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22

[20250311]1969년 안양 금성방직과 태평방직 공장 내부

2025.03.11/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금성방직 #태평방직 #since1969/ 사진속에 등장하는 금성방직과 태평방직은 1960-70년대 안양은 물론 시흥군 지역 경제의 큰축을 담당했던 공장으로 사진은 1969년 7월 1일 12대 남봉진 경기도지사의 시흥군 안양읍 금성방직과 태평방직 공장 방문 당시의 모습이다.(사진출처: 경기도청 뉴스포털) 금성방직은 현재의 안양3동 국민은행 안양지점과 왕궁예식장 뒷편에서 박달동 우성아파트에 이르는 면적을 차지해 공장 담벼락을 따라 한 바퀴 돌려면 십리길을 걸어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안양 도심의 중심 대부분을 차지했다.금성방직은 경북 달성군 현풍 출신으로 향후 쌍룡그룹 창업주가 된 김성곤 씨가 1940년 비누회사인 삼공유지합자회사를 설립, 크게 성공한 ..

[20250310]3월9일 안양 학의천서 만난 기쁜소식 <봄까치꽃>

2025.03.09/ #봄까치꽃 #개불알풀/ 봄이 왔습니다. 학의천변 햇살이 따듯한 곳에 앙증맞은 봄까치꽃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했습니다. 봄소식을 전하는 까치 같다고 해서 ‘봄까치꽃’이라고도 부르지요.. 우리 식물들은 대부분 여러 개의 이름을 갖고 있는데 지방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르기 때문이지요. 부르기 민망한 것중 하나가 바로 개불알풀입니다. 열매의 모양이 희한하게도 개의 불알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이게 조금 더 큰 것이 큰개불알풀. 이름은 그래도 꽃말은 기쁜소식이랍니다.천변과 뚝방에 드문드문 보이기 시작한 봄까치꽃. 날씨가 포근하고 햇살이 따사롭기에 다음주부터는 군락지 형태로 확 번지기 않을까 싶습니다.

[20250310]"내가 만약 나무라면 무슨 나무일까?" 테스트

2025.03.10/ #나무 #환경 #도시 #타스트 #서울환경연합내가 만약 나무라면 무슨 나무일까?나의 성향과 어울리는 나무를 알고 싶나요?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눌러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세요!https://simte.xyz/mytree씨앗으로 태어나 성숙한 나무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단계마다 선택을 통해 참여자의 성향에 맞춘 나무를 찾아줘요.씨앗이 정착할 곳을 선택하고, 뿌리 내릴 기회를 결정하고, 잎사귀에 고인 빗방울을 처리할 방법을 선택해요. 가깝게 다가온 주변 나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가을 단풍의 기분과 겨울을 준비하는 감정을 어떻게 느끼는지, 숲속 친구들에게 어떤 나무로 기억되고 싶은지.이 테스트는 서울환경연합이 ‘나무의 권리리 서명’ 캠페인 차원에서 개발했어요.MBTI 16개 유형별 성향과 ..

[20250310]1989년 안양 방문한 김대중 총재와 이희호 여사

2025.03.10/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평화민주당 안양을지구당 사무소 개소 및 현판식 모습으로 작고하신 고 김대중 대통령(당시 평화민주당 총재) 이희호 여사, 이석현 전 의원의 모습이 담겨 있다. 전국박물관장품 검색을 하던중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에 있는 기록물에서 찾아냈다. 김대중 총재와 이희호 여사는 이날 안양을 방문하면서 평화민주당 안양시 을지구당 사무소 현판식 일정과 함께 안양2동에 있었던  '마더 테레사' 수녀가  창설한 사랑의선교수녀회 안양분원과 양로원을 방문하고, 안양8동에 있던 노동회관에서 노조 임원들과 간담회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안타깝게도 노벨평화상기념관 사진 기록에 촬영일자가 없다. 이석현 전 의원에게 확인을 요청했다니 1990년 4월20일로 추정된다고 전해왔다. 하지..

