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자료 433

안양권에서 가장 오래된 군포장 얘기

안양권에서 가장 오래된 군포장 얘기 [2007/08/13 군포시티뉴스]리포터 - 장병연 추억에나 남아 있음직한 오일장, 지금은 개발로 인해 수도권주변의 오일장이 성남의 모란 시장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졌지만, 우리 군포에도 인근 사람들을 불러 모아 신나게 장을 벌렸던 유명한 이 있었다. 당시 군포장은 인근 충청도에까지 입소문이 흘러 장돌뱅이들과 장꾼들을 불러 모아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한다. 웬만한 장꾼들이라면 을 모르는 사람들이 없을 정도였다고 하니 그 규모가 얼마나 컸던지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겠다. 어린 시절, 장날은 명절 다음으로 기다려지는 설렘이었다. 장에 가신 아버지의 손에 들려 있을 자반고등어와 총천연색이 어우러진 사탕, 그 사탕가운데 가장 인기가 있었던 것은 줄무늬가 들어간 왕눈깔사탕이었..

안양은 한국 블록버스터 영화의 효시

우리나라 영화 중 블록버스터의 효시는 어떤 작품일까. 영화진흥위가 지난 1월 발행한 연구보고서 ‘한국영화산업 구조분석’에 따르면 ‘쉬리’를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시초 작품이라 했다. 하지만 ‘쉬리’가 우리나라 블록버스터의 효시는 아니다. ‘쉬리 ’가 31억원의 제작비(마케팅비 포함)와 초특급흥행(전국관객 약 580만명)이라는 기록을 남긴데다 강제규 감독이 이 영화로 100억원이나 벌었으니 한국형 블록버스터 하면 팬들이 제일 먼저 ‘ 쉬리’를 떠올리는 것 같다. 하지만 영화연구가 정종화씨의 주장은 다르다. “1960년대는 우리나라 영화의 전성기였어요. 그 당시에 지금의 블록버스터에 해당하는 영화가 여러 편 있었는데 권영순 감독의 ‘진시황제와 만리장성’은 초대형작품이죠. 한양영화사가 3500 만원을 들여 만든..

[자료]안양에서 출토된 금동佛像 이야기

[자료]안양에서 출토된 금동佛像 이야기 [2006/07/21 안양시홈페이지]百濟漢山光德(安養)寺址 채송화 스님에게 도서소개 도서명 : 百濟漢山光德(安養)寺址出土金銅阿彌陀如來坐像 저자 : 趙尙河 박사 (출판사 : 有韓社) 안양시립만안도서관 제75793호 (2006년 4월 20일 기증본) 귀한 책 한 권 소개하겠습니다. 서울 시내 큰 서점에서도 찾지 못하여 하는 수 없이 저자 조상하 박사님이 안양시립도서관에 기증한 책을 볼 수밖에 없었는데, 첨부의 사진이 바로 그것입니다. 경기도 시흥군 동면 안양리(현 안양유원지) 소재 안양사지와 중초사지로 알려져 있던 古寺刹址에서 1973년10월20일 한 농부가 개 사육장을 짓기 위해 집 뒤 밭을 파던 중 지하 1m 지층에서 진흙덩어리를 발견하고는 돌인 줄 알고 집어던졌다..

[자료]박달동 군용지(軍用地) 사건(1)

[자료]박달동 군용지(軍用地) 사건(1) [06/23 안양시민신문]성결대학교 교수·안양학연구소 소장 박달동 군용지(軍用地) 사건(1) ‘새 시대 정의사회구현과 복지국가건설 및 국토통일 대성업을 완수하시기 위하여 불철주야 심혈을 기울여 오신 대통령 각하의 노고에 대하여 우리 농민 일동은 진심으로 무한한 경의를 표합니다. (-중략-) 따라서 어느 때보다도 전 국민의 단합과 일사불란한 국력의 비축이 중요한 이때에 변방의 소사로 심려를 끼쳐드리게 됨은 「백성의 억울함은 임금의 아픔」이라는 옛 성현의 가르침을 쫓음이오니 저의 농민들의 하소연을 통촉하시와 진위옥석을 가려주시옵고 정의사회의 참뜻과 실상을 만천하에 밝혀 주시옵기 간망합니다’ 위 글은 1980년대 초 당시 전두환 대통령에게 ‘안양시 박달동 농지경작인 일..

[자료]안양에서 덕장골까지

[자료]안양에서 덕장골까지 [02/27 네이버블로그]귀천/귀향/귀인 도시가 농촌을 먹어버리는 모양을 표현하는 데 잠식(蠶食)이라는 말이 적절할 듯하다. 누에가 야금야금 뽕잎을 먹어가듯이 도시화(urbanization)가 이루어졌고, 우리는 알게 모르게 그 도시화의 파도에 잠겨버렸다. 시골에서 유소년기를 자란 나로서는 도시라는 괴물에게 모든 것을 다 빼앗긴 것 같은 박탈감을 늘 가지고 있다.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어디 변화되지 않은 곳이 있으랴마는 지금 가보면 그야말로 알 수 없게 변화된 곳이 안양과 덕장골 사이이다. 안양은 하루에 몇 번씩 기차가 지나다니고, 플라타너스 가로수 사이로 차들이 왕래하던 지방의 소읍이었다. 삼막사 아래로 안양풀장이라는 유원지가 있었고, 근처에는 포도밭이 많았다. 안양을 산자수명..

