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28

[20240116]1903년 창립 군포 둔대교회 톺아보기(2010.03.16)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18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 양훈도 군포 둔대교회 답사일 : 2010년 3월 16일 “100년 교회” 둔대교회 둔대교회는 찾기 쉽지 않다. 군포시 둔대동 434번지라는 주소만 가지고는 위치를 짐작하기 어렵다. 반월저수지를 끼고 서쪽으로 돌아가면 나오는 작은 마을 둔대교회 원 예배당과 현재 예배장소인 가건물에 도착해서도 잠시 두리번거려야 교회 방향을 가리키는 작은 팻말을 찾을 수 있다. 거기서도 100m쯤 올라가야 둔대교회(현 교회명은 둔대케네시스교회)가 나온다. 이 일대에서 유서 깊은 박 씨네 고택 바로 위에 자리잡은 작은 예배당이 군포 사람들이 “100년 교회”라고 부르는 둔대교회다. 기독교 대한 감리회 소속인 둔대케네시스교회 주보에는 교회 창립일이 1903년 3월 1..

[20240116]안양지역노동자회 회보 창간호(1988.08.07)

2024.01.16/ #아카이브 #기록 #안양노동자회 #안양/ 안양지역노동자회에서 발행한 안노회보 창간호(1988,08,07일자) 표지로 이 기록물은 안양군포의왕지역에서 민주화운동을 해왔던 정성희 소통과혁신연구소장(안양노동자회 초대회장)이 보관해 왔던 자료다. 안양지역노동자회는 임금인상 및 노동조건 개선 투쟁, 노동조합 결성과 지역연대를 촉진하는 동시에, 이 땅의 자주 민주 통일을 위한 노동자 정치실천에도 앞장섰다 안양권에서의 87년 6월 항쟁은 곧바로 사업장에서의 노조설립과 근무조건 개선을 위한 파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7·8·9 노동자대투쟁과 연계되어 한 묶음으로 진행되고, 다양한 문화운동을 꽃피우면서 안양지역의 사회운동이 만개하는 시기가 열리는 촉진제였다. 87년 7월 27일 한국제지를 시작으..

[20240116]의왕 한센복지협회 부설의원 톺아보기(2018.09.07)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20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I 양훈도 한국한센복지협회 답사일 : 2018년 9월 7일 성 나자로 마을 초입에 한국한센복지협회가 온 사연 한국한센복지협회의 주소는 의왕시 원골로 59이다. 의왕 모락산 자락에 자리잡은 성 나자로 마을의 초입이다. 한국한센복지협회를 지나 옆길로 올라가면 성 나자로 마을이 나온다. 성 나자로 마을은 1951년 현재의 위치에 터를 잡은 구라사업救癩事業 기관이자 한센인 재활의 터전이다. 구라사업이란 2000년 이전까지 나병 혹은 ‘문둥병’으로 불리던 환자들을 돕기 위한 활동을 일컫는다. 나병은 2000년 공식 병명이 한센병으로 바뀌었다. 나병 환자들이 겪었던 고통과 사회적 차별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다. 한국한센복지협회가 의왕 성 나자로 마을 ..

[20240116]의왕 하우현성당 톺아보기(2009.07.17)

하우현성당 하우현(下牛峴) 성당은 현재 200여 명의 신자 수로 교우촌을 형성하고 있는 작은 본당에 불과하나, 본당 설정 역사 125주년을 맞은 유서 깊은 역사를 가진 성당이다.하우현(下牛峴)은 1884년에 공소 공동체의 모습을 갖추고,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에서 파견된 프랑스인 귀스타브 샤를 마리 뮈텔 신부 등이 정기적으로 순방하였다. 이때까지도 한국 천주교는 박해하에 있었기 때문에, 뮈텔 신부는 상복으로 변장하고 은밀히 하우현을 방문하였다.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1886년 이후, 한국에서도 천주교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기 시작했다. 이 조약이 비준된 이듬해인 1888년 7월, 왕림(갓등이)이 최초로 본당으로 승격하여 하우현의 모(母) 본당으로 하우현까지 관할하였다.1900년 9월경 갓등이 성당에서 분..

[20240116]의왕 성라자로마을 톺아보기(2010.05.25)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20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I 양훈도 성 라자로 마을 답사일 : 2010년 5월 25일 한센병을 묵상한 50년 의왕시 오전동 87 성 라자로 마을은 모락산 서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성라자로 마을은 무의탁 한센병 환자의 입원 치료와 치유된 환자의 사회 복귀 및 자활 터전을 마련해 주고자 설립된 한국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이다. 구라사업은 2000년 공식 병명이 한센병으로 바뀌기 전까지 나병 환자로 불리던 이들을 돕기 위한 활동을 일컫는다. 성 라자로 마을 설립은 6·25 직전인 1950년 6월 2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 메리놀 외방선교회 소속 제오르지오 캐롤 신부가 시흥군 서면 광명리 신기촌(현재의 광명시)에 ‘성 나자로원’을 세웠다. 훗날 주교가 된 캐..

