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진기록 2075

[20201013]안양 학의천에는 비단 잉어가 산다

2020.10.13/ #안양 #동네 #하천 #잉어 #물고기/ 안양 학의천에는 비단잉어가 산다. 대한교와 동안교 중간에있는 평촌더샵세월교 밑에는 어른 넓적다리 만한 커다란 잉어들이 노니는 놀이터다. 수많은 잉어들중 눈에 뛰이는 잉어 한마리가 있으니 붉은 무뉘가 멋있는 비단잉어다. 어디서 왔을까. 누가 풀어 놓았을것 같다.

[20201011]안양 학의천 학운교 다리위 민물가마우지 배설물로 조심조심

2020.10.11/ #민물가마우지 #안양천 #학의천 #똑딱이/ 안양천과 학의천에서 찰깍한 민물가마우지. 안양천 전파교 인근을 걷다보면 수영을 하는 까만 새를 볼 수 있지요. 운이 좋으면 쌔까만 머리가 쑤욱하고 물속에서 올라오는 모습도 목격할 수 있지요. 잠수성 조류인 민물가마우지는 겨울철 철새인데 수년전부터 안양천과 학의천에서 목격되더니 이젠 텃새로 안양천과 학의천에 자리를 잡고 터줏대감이 되어 살고 있는 안양 새가 되었지요. 민물가마우지는 학운공원 앞, 오프스쿨앞, 양명고앞, 전파교 인근 등에서 목격되는데 물속으로 잠수해 물고기를 잡아먹는 모습을 볼 수 있지요. 학의천 민물가마우지들의 아지트는 학운공원 건너편 인데, 육대장앞 천변 뚝방에 설치된 2007 APAP작품으로 "살기좋은 도시 안양,산과물, ..

[20201001]안앙 하늘에 두둥실 뜬 추석 한가위 보름달

추석 한가위 보름달 보고 소원 비셨나요? 2020년 추석 보름달이 가장 늪이 뜬 10월 1일 밤 12시를 넘긴 시각 안양 하늘에 뜬 보름달 사진입니다. 이번 추석은 고향 대신 집에서 머무르는 분도 많이 계실 텐데요. 구름 사이로 숨어 좀처럼 보이지 않던 보름달이 아느순간 구름을 뜷고 환한 얼굴을 내밀기에 찰깍했지요. 마스크를 쓰고 거리두기를 준수해야 하는 등 예년과는 사뭇 다른 추석 풍경이지만, 남은 연휴 기간에도 방역 수칙 잘 지키며 안전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20200926]이용자 없어 애물단지로 전락한 안양 인라인롤러경기장

2020.09.26./ #안양 #동네 #골목 #인라인경기장 #비산동/ 안양시가 160억 원을 투입해 조성한 ‘안양인라인롤러경기장’ 2006년 세계인라인대회 이후 이용률이 저조해 “안양시민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개발제한에 묶여 있어 대안 마련이 쉽지 않아 10년 이상 표류하며 사실상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안양 비산동 소재 안양인라인롤러경기장은 국제규격의 인라인롤러경기장으로, 사업비 163억 원(도비 10억 원, 시비 152억 원)이 투입돼 지난 2006년 5월12일 개장됐다. 대지면적은 2만8천156㎡이며 현재 사단법인 부흥스포츠클럽이 위탁해 운영 중이다. 2019년 인라인롤러경기장 이용 현황을 보면 1월부터 11월까지 강습인원 포함 총 4천232명이 경기장을 ..

[20200926]충훈1~2교 안양천변에 하얀 메밀꽃 활짝

2020.09.26/ #안양 #동네 #골목 #안양천 #메밀꽃/ 어느덧 안양천에 가울이 찾아왔다. 안양천은 산책삼아 걷기도 좋고 자전거를 타도 좋은 곳인데 계절마다 다른 매력으로 단장하는 모습이 참 예쁘고 아름다운곳이다. 명학대교에서 호안교 구간에는 안양시 꽃인 개나리 군락이, 석수동 안양천 둔치에는 벚꽃나무가 아름답게 핀다. 또 몇년전부터 봄이되면 천변에 보라색의 소래풀꽃이 피어나 마치 FC안양을 응원하는 듯 싶기도 하다. sns을 통해 소식을 접하고 직접 현장 확인한 바로는 얻은 바로는 면적이 아주 넓지는 않지만 하얀 메밀꽃도 활짝 피었다. 군락지 뒤로 큰크리트 아파트가 보여 조금 거슬리기는 해도 안양 도심에서 메밀꽃밭을 만나볼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넘 감사한 일이다. 장소는 충훈1교와 충훈2교 구간..

