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236

[자료]근대 안양 시금석 안양장과 안양역

안양지역 상권의 변화 과정 안양지역에서 보부상이 자주 드나들던 곳은 어디였을까. 지금의 안양을 포함하였던 옛 시흥 지역은 조선시대에 중부지방의 교역 중심지로서 시장이 발달하여 조선 후기에 방축장(防築場)·산대장(山垈場)·수암장(秀岩場) 등이 열렸다. 일제강점기에도 시흥군 서이면 호계리(지금의 동안구 호계3동)의 군포장이 매달 끝자리가 5·10인 날에 열렸고, 1926년 서이면 안양리(지금의 만안구 안양1동)에 안양시장이 개설되어 매달 끝자리가 5·10인 날에 장이 섰다. 안양시장은 1961년 지금의 안양4동 자리로 이전하여 안양공설시장으로 개칭하고 장날도 3·8일로 변경하였다가 1970년대에 상설시장으로 전환되어 지금의 안양중앙시장으로 이어진다. 오늘날 안양시의 전통시장은 만안구에 안양중앙시장 외에 안양..

[기억-최병렬]안양사람들이 기억하는 오래된 음식점 이야기

안양사람들이 기억하는 오래된 음식점 이야기 안양지역에 음식점은 언제부터 있었을까. 아마도 한양가는 길목인 인덕원 사거리 일대 자리했던 주막에서 당시 오가던 길손에게 팔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추정일뿐 기록은 없다. 안양시는 2006년 안양시민축제 당시 음식문화축제를 준비하면서 안양의 대표음식으로 설렁탕을 선정해 과거 자료를 수집한 적이 있다. 자료를 조사한 안양문화원 최태술 위원은 “지금 동안구 평촌에 귀인동이 있다. 이 마을은 이름 그대로 宮中에서 宮人으로 생활하다 퇴역 하신 귀인(貴人)들이 살든 곳이어서 귀인동이다. 또 수촌마을에는 내시촌이 있어 두 곳 다 퇴역한 궁인들이 궁중에서 하던 선농제 행사에서 끓이던 설렁탕 기술을 알았을 것이다”며 이를 통해 설렁탕이 일반에게 전해졌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

[기억-최병렬]안양 병목안 기찻길옆 2층 ‘길모퉁이까페’

안양에서 처음 카페 명칭 붙였던 ‘길모퉁이까페’ 1970년대 안양에서 카페란 명칭을 사용한 곳은 안양1동 CGV옆 기찻길 골목 2층에 있던 길모퉁이카페가 아닐까 싶다. K연구소에 다니는 남편을 둔 서른 살을 갓 넘은 예쁜 누나가 커피와 함께 진토닉 등 칵테일과 위스키 등을 팔던 가게였다. 지금은 50대 중반이 된 친구들이 겨울에는 난로 불을 쬐며 노닥거리며 암울했던 현실을 고민하고 LP음반을 뒤적거리며 ‘까라마드르 조르쥬(길모퉁이 카페의 작가)’를 이야기했다. 당시 청년들의 주머니가 허전하던 때여서 주인 누나가 공짜로 주는 따끈한 커피와 술 한잔에 고마워하고 풋풋하고 넉넉한 쓰임새에 감동하며 간혹 안양9동 채석장에서 돌을 채취한 화물열차가 지나치기라도 하면 도로에 멈춰 기나긴 차량들을 보는 것도 또다른 ..

[자료]안양역의 변천과정과 숨은 이야기

안양역의 변천과정과 숨은 이야기 나의 고향은 급행열차가 서지 않는 곳 친구야, 놀러 오려거든 삼등객차를 타고오렴 - 김대규 시인의 엽서 - 경부선 개설과 함께 1905년 1월 1일 문을 연 안양역은 2001년 12월 14일 최신시설의 민자역사로 탄생됐으며 전동차를 포함 새마을호, 무궁화호, 화물열차 등이 경유하고 있으며 하루 출퇴근시간대만 최대 4만여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안양역 측은 집계하고 있다. 그렇다면 안양역은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쳤을까. 100년 전 안양역의 모습을 상상해 보셨습니까? 독일인 헤르만 구스타프 테오도르 산더(1868∼1945)가 1906년부터 1년여간 러일전쟁의 흔적을 조사하는 여행길에 기차가 정차한 1906년 9월의 '안양역 풍경'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지난 과거를 되돌아 보게 한..

[20170325]1977년 세운 옛 안양소방서 망루는 근대문화유산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에 있는 안양소방서 안양119치안센터에 있는 소방 망루입니다. 2013년 3월 9일 안양기억찾기탐사대의 여섯번째 탐사로 냉천마을에 대한 탐사를 하면서 안양소방서의 협조를 얻어 망루에 올라가 시설을 살펴볼 기회가 생겼습니다. 고층빌딩과 아파트가 숲을 이루는 요즘과는 달리 예전에는 조금만 높은 곳에 올라서면 시야가 넓게 트여 불이 나면 현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습나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루종일 화재를 감시하던 탑을 '소방 망루'라고 하는데 이제는 다 없어지고 경기도에 딱 하나 전국에 두개가 남아있다고 합니다. 망루에는 망루 요원이 24시간 주·야로 파수꾼 역할을 하면서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징후가 있으면 타종과 싸이렌을 통해 화재발생을 알리고 출동대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리는 역할을..