[20240116]의왕 백운저수지 톺아보기(2019.07.27)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20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I 양훈도 백운저수지 답사일 : 2009년 7월 17일 평촌 들판 젖줄이었던 저수지 의왕~과천 고속도로에서 언뜻언뜻 내려다보이는 백운호수는 아름답다. 여름에는 푸른 물살을 가르는 모터보트가 시원해 보이고, 겨울에는 호수 얼음을 지치는 광경이 흐뭇해 보인다. 호수를 둘러싼 청계산과 백운산 줄기의 숲은 계절마다 달라지는 색감을 호수 수면 위에 드리운다. 이렇듯 의왕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이자 가볼 만한 곳 첫손에 꼽히는 백운호수는 원래 농업용 저수지였다. 백운저수지 축조가 시작된 해는 1951년이다. 그해 9월 1일 서쪽 산자락에서 흙을 퍼다가 제방을 쌓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원래 이곳에 저수지를 만든다는 계획은 일제강점기부터 있었다...

[20240115]1951년 무렵 성 라자로마을 나환자 요양원 숙소

2024.01.1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51/ 1951-52년 무렵 나환자들이 거주했던 성라자로마을 요양원 숙소. 성 라자로마을은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원골로 66)에 위치한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으로 1950년 6월 2일에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서울 근교의 유랑 나환자들에 대한 구호 및 의료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메리놀외방전교회 소속의 캐롤(Carroll,G.) 주교가 1950년 6월 부천군 오류동에 성라자로원을 개원하였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그 활동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으로 약 8,000명에 달하던 나환자들이 수용소에서 풀려나 극도의 빈곤과 질병에 버려지자, 캐롤 주교는 1951년 경기도 화성군 일왕면 오금리 산 87(현 의왕 ..

[20240115]1951년 무렵 성 라자로마을 성당과 종탑

2024.01.1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50/ 1950년대 성 라자로마을 초창기 성당과 종탑. 성 라자로마을은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원골로 66)에 위치한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으로 1950년 6월 2일에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서울 근교의 유랑 나환자들에 대한 구호 및 의료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메리놀외방전교회 소속의 캐롤(Carroll,G.) 주교가 1950년 6월 부천군 오류동에 성라자로원을 개원하였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그 활동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으로 약 8,000명에 달하던 나환자들이 수용소에서 풀려나 극도의 빈곤과 질병에 버려지자, 캐롤 주교는 1951년 경기도 화성군 일왕면 오금리 산 87(현 의왕 내손동)에 20만평의..

[20240115]안양화약고 발화(1946.04.21 동아일보)

2024.01.10./ #아카이브 #옛신문 #기록 #역사 #동아일보 #since1946/ 동아일보 1946,04,21일자 기사. 안양화약고 19일 발화 “19일 정오경 안양에 잇는 전군용지 산에서 돌연 큰불이 났는데 이는 전에 일인들이 산에저정했든 폭발화약을 폭발 식혀 업새다가 불덩어리가 나무에 연소된 것이다 불은 곧 진화되었스나, 산에는 아직도 폭발물이 남어있는만큼 금후 안전한대책을 마련하여 주기를 일반주민들은 바라고 있다.“ 옛 어르신들의 구술과 기록을 보면 일제는 박달군용지에 1941년경 일본군 평양육군병기창 안양분창을 건살해 탄약고를 비롯 각좉 군수물자르 저장했디.일본 패망후 군용지 시설을 접수한 미군이 탄약고를 폭발시켜 저정된 포탄을 없앴다. 하지만 엣 신문들을 보면 미군의 탄약고 폭팔 이후에도..

[20240114]안양지역 12.16 대통령선거 부정선거 자료집(1987년)

2024.01.14/ #아카이브 #기록 #대통령선거 #안양 # #민중미술/ 1987년 12.16 대통령선거 부정선거에 대해 규탄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안양지역 자료집으로 안양지역공정선거감시단,안양민주노동자연합준비위원회, 한국기독노동자안양지역연맹준비워원회, 경서지역기독청년협의회(EYC), 민주쟁튀경서지역기독공동위원회에서 공동발행했다. 자료집 잎 표지에는 구림사랑 동우회 우리그림에서 제작한 걸개그림 열사해원도, 뒷면에는 협처가 소개됐는데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故신하철, 초대 민선시장을 역임했던 故이석용, 현재도 안양지역 원로로 활동하고 계신 임정조 고문 등 낯익은 이름들이 보인다. 이 자료는 그림사랑동우회 우리그림에서 활동한 이억배 작가가 수집해 보관해왔던 기록물로 지난 2019년,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