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 774

[최병렬]안양천살리기와 SBS 물은 생명이다

안양천살리기 캠페인 펼친 SBS 물은 생명이다 "안양천은 불과 10년전만 하더라도 물고기가 살수 없던 죽음의 하천이었으나 이제 생명이 되살아 나는 놀라운 생태계 변화를 통해 시민들이 찾아오는 하천이 되었습니다" SBS의 대국민 약속 교양프로그램 '물은 생명이다'가 방송 600회를 맞아 안양의 오염된 도심하천이었던 안양천에 버들치와 청둥오리가 돌아오는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한 현장을 보여주는 '안양천의 오늘과 내일' 특집 방송을 2014년 7월 4일 오후 4시30분에 방영했을만큼 안양천살리기와 SBS의 물은 생명이다는 오랜기간 하천 살리기에 대한 캠페인을 함께 해 왔다. 안양천은 의왕시 백운산 자락에서 발원, 군포시를 경유해 안양시 도심을 중앙으로 관류하여 서울 한강으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지난 60-70년대만..

[20170320]40여년 안양을 사진으로 기록한 이정범선생

40여년 안양을 사진으로 기록한 이정범선생 이 글은 2008년 7월 29일 오마이뉴스에 올렸던 기사입니다. 안양지역 40여년 기록사진 남긴 아키비스트 1960년대 안양읍 당시부터 기록한 흑백사진들 이제는 소중한 추억 1960년대 시흥군 안양읍 시절부터 현재의 안양시까지 이어지는 지역사회 풍물과 공직사회 현장 등 반세기 역사를 사진에 담아와 '살아있는 역사'로 불리우던 안양시청 홍보실 이정범(60)씨가 30여년의 공직생활을 마감하고 22일 퇴직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안양시에 따르면 이필운 안양시장은 공직을 마감하고 일반인으로 돌아가는 이정범씨를 위해 지난 22일 시장 접견실에서 "젊음을 안양시를 위해 일하신 이정범씨가 있었기에 안양의 역사를 담을 수 있었다"고 치하한 뒤 공로패를 전하며 그 동안의 노..

[조성현]KBS 인기사극「정도전」의 등장인물과 문헌 속 안양사(安養寺)

개관 1주년을 맞아 ‘안양김중업박물관’의 역사성을 조명한다. 안양시문화유산해설사 조성현/ 김중업박물관 뮤지엄패밀리 KBS 대하사극 「정도전」이 지난해 6월 말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안양시민의 일원으로서 사극에서 사료를 토대로 당시의 국가 왕실사찰인 '안양사(安養寺)'를 단 한번도 조명하지 않은 점은 여간 아쉬운 대목이다. 개혁을 주도하며 ‘역성혁명’의 과업완성으로 조선건국의 기틀을 다졌던 삼봉 정도전(鄭道傳)과 때로는 당여(同志)로 또는 정적(政敵)으로 얽히며 섥혀 함께했던 구도 속에서 드라마 속 주요등장 인물들이 문헌 속 ‘안양사’에 속속~ 등장한다. 드라마 정도전과 동시대를 함께 풍미하며 한때는 동지가 되고 상황이 바뀌면 역적이 되는 혼란과 격동기 속에서 드라마 속 주요인물들은 고려안양사와 관련된 ..

[최병렬]안양은 한국 영화의 산실이자 메카였다(2017.03.20)

안양하면 영화를 빼놓을 수 없다. 1960년대 안양시 석수동에 자리했던 동양최대의 종합영화촬영소인 안양영화촬영소가 한국 영화사에 있어 차지하는 위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의 헐리우드로 불리워질 만큼 근대 한국영화의 메카로 지역사 연구는 물론 한국영화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1954년 수도영화사 홍찬 사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종합촬영시설인 안양촬영소를 안양시 석수동에 설립한다. 당시 기공식에 이승만 대통령까지 참석할 정도로 대단했던 이 촬영소는 동양의 헐리우드를 꿈꾸며 3만평의 대지 위에 각각 500평과 350평의 스튜디오, 수중촬영장 등을 갖추고 촬영, 편집, 현상, 미술, 음악, 사진, 소품, 분장 등 모든 분야의 제작이 가능한 시설을 구비하고 있었으며 미국과 영국, 독..

[선언]안양촛불시민승리선언

안양촛불시민승리선언 박근혜 적폐청산 안양시민운동본부 우리가 모여 박근혜를 탄핵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주권과 헌법을 유린하는 무리들의 꼭두각시 박근혜에 대해 지난 해, 10월29일 광화문에서, 11월10일 우리 안양에서 물러나라고 첫 촛불을 켠 이래 온 나라 온 국민이 한 마음, 한 뜻이었습니다. 우리의 뜻을 받든 헌법재판소 8인 재판관 전원 일치로 “박근혜를 파면한다” 했습니다. 세월호 참사의 유가족과 백남기 농민을 살해한 국가폭력에 맞서, 역사국정교과서와, 한일위안부 합의, 사드배치 등 국정농단에 맞서 함께 촛불들 들고 함께 흘린 촛농으로 연대한 우리가 기어코 대한민국의 새날을 열었습니다. 우리가 행동에 나서자 민의에 귀 기울인 적 없던 정치인들과 언론이 그리고 검찰이 우리의 눈치를 보기 시작했지만..

