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824

[20250227]1930년대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조회장면

2025.02.27/ #아카이브 #옛사진 #역사 #since1930년대/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조회장면. 사진 촬영시기 미상안양박물관 소장원본 해상도 617 * 452명칭: 안양공립강습소 조회장면국적/시대한국: 시대미상분류미디어: 기록물,사진기록, 사진재질합성재질: 합성수지크기: 가로 25.3cm, 세로 18.7cm소장품번호: 기증 15 안양공립소학교(현 안양초등학교)는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우체국사거리 중화한방원 뒤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1929년 12월 20일 안양공립소학교로 개교했으며 2024년 제 92회 졸업생(144명)까지 그동안 39,975명을 배출한 안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로 개교 당시에는 4년제로 유지되다가 후에 6년제로 바뀌면서 안양 교육 발전에 초석을 다졌다.

[20250227]안양시 '먹거리 정보' 플랫폼 새롭게 개편

안양시 먹거리종합지원센터가  '먹거리 정보 플랫폼'(https://www.ayfoodplan.or.kr)을 새롭게 개편했다. 개편된 안양시 먹거리 정보 플랫폼은 ▲ 먹거리 계획 ▲ 정보광장 ▲ 참여 마당 ▲ 알림 마당 ▲ 센터 소개 등으로 구성됐다. 맞춤형 먹거리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식생활 교육과 사업 등을 손쉽게 찾아보고 참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센터는 안양시의 다양한 먹거리 관련 기초현황 조사 결과와 먹거리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결과 등을 시각화한 시민홍보용 카드 뉴스도 제작해 플랫폼에 공개할 예정이다. 박미진 센터장은 "이번 개편은 시민들이 저탄소 식생활을 적극 실천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서 "앞으로도 시민들의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목표로 종합적인 먹거리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최병렬]안양사(安養寺)와 7층 전탑지 발굴 현장 기록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번지 옛 유유 안양공장이 세워진 중초사(中初寺) 터가 고려 태조 왕건(877~943)이 세운'안양사'(安養寺) 였다는 사실이 안양사 명문기와 발굴에 어어 문헌속 안양사 7층 전탑 터가 1100년 만에 발굴됨으로써 확인됐다. 재단법인  (재)한울문화재연구원(원장 김홍식, 이하 한문연)이 2010년 8월 유유 안양공장 부지에 대한 1, 2차 발굴조사를 통해 고대가람 안양사 흔적을 찾고 문화재청이2020년 8월 4일 현장에서 지도위원회를 열고 실체를 확인함으로써 안양이란 지명이 고려시대 안양사에서 유래했다는 사실까지 알게 됐다. '안양(安養)' 지명의 유래가 된 '안양사(安養寺)'는 '동국여지승람' 금천불우조(衿川佛宇條)에 삼성산에 '안양사(安養寺)가 있어 남쪽에 고려태조가..

[20240227]1960년대 안양 석수동 산자락의 탄약 저장고

2025.02.27/ #아카이브 #옛사진 #탄약고 #안양 #석수동 #석수산 #주한미군 #83병기대대 #since1968 안양 석수동에 있던 미 83병기대대가 관리하던 탄약 저장소 모습으로 현재의 석수체육공원 뒷산인 석수산이다. 83변기대대 전령(우편병)으러 근무했던 닐미샬로프가 기록한 사진이다. 어릴적 안양시 석수동 경부선 철길위 안양육교가 놓여지기전 철도건널목이 있을 당시 버스를 타고 서울을 다녀오다 건널목을 지날 무렵 창밖으로 보면 산자락에 콘세트 막사 형태의 탄약저장소가 있던 모습을 보았다.이 탄약고는 석수동에 있던 미 8군에하으 83병기대대가 박달동 군용지 탄약고와 함께 운영하고 관리했다. 미 83병기대대는 특수탄약을 관리하던 부대로 박달동 수리산 자락의 군용지라 불리우던 탄약 벙커에 있던 전술 ..

[20250225]1938년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제8회 졸업

2025.02.26/ #아2025.02.26/ #아카이브 #옛사진 #역사 #since1938/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제8회 졸업기념사진. 소화13년(1938년) 3월에 찰깍안양공립강습소 졸업기념국적/시대한국 - 일제강점분류미디어 - 기록물 - 사진기록 - 사진재질합성재질 - 합성수지크기가로 25.3cm, 세로 19.1cm안양박물관 소장품 번호 기증 14 안양공립소학교(현 안양초등학교)는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우체국사거리 중화한방원 뒤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1929년 12월 20일 안양공립소학교로 개교했으며 2024년 제 92회 졸업생(144명)까지 그동안 39,975명을 배출한 안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로 개교 당시에는 4년제로 유지되다가 후에 6년제로 바뀌면서 안양 교육 발전에 초석을 다졌..

