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28

[20240118]안양천에서 천연기념물 제327호 원앙을 만나다

2024.01.18/ #도시기록 #원앙 #안양천/ 안양 석수동 화창습지앞 안양천에서 원앙을 만나다. 원앙은 기러기목 오릿과에 속하는 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돼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2만마리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원앙은 주로 산간 계곡이나 하천, 저수지에 서식한다. 암수 한 쌍이 항상 같이 생활하는 것이 특징이어서 예로부터 백년해로와 화목한 부부를 상징해 왔다.

[20240119]성라자로마을 의무부 라자니신부와 아이들(1950년대)

2024.01.18/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50/ 의왕에 자리한 성라자로마을의 10950년대 사진으로 의무부 라자니 신부님과 아이들 모습이 담겨있다. 성 라자로마을은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원골로 66)에 위치한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으로 1950년 6월 2일에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서울 근교의 유랑 나환자들에 대한 구호 및 의료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메리놀외방전교회 소속의 캐롤(Carroll,G.) 주교가 1950년 6월 부천군 오류동에 성라자로원을 개원하였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그 활동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으로 약 8,000명에 달하던 나환자들이 수용소에서 풀려나 극도의 빈곤과 질병에 버려지자, 캐롤 주교는 1951년 경기도 화성군 ..

[20240118]1987년 컬러판화로 제작한 열사해원도

2024.01.18/ #아카이브 #기록 #열사해원도 #컬러판화 #since1987/ 1987년 그림사랑동우회 우리그림에서 제작한 컬러 판화로 제작된 열사해원도이다. 1987-88년 안양지역에서 있었던 수많은 노동, 집회 현장에서 뿌려진 유인물과 자료집 표지를 통해 선보였던 유명한 작품이다. 이 자료는 그림사랑동우회 우리그림에서 활동한 이억배 작가가 수집해 보관해왔던 사진 기록물로 지난 2019년,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한 '시점時點·시점視點-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전'을 통해 시민들에게 소개됐으며 현재는 경기도 메모리에 저장돼 있다.

[20240118]안양문화운동연합 창립대회 책자(1988.10.16)

2024.01.18/ #아카이브 #기록 #안양문화운동연합 #리플렛 / 1998년 10월16일 개최된 안양문화운동연합 창립대회 관련 책자로 아래 첨부한 PDF파일을 통해 수록된 정관과 창립선언문, 발기인 명단, 회원가입 안내 내용 등을 볼수있다. 이 자료는 그림사랑동우회 우리그림에서 활동한 이억배 작가가 수집해 보관해왔던 기록물로 지난 2019년,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한 '시점時點·시점視點-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전'을 통해 시민들에게 소개됐으며 현재는 경기도 메모리에 저장돼 있다.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안양권에서의 87년 6월 항쟁은 곧바로 사업장에서의 노조설립과 근무조건 개선을 위한 파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7·..

[20240117]안양노동문화큰잔치 걸개그림(1998년)

2024.01.17/ #아카이브 #기록 #민중미술 #걸개그림/ 1988년 3월10일 안양 중앙교회에서 열린 안양노동문화 큰잔치에 걸린 걸개그림으로 그림사랑동우회 우리그림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자료는 그림사랑동우회 우리그림에서 활동한 이억배 작가가 수집해 보관해왔던 기록물로 지난 2019년,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한 '시점時點·시점視點-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전'을 통해 시민들에게 소개됐으며 현재는 경기도 메모리에 저장돼 있다. 경기도메모리 파일 보기: https://memory.library.kr/dext/file/view/resource/146495

[20240117]안양 유유산업 옛 공장 톺아보기(2010.05.25)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18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 양훈도 안양 유유산업 옛 공장 답사일 : 2010년 5월 25일 신라 고찰古刹 터 위의 첨단 제약공장 유유산업(현 유유제약) 옛 공장은 안양시 석수동 안양예술공원(옛 안양유원지)으로 올라가는 초입에 있다. 지번상으로 석수동 212번지인 이 공장 자리는 아직 남아있는 굴뚝 때문에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하다. 사전 지식 없이 이곳을 찾은 방문 객이라면 입구에서부터 두 번 놀라게 된다. 우선 수위실이 독특하다. 공장의 수위실이라고 믿어지지 않는 조형미를 갖추었다. 정문 왼쪽에 큰 가람의 상징인 당간지주와 삼층석탑이 있다는 사실은 더욱 놀랍다. 첨단 의약품이 주 생산품목이었던 공장에 1,200년 전 신라 고찰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안으로 들어..

