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862

[20250302]의왕 두부요리 한정식 <민속두부마을>

2024.03.02/ #의왕맛집 #민속두부마을 #의왕 #군포 #보쌈 #전골 #두부 #콩탕/ 비 내리는 일요일 저녁식사 초대 받았는데 일요일 영업하는 곳을 찾기가 쉽지않다. SNS에 올린 사진을 뒤적이다가 찾아낸곳. 예전에 직접 만든 두부요리를 맛나게 먹었던 의왕 고천동과 군포 당동 경계 오봉산 입구에 자리한 민속두부마을을 오랫만에 방문하다. 휴일을 맞아 부모님과 어르신들을 모시고 찾아온 가족 단위 손님들이 많다. 그만큼 음식이 건강식이라는 얘기다. 옛날 한옥 형태로 지은 건물과 주차장이 넓고 야외 공간에 휴식공간도 있다. 승용차가 없으면 가기 불편. 두부를 직접 만든다. 음식을 주문하면 처음 서비스로 대나무통에 담아 내주는 순두부가 별미(리필가능). 주인 아주머니가 단골손님에게만 내주는 콩탕은 더욱 별미..

[20250302]안양변전소와 수리산을 넘어오는 송전탑

2025.03.01/ #도시기록 #안양 #변전소 #골목 #안양6동/ 안양시 만안구 일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안양변전소와 수리산을 넘어오는 송전탑. 안양4동 수암천변에 있던 옛 시흥군 최초의 안양변전소(since1928)가 1967년  안양6동 496번지 일원 현재의 자리로 이전해 자리잡았다. 외부에 노출돼 있던 전력 변전시설이 2014년부터 시작한 변전소 옥내화사업을 통해 2016년새로 신축한 건물 실내로 모두 들어가 지금은 여기가 변전소인가 싶을 정도로 변했다.전력 변전시설이 건물 내부로 들어가기전인 외부에 설치돼 있을 당시 인근 주민들은 변전소에서 24시간 동안 웅웅거리며 들려오는, 낮고 길게 퍼지는 소음에 시달리고, 안개가 끼거나 비오는 날에는 변압기 소켓 근처에 파란색 코로나 또는 불꽃이 보이기도 ..

[20250301]1931년 3월1일 기미독립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2025.03.01/ #삼일절 #독립 #역사 #독립선언문 #106주년 1919년 3월 1일 3·1 운동에 맞추어 민족대표 33인이 당시 일제 강점 하에 있던 조선의 독립을 국내외에 선언한 글. 3·1 독립 선언서(三一獨立宣言書)라고도 불린다. 원래는 건의서 형식으로 작성되기로 하였으나, 건의서는 민족 자결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선언서를 따로 작성해야 한다는 최린의 주장으로 선언서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최남선이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천도교 인쇄소인 보성사에서 조판 인쇄하였다. 기미 독립 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全文)宣言書(선언서)  吾等(오등)은 玆(자)에 我(아) 朝鮮(조선)의 獨立國(독립국)임과 朝鮮人(조선인)의 自主民(자주민)임을 宣言(선언)하노라. 此(차)로써 世界萬邦(세계 만방)에 告(고)하야 ..

[20240228]안양일번가몰에 <안양시공익활동지원센터> 조성

2025.02.22/ #도시기록 #궁간 #시설 #안양역지하상가/ 안양시공익활동지원센터 공간 조성 공사가 한창 진행중인 안양역지하상가.위치: 안양일번가몰(안양역지하상가) 중앙 통로에서 2번 출구 방향. 안양시는 시민들의 욕구 증가와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양일번가몰(안양역지하상가)에 안양시공익활동지원센터(지원센터)를 건립을 추진중이다. 지원센터는 공익활동 영역 전반을 의미하는 ‘시민사회’를 지원하는 중간 지원조직으로 시민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제도와 정책 개선 활동, 교육‧훈련을 통한 인재 육성 등 인적·물적 지원을 주관하는 기관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22년 10월 시민사회 수요에 따른 공익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시민사회 활성화 및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안을 제정했다. 이 조례를..

[최병렬]군포장(軍浦場) 역사와 군포장 지도 변화(2025.03.01)

2025.02.28/ #아카이브 #엣지도 #역사 #기록 #군포장 도시의 지형을 기록한 역사속 지도를 보면 둥쪽과 북쭉으로 관악산과 삼성산, 남쪽과 동쪽으로 청계산과 백운산과 모락산, 서쪽으로는 수리산에 들러쌓인  안양군포의왕과천지역의 경우 유독 군포장 제목의 지도들이 많다. 이는 조선시대부터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를 지나 1950년대 한국전쟁 시기까지 군포장 지역이 매우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양시 지명유래』등 역사적 기록을 들여다보면, 군포장(軍浦場)은 수원에서 지지대 고개를 넘어 안양을 거쳐 한양으로 가던 시흥로 역로(驛路)의 중간 지점인 현재의 안양천 (맑은내, 군포천) 군포교와 구군포교 중간 지역인 안양시 호계동 평촌두산위브(더프리임+리버뷰) 아파트 단지와 호계구사거리 주변으로 궁포..