[20250226]의왕 중고통합형 내손중고등학교 3월4일 개교

의왕시 내손동 846-2번지 일원으로 옛 포일자이 한쪽 켠에 남겨진 1만4000㎡  부지에 의왕 내손중고등학교가 들어서 오는 3월 4일 문을 연다. 학교 주에는 내손다, 라구역 등 주거정비사업이 한창으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완공되는 2026-2027년 입주가 예상된다. 중·고등학교 통합운영 방식을 도입한 내손중고등학교는 대안교육 특성화 학교로 중학교 12학급, 고등학교 12학급으로 총 24학급운영을 목표로 했으나, 현재는 중학교 11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과 고등학교 1학급이 구성된 상태다. 학급당 학생 수는 22명 이내로 제한해 맞춤형 교육과 균형 잡힌 인성과 국제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특히 내손중고등학교는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을 도입..

[20250226] 의왕~경기 광주 4차로 고속도로 본격 추진

의왕시 청계동에서 광주시 초월읍 학동리를 연결하는 ‘의왕~광주 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3월 18일 오후 2시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기후변화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주민 설명회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고속도로는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되며,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에서 국가간선도로망 동서8축의 단절구간(의왕~광주)을 연결하는 핵심 사업이다. 완공되면 인천공항에서 강원 원주(강릉)까지 이어지는 국가기간망이 완성돼 수도권과 강원권을 오가는 교통이 한층 편리해질 전망이다. 고속도로는 총 연장 32km(본선 30.5km, 지선 1.5km)로, 의왕시 청계동(제2경인고속도로, 북청계IC)에서 광주시 초월읍 학동리(제2영동고속도로, 경기광주JCT)까지..

[20250225]시흥군청 표기된 1918년 영등포(永登浦) 지도

2025.02.25/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시흥군 #since1911/ 시흥군청이 영둥포에 있던 1911년 발행된 영등포 지도1918년 영등포(永登浦)지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문서 측도연도 1917 제판연도 1918 J099-030-006 1:10,000 조선시대 경기 시흥동(현 금천구)에 있던 시흥군청 소재지가 일제강점기인 1910년 영등포로 이전한다. 이 지도는 1918년 발행된 영등포 지도로 영등포 일대의 지형지물이 상세하게 표기돼 있다.자료를 보면 시흥군청은 1911년부터 1949년까지 지금의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경인국도 언덕배기에 있었다. 일제 때에는 현 영등포구의 절반과 대림동 일대까지 시흥군에 속했을 정도였다고 한다.행정구역상 아주 거대했던 시흥군의 역사를 보면 1910년..

[20250225]안양과 한동네였던 서쪽 너머 목감(牧甘里)

목감동(牧甘洞)  목감동은 시흥시 중심부에서 동쪽에 위치한다. 동북쪽으로 안양시, 남쪽으로 안산시, 서쪽으로 연성동, 북쪽으로 매화동과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17.57㎢로 시흥시 전체 면적의 12.9%를 차지한다. 1989년 시흥시 출범 당시 논곡동ㆍ목감동ㆍ광석동ㆍ능곡동ㆍ조남동ㆍ산현동ㆍ물왕동ㆍ하상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개청하였는데, ‘시흥시출장소설치조례’(시조례 제230호)에 따라 1991년 1월 15일 광석동ㆍ능곡동ㆍ하상동이 연성출장소로 분소하여 관할 법정동이 축소되었다. 조선시대 이 지역에 ‘목암사(木岩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경내의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절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자 목암사의 ‘목’자와 단감나무의 ‘감’자를 따서 ‘목감’이라 했다는데서 동명이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20250225]안양 인덕원(관양동) 마을 근대 이야기(고정웅)

2025.02.25/ #기록 #안양 #인덕원 #봉천마을/시흥문화원 주최로 2016년 7월28일 열린 제6차 시흥지역문화세미나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 자료에 실린 고정웅 안양향토연구소장 발표 자료 인덕원 봉천마을이야기>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자료집에는 옛 시흥군 권역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시흥행궁의 역사와 문화적인 환경조성, 관악의 역사, 추곡 정제두와 한국양명학, 1919년3월31일 의왕면사무소 앞 독립만세운동, 양재의 역사와 운명 외 5건의 세미나 발표 자료를 수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