[20240117]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톺아보기(2018.09.17)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18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 양훈도 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답사일 : 2018년 9월 7일 이제는 흔적만 남은 안양 유일의 국립기관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480번지(안양로 175)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15년 12월 이삿짐을 싸기 시작해 2016년 4월 경상북도 김천혁신도시로 이전을 완료했다. 1942년 가축위생사업소라는 명칭으로 안양에 터 잡았던 시점부터 따지면 74년 만이고, 1964년 새로운 청사를 짓고 전국의 본부로 새롭게 출발한 해로부터는 계산해도 반세기가 넘는다. 안양시민들에게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가축연구소 혹은 수의과학검역원이라는 이름이 더 친숙하다. 1964년 새 청사를 지으면서 안양가축연구소라 개칭했고, 1998년에 국립 수의과학검역원으로 명칭이 바뀌었기..

[20240117]의왕 성라자로마을 입구 아치 조형물(1971년)

2024.01.1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71/ 1번국도변애 세워졌전 성라자로마을을 상징하는 삼각 아치형 조형물. 이 조형물은 1971년 7월 23일 세워졌으며 문 옆에는 역시 김세중 교수가 조각한 ‘새삶의 예수상’이 있다. 처음에는 서울-수원간 1번국도(경수산업도로) 입구에 세워져 버스를 지나다 조형물을 보면 성라자로마을 임을 알수 있었다. 지금은 삼각형 아치와 조형물이 약 500여 미터 안쪽인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사진 왼쪽 뒤로 보이는 산이 모락산이다. 정문의 조형물을 지나 성라자로마을까지 좌우는 1970년대 야산과 밭이다. 좌측 산자락 밑에 고천국민학교(현 고천초교) 오전분교가 있어 나환자 자녀들이 다녔다. 1980년에는 라자로마을 가는길 주변에 양계..

[20240116]경기도 민주화운동 열사.공로자 추모집 편찬

2024.01.16/ #책 #자료집 #추모집 #경기도민주화운동/ 경기도민주회운동기념행사위원회에서 2023년 경기도 민주화운동 열사와 공로자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 편찬했다. 추모집에0는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민주화운동 열사와 지역에서 민주화운동을 펼치다 돌아가신 분들을 공로자로 편집하여 함께 수록하였다. 공식적으로 민주화운동 열사를 엮은 책은 있지만, 이렇게 지역에서 잊혀져 가는 많은 운동가를 함께 싣은 추모집은 처음으로책자에는 경기노동해방 민주열사 39명과 경기청년학생시민열사 59명 등 98명의 명단과 그들의 삶이 수록돼 있다. 경기도민주화운동 열사, 공로자 추모집은 유문종[전, 수원시제2부시장]편찬위원장과 구본주, 김현수, 문경식, 진승일, 한숙자, 김영균 등의 편찬위원들이 경기도 내 지역별로 ..

[20240116]안양풀-안양유원지 톺아보기(2009.10.06)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18 경기도 근현대 생활문화 II 양훈도 안양유원지(안양예술공원) 답사일 : 2009년 10월 6일 계곡을 막은 다섯 개의 풀장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에 위치한 오늘날의 안양예술공원에 가서 옛 안양유원지 시절을 떠올리기란 쉽지 않다. 공원 입구에 빽빽이 들어선 고층 아파트의 숲, 계곡을 따라 번듯하게 들어선 상점들, 세련미를 자랑하는 갖가지 예술 작품과 조형물, 그 사이를 한가롭게 산책하는 시민들은 유원지 시절과는 사뭇 다른 풍경을 빚어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술공원이 끝나는 부분까지 올라가서 찬찬히 입구 쪽으로 계곡을 따라 내려오다 보면 적어도 1970년대까지 소급할 수 있는 낯익은 유원지 풍경의 편린을 언뜻언뜻 만날 수 있다. 약간의 상상력을 발동해 계곡물이 철철 흘러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