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천에 100억원을 투입하여 꽃밭을 만드는 이른바 안양시의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 사업 계획안에 대해 시민사회와 지역 환경단체들의 강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안양시가 지난 7월 11일 오후 안양시청 4층 대회의실에서 지방하천 조성사업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시민환경단체 관계자와 안양천 유역 주민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하지만 시.도의원은 단 한명도 없었다.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사업은 안양천을 유역으로 하는 경기도권 4개 시(광명, 안양, 군포. 의왕)가 ‘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어서는 광역 협력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날 주민설명회는 주무팀장의 인사말과 셜명에 이어 과업수행사 관계자가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사업에 대한 사업의 개요, 기본계획, 정원계획 등에 설명했다. 이후 참석한 시민들로 부터 질의와 건의를 받았으나 대다수 참석자들은 “자연형 하천을 일회성 꽃밭으로 만드는 사업”이라고 비판하며 예산 편성과 향후 유지비에 대한 문제 제기와 더불어 우려를 제기했다.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안양시는 안양천에 총 100억 원 규모의 지방정원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 중 40억 원은 열병합발전소 주변지역에 지원되는 특별지원금에서 충당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예산은 발전소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겪고 있는 인근 주민들을 위한 복지·환경개선 목적으로 쓰여야 하며, 안양천 조경 사업에 전용하는 것은 주민 동의 없는 왜곡이라는 지적했다.
또 한 시민은 “이미 수달과 원앙이 돌아오고 있는 자연형 하천을 꽃밭으로 바꾸는 것이 정원이냐”며, “매년 여름이면 범람하는 하천에 계절 꽃을 반복해 심는 관리비만 낭비하는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생태보전을 우선시해야 할 하천 구역을 ‘정원’이라는 이름 아래 과도하게 인위적으로 손대는 것에 우려하자 참석자들 다수가 동의하는 목소리를 던졌다.
또다른 시민은 “이미 녹지 기능을 하고 있는 하천부지를 손보기보다, 도심 내 유휴지나 콘크리트 공간을 생태 녹지로 바꾸는 것이 진짜 녹지확대”라며, “정원사업이라는 명목으로 생태복원 성과를 되돌리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주민설명회 이후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은 보도자료를 통해 안양시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요구했다.
• 지방정원 조성사업 내용 전면 재검토
• 생태하천 보전 중심의 계획 수립
• 발전소 특별지원금의 주민 복지 목적 사용
• 연간 유지관리 비용 산출 및 범람 전후 시설 관리방안 공개
• 도심 유휴지 중심의 녹지 확장 정책으로 방향 전환
노훈심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이미 생태적 회복을 이루고 있는 안양천을 인위적으로 꾸미는 방식보다는, 본래의 자연성을 지키며 시민이 함께 가꾸는 방향으로 계획이 조정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양천은 1999년부터 시민환경단체들로 구성된 안양천살리기네트워크와 안양시를 비롯한 안양천 유역 지자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자연형하천으로 복원한 생태계 복원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시민들은 이 하천이 ‘꽃밭’이 아니라 ‘살아 숨 쉬는 자연’으로 유지되길 바라고 있다.
한편 경기권 4개 지자체는 올해 하반기 경기도로부터 지방정원 조성계획을 승인받는 것을 목표로 실시설계 및 한강유역환경청 등 관계기관 협의를 진행하고, 오는 8월경 지방정원 조성계획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후 2026년에 지방정원 등록을 신청하고 이후 3년간 운영 실적 등을 토대로 2029년에 국가정원 지정 신청을 한다는 목표다.
앞서 지난 2024년 안양・군포・의왕・광명 등 경기권 4개 지자체는 안양천 국가 정원 지정 추진사업을 위한 공청회 개최와 함께 5월에는 안양・ 의왕・군포・광명(경기권)과 금천・구로・양천・영등포(서울권) 등 총 8개 지자체가 안양천을 국가정원으로 만들기 위한 ‘안양천 명소화·고도화 협약’을 맺고, '안양천 국가 정원 지정 지방정부 협의회'를 출범시킨 바 있다.