[최병렬]문화유산 안양 소방망루를 아십니까?

소방망루를 아십니까. 통신수단이 귀하던 시절 화재가 났을때 소방차들이 출동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했던 추억과 역사속 유물이지만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안양소방서 안양119치안센터에는 전국에 몇개 남지 않은 소방망루가 현존하고 있습니다. 고층빌딩과 아파트가 숲을 이루는 요즘과는 달리 예전에는 조금만 높은 곳에 올라서면 시야가 넓게 트여 불이 나면 현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루종일 화재를 감시하던 탑을 '소방 망루'라고 하는데 망루위에는 망루 요원이 24시간 주·야로 파수꾼 역할을 하면서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징후가 있으면 타종과 싸이렌을 통해 화재발생을 알리고 출동대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리는 역할을 했지요. 기록을 보면 한국역사상 소방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것은 최..

[최병렬]안양 삼성산에 숨어있는 폐광 '장석광산'

안양지명 유래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천년 고찰 안양사지, 국내에 단하나밖에 없는 마애종을 비롯 수많은 문화유산과 APAP공공예술작품들이 가득한 안양예술공원(안양풀-안양유원지)을 감싸고 있는 안양 삼성산 기슭 현재 까치골이라는 부르는 골짜기에는 오래된 폐광이 하나 있다. 이 광산은 도자기 유약 재료인 장석을 생산하던 ㈜안양장석으로 현재는 옛 건물과 굴 초입의 동굴을 이용하여 음식을 파는 식당(까치골식당)으로 사용중이다. 안양예술공원 입구 주차장 뒷쪽의 안양의집(보육원)에서 왼쪽으로 난 안양노인전문요양시설로 가는 길(까치골)로 접어 들어 새소리가 들리는 산길로 15분여를 올라가면 예술공원로 117번길 112(지번 석수1동 456-7)이라 적힌 녹슨 대문이 보인다. 활짝 열린 대문을 들어서 폐광 입구까지는 5..

[최병렬]없어진 안양 낙원마을과 화심천’(和心泉) 이야기

안양 낙원마을과 화심천’(和心泉) 이야기 안양시 안양2동 낙원마을. 지금은 고급 단독주택단지로 바뀌었지만 이 곳은 불과 10년전인 2004년까지만 하더라도 안양시가 지정한 전통마을이 있던 곳으로 우리나라 고유풍습인 전통 세시풍속을 이어가고 있으며, 절기와 명절 때마다 마을합동으로 행사를 지내왔었다. 낙원마을은 1950년대만 하더라도 험준한 산골이었는데, 1959년경, 박정원와 안학순 부부가 이 마을에 정착하면서 식수를 구하던 중 ‘화심천’(和心泉) 우물을 발견하고 그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이를 식수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부부는 가을이 되면 매년 햇곡식으로 떡과 술을 빚어 제물을 차려놓고 소원과 마을의 평안을 빌었다. 그러던 중 화심천 물이 어느새 건강에 좋다는 소문이 났고, 주변 각지에서는 이 ..

[이한성]안양 미륵불(彌勒佛) 어디로 갔을까?

[이한성]안양 미륵불(彌勒佛) 어디로 갔을까? [이한성 교수의 옛절터 가는 길 - 54]안양 비봉산 ~ 삼성산 절길 부국안민(富國安民)의 꿈, 미륵불(彌勒佛) 어디로 갔을까? [ CNB저널 제389-390호] / 등록일 : 2014.08.04 14:44:02 정조(正祖)는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현륭원(顯隆園)을 수원으로 옮긴 후 자주 원행(園幸)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남태령을 넘는 과천길을 택하였으나 시흥 방향으로 신작로를 뚫어 수원별로(水原別路)가 열리자 이 길을 이용하였다. 가장 장관이었던 원행길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아버지 사도세자가 환갑을 맞은 해인 1795년(정조 19년) 을묘년의 원행이었다. 이 때의 행차(幸次)길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로 기록되어 지금도 그 생생한 ..

[최병렬]오래된 곳 안양 항아리골목 이야기

오래된 곳 안양 항아리골목 이야기 안양에는 골목의 향수를 떠오르게 하며 아직도 정감있게 불리우는 골목이 여럿 있다. 밧데리골목. 변전소골목, 곱창골목, 한복골목 등등.. 1970년대 초반에 생긴 항아리골목도 그중 하나로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초까지 활기를 띠었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안양에도 많은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일자리를 찾아 충청도, 경상도 등지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들며 인구도 늘어나고 당연히 생필품 가게가 줄지어 생겨나기 시작했다. 1977년 중앙로가 개통되면서 안양4동의 새시장(현 중앙시장)은 인근 군포, 의왕, 과천은 물론 멀리 안산, 군자에서도 물건을 구입하러 오는 손님들로 항상 붐빌 정도로 호황이었다. 당시 그릇으로는 양은그릇과 함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