[자료]일제강점기 안양에는 비행기공장이 있었다

2005년 8월15일, 광복된지 60주년이 되는 날이다. 역사교과서 왜곡, 독도 영유권 주장, 친일파 후손의 땅 소송이 줄을 잇는 반면 친일파 명단이 속속 발표되며 안양지역 또한 친일 수탈의 아픔과 흔적들을 간직하고 있다. 역사에 담긴 기록들을 재조명한다. 최근 일제에게 비행기를 헌납한 친일 인사들과 단체들의 명단이 일부 공개된 가운데 일제 침략의 수단인 전투기를 제작해 제공하던 비행기 제작공장이 안양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이곳에서 생산된 비행기가 친일파들에 의해 헌납까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지금은 체육공원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공사가 한창이지만 안양9동 채석장 역시 일제가 경부선 철도의 명학에서 평택까지 구간을 부설하며 자갈채취와 운반을 위해 1901년께 바위산을 온통 파헤치는 등 안양지..

포크레인 속 묻혀버린 아기장군바위

의왕과 군포와의 경계인 오봉산 기슭에 있던 '장군바위'(일명 아기장군 바위)가 도로확장공사 과정에서 사라졌다는 소식이 안양지역시민연대를 통해 의왕과 군포 등 지역사회에 알려지며 그 흔적 찾기에 나선 가운데 군포시민신문이 특집으로 이 문제를 다뤘다. 장군바위가 사라진 것을 첫 발견한 의왕향토문화연구소를 비롯 의왕시, 안양방송 취재진에서도 그동안 장군바위의 소재를 추적해 왔으나 현재까지 흔적을 찾지 못한 가운데 사진기록 조차 없어 지역에 내려오던 '장군바위' 설화의 증거가 영영 사라지게 됐다. 이 바위는 아기장수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 문화유산으로 크기는 길이 3미터, 폭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로 주민들의 쉼터 역할도 하는 등 인근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으나 도시개발과 지역사회의 무관심으로 인해 ..

의왕시가 지닌 풍수형국을 아시나요

경찰서장이란 직함 외에도 풍수지리학자로 색다른 직함으로 활동하며 눈길을 끌고있는 이기만 군포 경찰서장이 의왕시가 지난 풍수형국에 대해 "회룡고조의 오봉산은 금계포란형, 청계산은 청룡등천형, 왕곡동은 임금이 왕림한 곳이다"고 해석을 밝혔다. 의왕시가 공개하고 나선 이 서장의 글에 따르면 한남정맥(漢南正脈)이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 문수산(文殊山)을 향하는 북서쪽 중간지점에 의왕시(儀旺市)가 있다. 시가지 앞으로는 수리산 연봉(連峰)인 태을봉(太乙峰),관모봉(冠帽峰), 슬기봉들이 병풍을 펼치듯 조응하는 가운데 어머니 품 같이 넓고 큰 백운산(白雲山)이 시가지 뒤를 받쳐주는 진산(鎭山)으로서 청룡의 푸른 기상으로 지기(地氣)를 듬뿍 응축해주는 청계산과 함께 의왕시를 대표하는 명산이다. 뿐만 아니라 5개의 산봉우..

오봉산 아기장군바위(일명 장군바위)가 사라졌다

오봉산 아기장군바위(일명 장군바위)가 사라졌다 [04/08 의왕향토문화연구소 카페] 아기장군바위(일명 장군바위)가 사라졌다. 오봉산 북서쪽 군포시와의 경계 지점에 있던 아기장군 바위가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하여 사라졌다. 명지외고에서 시멘트 야적장 방향으로 이어지던 오솔길 오른쪽(군포시쪽)에 박혀있던 길이 3미터, 폭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의 바위가 아파트 단지 공사로 인한 도로확장시에 사라져버린 것이다. 이 바위에는 거인 발자국처럼 보이는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이 때문에 장군바위 또는 아기장군바위라는 이름과 함께 전설이 전해지고 있었다. 이 곳에서 30년간 살았다는 최병희 할머니(82세)는 "바위가 워낙 커서 아파트 단지 공사가 거의 끝날 때까지도 그대로 있더니, 어느 날 보니 파 가고 없더라"고 ..

[자료]의왕시 '儀旺'을 '義王으로' 어때요

[기사]의왕시 '儀旺'을 '義王으로' 어때요? [02/23 시민연대]주민의견 수렴 나서 의왕시 지명이 '義王'으로 바뀐다. 시는 '의왕(儀旺)'이라는 시명을 일제강점기 이전 지명인 '의왕(義王)'으로 변경키 위해 3월16일부터 31일까지 관내 5만1천200여가구를 대상으로 주민의견 수렴에 나설 계획임이 3.1절을 앞두고 알려져 관심을 끌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월 의왕시의회가 시명을 의왕(義王)으로 변경키로 의결한 바 있으며 이번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주민의 80% 이상이 찬성할 경우 시는 시명 변경에 대해 도(道)지명위원회를 거쳐 경기도와 행정자치부에 시명 변경을 건의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본래 광주군 의곡면(義谷面)과 왕륜면(王倫面)의 앞글자를 따 온 '儀王'이 옛 문헌이나 금석문에 '의왕(義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