[20250228]안양 최초 장로교 '부림말교회' 100년전 기록 만나다

2025.02.27/ #사람 #역사 #기록 #부림말교회 #동은교회/  1910년 설립돼 안양권(안양.군포.의왕.과천) 최초의 장로교회인 부림말교회(현 동은교회)의 초창기 기록(사진과 서류 등)들을 확인하고 검토하는 자리에 초대받아 다녀오다. 현 동은교회 안병인 사무장등 기록의 중요성을 알고 계시는 분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발견한 초창기 부림말교회의 당회록, 영수증 등 옛 문건을 잘 보관해왔으며 지금도 교회의 역사와 뿌리찾기 계속하고 있다.  이날 옛 기록물을 학인하는 자리에는 부림말교회 설립자로 문학선 성도의 후손인 문화영 안산비전교회 집사의 주선으로 동은교회에서 초창기 사역을 했던김홍준 목사님 큰 아드님인 김성호 목사(협성대 명예교수)를 비롯 동은교회 정종수 은퇴장로 안병용 장로, 안병인 장로(사무장),..

[20250228]1957년 발행한 군포장(軍浦場) 지형도

2025.02.28/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군포장 #since1957/ 1957년 2월 10일 상능공업사 발행 축척1:50,000 군포장 지형도. 서울, 인천, 부천, 시흥, 화성 등 표기.출처: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344000300005700000 군포장 지형도 - e뮤지엄 소장품검색군포장 지형도 시흥오이도박물관 / 기타지정 원본 해상도 5894 * 3929 이미지 다운로드 명칭군포장 지형도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재질종이 - 기타 국가지정유산기타지정 소장품번호 구입 57 제www.emuseum.go.kr 명칭: 군포장 지형도소장: 시흥오이도박물관원본 해상도:  5894 * 3929재질: 종이 - 기타소장품번호: 구입 57

[20250227]미 육군지도국이 1946년 제작한 군포장 지도

2025.02.27/ #아카이브 #옛지도 #군포장 #미육군 #since1946/ 명칭: 군포장(1946년 미육군지도국 제작) 지도출처: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2500801095300000 군포장 지도 - e뮤지엄 소장품검색군포장 지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원본 해상도 6294 * 4196 이미지 다운로드 명칭군포장 지도 다른명칭한반도 지역별 지도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전통과학 - 지리 - 지도 - 군현지도 재질종www.emuseum.go.kr 소장: 대한민국역사박물관명칭:군포장 지도재질: 종이작가: 미육군지도국(U.S. Army Map Service)소장품번호: 구입 10953 1946년 미육군지도국(U.S. Army Map Serv..

[20250227]1930년대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조회장면

2025.02.27/ #아카이브 #옛사진 #역사 #since1930년대/ 안양공립보통소학교 조회장면. 사진 촬영시기 미상안양박물관 소장원본 해상도 617 * 452명칭: 안양공립강습소 조회장면국적/시대한국: 시대미상분류미디어: 기록물,사진기록, 사진재질합성재질: 합성수지크기: 가로 25.3cm, 세로 18.7cm소장품번호: 기증 15 안양공립소학교(현 안양초등학교)는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우체국사거리 중화한방원 뒤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1929년 12월 20일 안양공립소학교로 개교했으며 2024년 제 92회 졸업생(144명)까지 그동안 39,975명을 배출한 안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교로 개교 당시에는 4년제로 유지되다가 후에 6년제로 바뀌면서 안양 교육 발전에 초석을 다졌다.

[20250227]안양시 '먹거리 정보' 플랫폼 새롭게 개편

안양시 먹거리종합지원센터가  '먹거리 정보 플랫폼'(https://www.ayfoodplan.or.kr)을 새롭게 개편했다. 개편된 안양시 먹거리 정보 플랫폼은 ▲ 먹거리 계획 ▲ 정보광장 ▲ 참여 마당 ▲ 알림 마당 ▲ 센터 소개 등으로 구성됐다. 맞춤형 먹거리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식생활 교육과 사업 등을 손쉽게 찾아보고 참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센터는 안양시의 다양한 먹거리 관련 기초현황 조사 결과와 먹거리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결과 등을 시각화한 시민홍보용 카드 뉴스도 제작해 플랫폼에 공개할 예정이다. 박미진 센터장은 "이번 개편은 시민들이 저탄소 식생활을 적극 실천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서 "앞으로도 시민들의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목표로 종합적인 먹거리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