왕시 부곡동에 있는 면적 약 29만 평의 저수지로 황구지천으로 연결되며 제방 길이 640 m, 높이 8.2 m, 만수면적 0.96 km2(96헥타르/ 84헥타르-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한다.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1948년 1월 부곡역(현 의왕역) 남쪽에 조성됐는데. 처음에 부곡저수지라 불리우다가 1990년대 ‘왕송저수지’였고, 여타 저수지들이 그렇듯 농업용으로 만들어졌으나 하류의 많은 지역들이 도시화되면서 농업용보다는 주로 관광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2014년 의왕시지명위원회와 경기도지명위원회를 거쳐 8월 7월 국가지명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 왕송호수로 명칭이 변경됐다. 출판등록 ..

[20251108]1930년대 경기도 관내도 수원군 속했던 의왕

2025.11.08/ #아카이브 #옛지도 #since1930/ #경기도관내도 #시흥군 #서이면 #의곡면 #일형면 현재의 의왕은 조선시대에 광주부 의곡면과 왕륜면 지역이었다. 1914년 의곡면과 왕륜면이 의왕면으로 통합되어 수원군에 편입되었고, 1936년 일형면과 통합되어 일왕면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수원군이 수원시와 화성군으로 분리되면서 화성군 일왕면이 되었다. 1963년 1월 1일 옛 일형면 지역이 수원시에 편입되면서 다시 의왕면으로 명칭을 회복함과 동시에 시흥군으로 편입되었다. 1980년 12월 1일 의왕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 2월 15일 화성군 반월면 초평리, 월암리를 편입했고, 옛 의곡면 지역을 관할하는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군이 해체될 때에 의왕읍이 의왕..

[20251108]1894년 실측조선전도 서울의 漢城(한성) 표기

2025.11.08/ #아카이브 #고지도 #기록 #since1894 #실측조선전도 #명치27년/ 명치27년에 제작된 지도로 위도 경도가 표기되고 독도가 조선영토임을 보여준다. 서울은 漢城(한성)으로 표기돼 있다. 한성(漢城)은 조선시대 한양(지금의 서울)의 공식 한자 명칭으로, 조선 왕조의 수도였음을 나타낸다. 과거에 중국어 표기가 '한성(漢城, 한청)'으로 번역되어 혼선이 많았으나, 2005년부터 '서울(首爾, 서우얼)'로 공식화되었다. 경기도 지역을 들여다보면 안양군포의왕과천지역의 행정관아 고을 표시에 금천(시흥)은 표시되자 않은 반면 괴천만 표기돼 있다. [오마이뉴스]서울 표기, 우리부터 '서우얼[首爾]'로도로표지판, 여행안내서, 관공서 표기 등 여전히 '한청[漢城]’https://www.ohmy..

카테고리 없음 2025.11.08

[20251107]문화기획자 박이정의 안양 구석구석 이야기

문화기획자 박이정이 쓴 안양이야기 시리즈 글구석 현장을 찾아다니며 발로 쓴 글이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문화기획자 박이정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sssomina 2024 안양(1)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안양 빵투어?) https://blog.naver.com/sssomina/223646940019 2024 안양(2) 여기 내 자리가 있겠구나, 딱 아는 순간 https://blog.naver.com/sssomina/223649945818 2024 안양(3) 반듯반듯, 평면적인 계획도시의 울퉁불퉁한 공공미술 APAP 평촌투어 https://blog.naver.com/sssomina/223657950583 2024 안양(4) 안양 4대 떡볶이의 최종 승자와 범접할 수 없는..

[20251107]1894년 朝鮮輿地圖(조선여지도)속 경기중부

2025.11.07./ #아카이브 #고지도 #since1894 #조선여지도/ 朝鮮輿地圖 조선여지도, Chosunyeojido. 작자청수상태랑(일본). 간사년고종311894.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조선여지도 경기중부지역. 경부선 칠길이 놓여지가 전의 마을과 도로, 하천, 산 등 지형지물을 볼수 있다. 始興(시흥)과 果川(과천) 貴仁(귀인) 마을과 修理山(수리산)이 표기돼 있다. 과천-수원길은 진하게 표기된 반면 시흥-수원길은 흐릿해 당시 과천길 통행이 많았음을 보여준다. 조선여지도(朝鮮輿地圖)>는 일본인 시미즈(淸水常太郞)가 1894년에 오사카에서 제작한 현대식 대축척지도이다. 지도를 보호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포갑의 안쪽 봉면지에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이 소지했던 지도를 축소 복사하여 참..

[20251108]24절기중 19번째 절기, 겨울의 시작 입동(立冬)

2025.11.08/ #절기 #입동/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立冬)이다.입동은 24절기 중 열아홉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고, 밤에는 기온이 크게 떨어져 서리가 내리기 시작한다. 동물들도 이 시기부터 땅속에 굴을 파고 숨어들며 겨울잠을 준비한다.입동은 농경사회에서 한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긴 겨울을 대비하는 시기다. 이 무렵 농촌의 가장 큰 일은 김장이다. 입동을 전후해 담그는 김장이 맛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정학유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는 “방고래 구두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 놓고 귀구멍도 막으리라”는 구절처럼, 집 안팎의 겨울나기 준비도 입동의 중요한 작업이었다.입동 무렵에는 작은 고사를 지내는 풍습도 있었다. 10월10일에서 30일 사이의 ..

[20251106]전면개방 서울대 안양수목원에서 만난 가을 풍경

2025.11.03/ #도시기록 #안양 #서울대학교 #관악산 #안양수목원 #가을풍경/ 1967년 조성된 서울대 관악수목원이 ‘서울대 안양수목원’이란 새 이름으로 58년 만인 지난 11월 3일부터 시민에게 상시 개방됐다. 서울대 안양수목원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일원 관악산 자락의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약 1,158종의 식물과 다양한 산림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상시 개방은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체험 및 교육, 시민 건강 증진,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적 책무를 실현하기 위해 안양시와 서울대가 뜻을 모은 결실이다. 안양시와 서울대는 국유재산 무상양여 및 수목원 개방을 위해 지난 2018년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수차례에 걸친 협의와 6차례 시범 개방을 진행해왔다. 올해 2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