[탐사76 ]안양 호계1동 주공아파트 주변(2015.08.15)

2015.08.15/ #안양 #안양기억찾기탐사대 #76차 #호계1동 #호계주공아차트 #호계종합시장 / 호계종합시장이 위치한 안양시 동안구 호계1동 일대는 최근 들어 대규모 재개발과 재건축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지요, △호원초등학교 주변 주택가 재개발 정비사업 △덕현지구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호계1동 주공아파트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 △호계 1동 주공아파트(단독)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 등 무려 4곳에 대한 시행 인가가 결정됐지요. 76차 탐사에서 돌아본 곳은 1984년 지어진 5770세대의 주공아트단지와 주변 단독주택지역으로 재개발사업을 통해 1100세대가 넘는 대규모 아파트 사업이 추진되는 동네입니다.. 또 평촌대로 경계에 있는 신기초등학교와 뒷말공원 주변은 평촌신도시가 지어질 당시 생긴 단독주택단지인데..

[20200923]안양 평촌을 대표하던 '국토연구원' 건축물 사라졌다.

2020.09.23/ #안양 #평촌 #옛국토연구원 #건축물/ 안양시청앞 안양 동안구 시민대로 254(관양동 1591-6)에 있던 옛 국토연구원이 사라졌다. 1994년 4월 17일 준공한 국토연구원 건물은 지하 2층~지상 10층(연면적 1만9천961㎡) 규모로 정부의 공기업 지방이전 정책에 따라 매물로 내놨던 종전부동산이다. 총 10차례 유찰된 후 2014년 11월에 안양에서 병원사업을 하는 개인 K씨에게 710억원에 매각됐다. 연구시설 용도로 건물이 지어졌지만 유찰 과정에서 업무·숙박·의료시설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규제가 완화돼 병원, 호텔, 오피스텔 등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예상됐으나 수년간 방치돼 오다가 1981년 설립된 부동산개발업체인 디벨로퍼 디에스네트웍스가 생활형 숙박시설을 짓기 위해 1350억원..

[20200924]코로나19 공원내 거리두기 모임 원천 봉쇄 조치

2020.09.24/ #안양 #동네 #골목 #코로나19 #원천봉쇄 #노송공원/ 안양시내 공원중에서 가장 강력한 원천봉쇄 조치를 보다. 안양6동 골목길에 있는 노송공원. 평소 노인들과 주변 주택가 어린이, 주부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간. 코로나19 거리두기 조치로 공원내 정자 출입을 못하게 안전차단 리본을 칭칭 감아놓았다.

[202009222]1970년대 지어진 안양4동우체국

2020.09.22/ #안양 #문화유산 #안양4동우체국 #건축물/ 197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안양 최초의 우체국 건물로 안양4동 중앙사거리에서 병목안방향 도로 일번가 CGV 1번가 클리닉 옆에 있다..이 건물은 안양5동 안양초교 건너편에 안양우체국(현 서안양우체국)이 신축된 이후 1970-90년대에는 안양역전우체국이라 불리우다가 지금은 안양4동우체국이 공식 명칭이다. 우체국 좌측으로는 제재소가 있었고 그 옆으로 시흥군 안양읍 당시 안양 최초로 전기를 공급해주던 안양변전소가 있었다. 변전소 철망 담벼락으로 이어지는 골목을 끼고 돌면 병목안 채석장행 철길과 수암천을 지나 안양중.고교로 가는 샛길이 있었다.

[20200922]추억의 전기구이 통닭 지금도 맛볼 수 있다.

2020.09.22./ #안양 #동네 #골목 #전기구이통닭 #중앙시장 #먹거리/ 얼마전 지인 페친들이 먹고파했던 전기구이통닭. 지금이야 치맥하면 다양함 종류의 치킨을 맛볼 수 있지만. 과거 통닭하면 1960대 시작된 중산층 문회로 일반 서민층이 먹기 힘들었다고 한다. 통닭은 지금처럼 튀기는 게 아니라 전기구이 방식이었다. 1960~70년대에 꼬챙이에 꿰인 채 빙빙 도는 전기통닭의 모습은 닭 요리의 대중화를 알리는 신호였다. 당시에는 퇴근후 술 한잔으로 얼큰하게 취한 아버지가 전기구이 통닭 한 마리가 담긴 “누런 봉투”를 들고 한밤중에 귀가하면 집안은 닭냄새로 진동하며 행복했다. “요리칼럼니스트 김학민씨는 ‘요리 과정이 복잡한 백숙이나 삼계탕 같은 요리가 다였던 시절 간편한 조리법의 (전기구이) 통닭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