[20250310]한국전쟁(1951년) 군포장-안양 서울 가는 1번 국도

2025.03.10/ #아카이브 #영상 #한국전쟁 #since1951 #군포장 #안양 #1번국도/ 한국전쟁 당시 군포에서 안양시내를 지나 서울로 향하는 미군과 유엔군 그리고 주변 풍경을 찍은 영상을 유튜브에서 발견하다. 1951년 촬영한 이 영상은 서울로 가는 1번 국도 군포장(영상에 팻말 보임)에서 1번국도와 안양역 등 안양읍내를 지나 석수동 까지의 주변 모습과 도로에 매설한 지뢰로 인한 위험과 유엔군 병력의 전진을 다루고 있다. 주제는 중공군과의 전투로, 영상에서는 유엔의 돌파 작전과 그 과정에서의 전략적 움직임이 강조된다. 특히 적의 포위를 풀기 위한 군사 작전과 미사일의 사용 등 방어 및 공격 전술이 세세히 설명된다. 전반적으로 영상은 전투의 긴장감과 유엔군의 협력을 잘 묘사하고 있다. 유튜브 영..

[20250310]정조대왕 축조한 안양 만안교 1970년대 원형 모습

2025.03.10/ #아카이브 #옛사진 #만안교 #안양 #정조대왕 #시흥대로 #1번국도 #만안로/ 안양문화원이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1984년 12월31일 발행) 속지에 실린 만안교 옛 다리 모습이다. 만안교는  1980년에 국도 확장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복원되었다. 사진은 만안교가 현재의 삼막천 자리에 이전 설치되기전인 1970년대 후반에 찍은 것으로 보인다.  사진을 보면 아래 교각 대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다. 일제로부터 광복 이후 국도 1호선 도로를 아스팔트로 포장 공사하면서 석교 다리위에 콩타르를붓고 콘크리트 난간을 설치하는 등 아름답던 만안교 다리 원형을 상당 부분 변형시켰음을 보여준다. 사진 뒤로 보이는 하얀 건물은 대륙석면(한국슬레트) 고무공장으로 현재의 영화아파트가 들어선 자리다. 사..

[20250309]1919년 3월 시흥보통학교 동맹휴교 만세운동 보도

2025.03.09/ #아카이브 #옛신문 #기록 #역사 #since1919 #만세운동 #시흥보통학교/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문 1919년 3월10일자에 실렸던 시흥보통학교 만세운동 관련기사다. 1919년 기미년 3월 1일 만세운동이 시작된 후 일주일 후인 3월 7일 11시경 경기 시흥군에 자리한 시흥공립보통학교(현 시흥초등학학교)에서 120명의 학생들이 동맹휴교를 하고 대한독립만세를 불렀고, 주모자 다섯 명이 연행됐다. 이 소식은 1919년 3월 10일 매일신보를 통해 보도됐다.연행된 학생은 훈계를 받고 풀려났지만 동맹휴교는 4월까지 계속 된 것으로 보인다. 4월1일 보통학교의 입학생은 1명이었으며, 전체 출석률을 50%에 불과했는데 당시 안양에는 6년제 학교가 없어 이 학교로 다니는 안양학생들이..

[20250308]안양 연극 효시 <극단80>부터 현재까지 발자취

터 현쟈ㅐ  1979년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안양 극단 80>에서 활동했던 이수경씨 이야기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201504281624411&pt=nv [박상미의 공감 스토리텔링]재즈 신동 진보라, 그녀의 어머니 이수경딸 진보라는 국악과 재즈, 제3세계 민속음악을 접목한 에스닉 재즈(Ethnic Jazz)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언어와 인종을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는 ‘보라표 음악’을 만들고 싶다. 엄마 이수경은 19weekly.khan.co.kr안양4동에 극단 와 소극장 있었다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2833 안양을 다룬 최..

[20250307]안양 서이면사무소 한옥 원형 1980년대 안양옥

2025.03.07/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사이면사무소 #안양옥 #since1980 #안양1동 #중앙동/  안양1동(현 안양일번가)에 자리한 구서이면사무소(舊西二面事務所)가 재건축되기전 갈비집 안양옥으로 사용될 당시의 모습으로 안양문화원에서 1984년 12월31일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 속지에 수록된 사진이다.사진을 들여다보면 조선기와가 지붕에 얌전하게 가즈런히 앉아있는 모양새와 곡선의 처마선이 예쁜것이 안양시가 매입후 복원한 현재의 새 건물과는 모양새도 달라 당초 원형이 많이 달라진듯 하다. 안양옥 건물을 매입해 전면 해체 복원 보다는 원형 그대로 두었더라면 문화적 가치도 더 있지 않았을까 싶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장내로143번길 8(안양1동 674-271번지)에 소재한 이 건물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