[기록]효성 안양공장 잔디운동장 불에 탄 사건

효성 안양공장 잔디운동장이 불에 탄 사건 방수조작을 하지 못해 공장을 다 태울 뻔한 사고 (2013-04-29 경기북부신문 기사) 1983년 11월에 소방펌프차 방수조작을 할 줄 아는 진압요원(경방)이 없어서 운동장의 잔디를 다 태우고 공장까지 화재가 확산될 뻔한 사례입니다. 경기도 안양에 현재는 효성그룹의 섬유공장인 동양나이론이란 회사가 가진, 당시에는 찾아보기 힘든 잔디로 되어 있는 축구장에서 열린 회사직원들의 소방기술경연대회를 지원하기 위하여 10여명의 소방공무원이 소방펌프차 1대를 동원하여 대회 준비 중이었습니다. 그 때 갑자기 담뱃불에 의한 화재로 추정되는 불이 나서 순식간에 인근의 야적된 섬유류와 공장 주변까지 화재가 확대될 위험한 상태가 될 때까지 소방차를 세워놓고도 구경만 하였습니다. 담당..

[최병렬]15년만에 발견한 실업극복 통장에 담긴 사연

15년만에 찾은 실업극복 통장에 담긴 사연 벌써 5년전의 이야기네요. 2013년 5월 한무리나눔의집 문경식 대표로 부터 받은 통장과 도장입니다. 1998년에 시민운동 차원에서 안양군포의왕실업극복운동본부가 만들어져 모금활동을 펼쳐왔는데 그때 제 명의로 만든 통장이지요. 실업극복운동은 몇년후 사랑의쌀나누기운동으로 바뀌어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져 오고 있지요. 이 통장은 처음에 사업을 시작할때 제가 만들어 사무국을 운영하던 한무리교회에 준 것인데, 최근에서야 발견했다고 하면서 휴면통장이라 명의자인 저 보고 해지했으면 좋겠다고 전해받은 것이지요. 통장에 찍힌 내용을 보니 잔고가 8,873원이지만... 많을 때는 2천만원이 넘었네요. 안양참빛교회, 이덕희, 진상해, 동은교회, 신안초, 최중현, 서일규, 호계교회,..

[안양]안양 8경중 제1경 망해암에 대한 이야기

망해암(望海庵)은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241-54번지 관악산 동남기슭에 위치하는 조계종 사찰이다. 서울에서 출발하면 1번 국도를 타고 평촌에 이르기 직전 대림대학 방향으로 좌회전 한다. 대림대학 정문을 지나 마을길을 따라 계속 가다가 마을이 끝 날 때 쯤 부터 산길로 약 2㎞정도 오르면 된다. 소형차는 망해암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산행삼아 관악산의 수려한 경관을 즐기며 2㎞ 정도 걷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망해암에 오르면 구 안양시가지가 한 눈에 들어온다. 탁 트인 시야 때문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며 절은 기암괴석들 사이로 건물들이 옹기종기 놓여있다. 최근에는 앞에 대형 누각건물을 지어 마당공간을 확보했다. 1986년에 새워진 에 따르면 망해암은 신라문무왕5년(665)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

[최병렬]안양 상공은 비행기 '항로' 심장이다

안양 상공은 비행기 '항로' 심장이다 수원-안양 상공에서 우박과 낙뢰에 맞아 비상착륙한 아시아나 여객기에서 떨어져 나간 비행기 앞부분이 3일째 발견되지 않고 있어 네티즌들의 관심을 모으면서 항공사고조사위원회가 경찰청에 사고 부분이 발견되는 대로 통보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비행기 사고가 안양 상공에서 발생했다는 뉴스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일부 네티즌들은 "저렇게 큰게 안양에 떨어졌다면 안양 사는 사람중 다친사람은? 맞으면 즉사일텐데… 누구 안다쳤나. 어디 떨어졌을까"라며 파손된 부분의 행방에 의문을 나타냈다. 2013년 6월 어느날 오후5시45분께 제주발 김포행 OZ(아시아나) 8942기는 영화속 장면과 같은 상황에 직면했다. 김포공항을 7∼10 여분 남겨 놓은 안양 남동쪽 부근 상..

[자료]6.25전쟁에서 수리산을 지킨 형제의 나라 '터키'

‘형제의 나라’ 터키, 6.25전쟁에서 수리산을 지켰다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원 기획취재 - ⑥ [군포신문 2010-08-26일자] 1951년 수리산 탈환에 큰 공 … “군포는 터키에 보은의 표시해야” 기념비 건립, 참전용사 초청행사 등 도립공원 연계 추진시 시너지 효과 올해(2010년)는 6.25전쟁이 발발한지 60주년이 되는 해다. 당시의 젊은이들은 세월이 흘러 하나둘 세상을 떠나가고 현재의 젊은이들은 6.25의 참상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지역 군포에서 당시 어떤 전투가 있었고 어떤 사람들이 이 땅을 지켜내기 위해 희생됐는지를 아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1951년 1월, 수리산 고지를 탈환하고 이 지역을 지켜내기 위한 사람들에 대해 조명해 보고, 수리산도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