지방정원 조성예정지 주요 계획에 따르면, 사업면적은 39만7000㎡, 연장은 28.8km에 이른다. 4개 도시를 연결하는 기본구상을 토대로 △광명시(9.5km) 정원관리센터-정원놀이터-허브정원 △안양시(12.2km) 어르신쉼터-벽면녹화 △군포시(13.6km) 수생식물정원 △의왕시(3.5km) 억새정원 등이 조성될 예정이나 각 지자체 계획이 수시로 바뀌고 있어 최종 계획안은 아직 미정이다.
수도권 대표 지방정원을 조성한다는 것으로 “정원산업 생태계 조성과 시민체감형 정원문화 확산”을 목표로 하여 국가정원 지정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국가 정원은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방 정원의 3년간 운영 실적과 시설, 조직 등을 검토해 산림청이 지정한다. 국가 정원으로 지정되면 운영·관리를 위한 국비가 지원된다.
국가 정원은 지난 2015년 9월 전남 순천만, 2019년 7월 울산 태화강이 지정됐으며, 부여 백마강과 춘천 의암호 일대 등도 국가 정원 지정이 추진 중이다.
이와관련 안양시는 지난 4월 6일 안양천 충훈부 일원의 충훈벚꽃축제 현장에서 최대호 안양시장과 박준모 안양시의회 의장, 강득구・민병덕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민이 주인이 되어 참여, 소통, 향유하는 시민정원’이라는 주제가 담긴 ‘도시의 경계를 넘어 하나되는 안양천 시민정원’이라는 비전 선포식을 가진바 있으나 주민 공청회는 없었다.
[안양천 생태계 파괴 관련 글}
[20250714]안양천 지방정원조성 계획안에 대한 안군의환경운동연합 의견서
[김태연]안양천 지방정원, 예산 낭비와 전시행정의 전형(2025.07.11.)
[20250411]안양시 시민정원 선포식과 안양천(충훈동) 시민정원
[20241015]안양천 나무 대학살에서 살아남은 양명고앞 수양버들
[20240625]안양 명학대교 세월교옆 가로수 살아 있어 고맙다
[20240406]안양천 쌍개울 튜울립 꽃밭 조성 과연 좋아할 일인가!
[20240322]안양 시화(꽃) 안양천 개나리 군락지 도륙 당하다
[20240219]안양천 개나리군락지 처참하게 도륙당하다
[20240131]안양천 나무 무차별 벌목 시민환경단체 뿔났다
[20231231]안양천 뚝방에서 수난당해 사라지는 나무들
[20220420]안양천변에 오디 주렁주렁 열리던 뽕나무들 몽땅 베어졌다.
[20211226]안양천.학의천변 나무들 마구잡이식 짤려나간다.
[20210322]안양천변에 FC안양 상징 보라빛 '소래풀' 만발
[20200608]안양천 뽕나무에 까맣게 익어가는 오디가 주렁주렁
[20190723]요즈음 학의천. 안양천 나무들이 수난이다
'안양지역뉴스 > 안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715]안양시지속가능발전의회 도시경제분과 워크샵 (1) | 2025.07.15 |
---|---|
[20250714]안양천 지방정원조성 계획안에 대한 의견서 (1) | 2025.07.14 |
[20250702]안양시 만안구, 구청사 건립 50주년 기념행사 (2) | 2025.07.02 |
[20250630]안양 출신 오용길 화백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선출 (4) | 2025.06.30 |
[20250630]안양초교앞 버스정류장 냉방폭염쉼터 설치 (2) | 2025.06.30 |
[20250627]안양 연현공원 취소 소송 3심 안양 최종 승소 (1) | 2025.06.27 |
[20250627]청년전용 복합문화공간 '안양청년1번가' 개관 (2) | 2025.06.27 |
[20250626]제16회 자선나눔전시 "하늘새 새봄에" 열리다 (1) | 2025.06.26 |
[20250626]안군의환경련, 우산수리 워크숍(8월 21.23일) (2) | 2025.06.26 |
[20250622]안양, 제38주년 6월 민중항쟁 기념행사 열리다 (1)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