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847

[20250310]정조대왕 축조한 안양 만안교 1970년대 원형 모습

2025.03.10/ #아카이브 #옛사진 #만안교 #안양 #정조대왕 #시흥대로 #1번국도 #만안로/ 안양문화원이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1984년 12월31일 발행) 속지에 실린 만안교 옛 다리 모습이다. 만안교는  1980년에 국도 확장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복원되었다. 사진은 만안교가 현재의 삼막천 자리에 이전 설치되기전인 1970년대 후반에 찍은 것으로 보인다.  사진을 보면 아래 교각 대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다. 일제로부터 광복 이후 국도 1호선 도로를 아스팔트로 포장 공사하면서 석교 다리위에 콩타르를붓고 콘크리트 난간을 설치하는 등 아름답던 만안교 다리 원형을 상당 부분 변형시켰음을 보여준다. 사진 뒤로 보이는 하얀 건물은 대륙석면(한국슬레트) 고무공장으로 현재의 영화아파트가 들어선 자리다. 사..

[20250309]1919년 3월 시흥보통학교 동맹휴교 만세운동 보도

2025.03.09/ #아카이브 #옛신문 #기록 #역사 #since1919 #만세운동 #시흥보통학교/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문 1919년 3월10일자에 실렸던 시흥보통학교 만세운동 관련기사다. 1919년 기미년 3월 1일 만세운동이 시작된 후 일주일 후인 3월 7일 11시경 경기 시흥군에 자리한 시흥공립보통학교(현 시흥초등학학교)에서 120명의 학생들이 동맹휴교를 하고 대한독립만세를 불렀고, 주모자 다섯 명이 연행됐다. 이 소식은 1919년 3월 10일 매일신보를 통해 보도됐다.연행된 학생은 훈계를 받고 풀려났지만 동맹휴교는 4월까지 계속 된 것으로 보인다. 4월1일 보통학교의 입학생은 1명이었으며, 전체 출석률을 50%에 불과했는데 당시 안양에는 6년제 학교가 없어 이 학교로 다니는 안양학생들이..

[20250308]안양 연극 효시 <극단80>부터 현재까지 발자취

터 현쟈ㅐ  1979년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안양 극단 80>에서 활동했던 이수경씨 이야기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201504281624411&pt=nv [박상미의 공감 스토리텔링]재즈 신동 진보라, 그녀의 어머니 이수경딸 진보라는 국악과 재즈, 제3세계 민속음악을 접목한 에스닉 재즈(Ethnic Jazz)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언어와 인종을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는 ‘보라표 음악’을 만들고 싶다. 엄마 이수경은 19weekly.khan.co.kr안양4동에 극단 와 소극장 있었다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2833 안양을 다룬 최..

[20250307]안양 서이면사무소 한옥 원형 1980년대 안양옥

2025.03.07/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사이면사무소 #안양옥 #since1980 #안양1동 #중앙동/  안양1동(현 안양일번가)에 자리한 구서이면사무소(舊西二面事務所)가 재건축되기전 갈비집 안양옥으로 사용될 당시의 모습으로 안양문화원에서 1984년 12월31일 발행한 안양문화 제3호 속지에 수록된 사진이다.사진을 들여다보면 조선기와가 지붕에 얌전하게 가즈런히 앉아있는 모양새와 곡선의 처마선이 예쁜것이 안양시가 매입후 복원한 현재의 새 건물과는 모양새도 달라 당초 원형이 많이 달라진듯 하다. 안양옥 건물을 매입해 전면 해체 복원 보다는 원형 그대로 두었더라면 문화적 가치도 더 있지 않았을까 싶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장내로143번길 8(안양1동 674-271번지)에 소재한 이 건물은 1..

[20250306]안양읍(안양일번가) 당시 시흥군청사(1966년)

2025.03.06/ #안양 #옛사진 #과거 #기억 #기록 #시흥군청 #since1966/ 1960년대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 경기 시흥군 안양읍(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로 1966년 발행된 시흥군청 통계연보 제6호 속지에 수록된 모습이다.청사 왼쪽에 지붕이 살짝 보이는데 안양읍사무소다. 군청 앞쪽에는 안양경찰서와 소방대가 있었다. 군청 뒷쪽으로 멀리 보이는 산은 의왕 모락산이다, 사진 왼쪽 뒤로 굴뚝과 공장이 보이는데 안양1동의 태평방직(진흥아파트-현 안양역푸르지오더샵)으로 안양3동의 금성방직과 함께 지역 경제를 발전 시키는데 큰 몫을 했던 곳이다 .시흥군청 건축(건축사 최승원 선생님 글)영등포구에 있던 시흥군청은 안양에 1946년 7월 튼튼히 준공됐으며, 설계는 군정시 경기..

[20250406]안양읍(안양일번가) 당시 시흥군청사(1964년)

2025.03.05/ #안양 #옛사진 #과거 #기억 #기록 #시흥군청 #since1964 경기 시흥군 안양읍(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로 1960년 발행된 시흥군청 통계연보 제4호 속지에 수록된 모습이다.  시흥군 안양읍 중앙동(현 안양일번가)에는 1970년대 초까지 시흥군청을 비롯 안양읍사무소, 안양경찰서, 의용소방대 등 관공서와 양화점, 양복점, 대서소, 다방, 식당 등이 밀집했던 다운타운이었다. 시흥군청은 현재 안양 일번가 삼원프라자호텔과 그 주변을 포함하던 곳으로 청사 뒷쪽에는 운동장이 있을만큼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했었다.시흥군청은 1946년 7월 준공됐으며 설계는 군정시 경기도청 회계과 영선담임 홍광우洪寬祐(서울 흑석동 20의4)가 했으며 일본 강점기때 일반 풍조이던 절충주의..

[20250305]1750~1768년경 八道郡縣地圖 금천현(衿川)

2025.03.0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팔도군현지도 #과천현/  팔도군현지도는 1750년~1768년경에 제작된 지도책이며 4.2cm 방안위에 전국의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적으로 그려진 지도다. 경기도 38개 고을, 충청도 54개 고을, 평안도 42개 고을을 3책으로 엮은 지도책으로 지도의 내용은 ≪朝鮮地圖≫(도서번호: 奎16030)와 동일하다.  금천현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금천구·관악구와 안양천 동쪽의 구로구 및 동작구의 대방동·상도동, 경기도 광명시의 대부분과 안양시의 박달동 일대에 해당된다. 읍치는 금천구 시흥동의 금청구청 근처에 있었으며, 고을의 鎭山은 읍치 오른쪽에 표시된 三聖山(478m)이었다. 지도 위쪽으로 한강이 보이고 있으며, 남쪽에서 지금의 안양천이 합류된다. 안양천은 ≪신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