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 774

[20170824]14회 에너지의 날 에너지전환 시민실천선언

제14회 에너지의 날 에너지전환 시민실천선언 후쿠시마 대형 핵발전소 사고 이후 6년, 미세먼지로 마음 놓고 숨 쉬는 것도 어려운 환경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위기 속에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에 대한 시민의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맞춰 ‘경기도 에너지 비전 2030’,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등 이미 많은 지자체는 민관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전환과 혁명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문재인 정부는 탈석탄·탈원전 에너지전환 정책을 결정하고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여부에 대해서도 공론화를 통해 국민의 합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하였다. 위험한 핵발전과 기후변화 온실가스의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점차 늘려나가는 것은 전세계의 변화의 흐름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석탄화력발전과 원..

[20170625]안양을 사랑한 '사랑의 팡세' 김대규 시인

2017.06.25/ #안양 #김대규 #시인 #문인/ 2017 안양문인협회 시화전이 열리고 있는 대동서점에 들렸더니 향토시인 김대규 선생님이 계시네요. 오랫만에 뵙는 선생님을 사진 틀속에 담아 똑딱이로 찰깍했지요. "나의 고향은 급행열차가 서지 않는 곳. 친구야, 놀러 오려거든 삼등객차를 타고 오렴."-김대규 시인의 엽서- 이 시를 읽으면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진다. 시인이 말하는 '나의 고향'은 안양이기도 하면서 우리 모두가 꿈꾸고 있는 영혼의 고향이기도 할 것이다. 김대규 시인은 안양3동 양지마을에서 태어나 고향인 안양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문학 작품 활동을 왜 온 한국문단의 중견시인이다. 그는 1960년 '영의 유형'이라는 시집으로 문단에 등단해 '양지동 946번지', '흙의 사상', '..

[강득구]기고/삼덕공원 지하주차장 조성을 찬성하는 이유

경기도 연정부지사로서 시군 현안에 대한 입장을 표명해도 괜찮을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안양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제 생각을 밝히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시민단체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대승적 차원에서 안양 삼덕공원 지하주차장 문제를 바라봤으면 합니다. 지역신문에 기고한 글입니다. 안양광역신문 기고 / 삼덕공원 지하주차장 조성을 찬성하는 이유 최근 안양에 뜨거운 이슈가 있다. 안양시가 삼덕공원 지하에 주차장을 만드는 문제를 두고, 지역사회에서 찬반양론이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 삼덕공원 인근 중앙시장 상인들은 주차난 해소와 재래시장 활성화의 이유를 들어 주차장 조성을 반기고 있다. 반면 시민단체는 녹지공간 훼손에 대한 우려와 함께 부지 기증자 삼덕제지 고 전재준 회장의 뜻에 반하는 행위라며 주차장 ..

[박철하]근대 민족운동과 안양

근대 민족운동과 안양 박철하(前숭실대 강사) 목 차 1. 근대 안양지역의 사회변동 2. 대한제국기 안양․시흥지역의 농민운동 3. 을사늑약 체결 이후 안양지역의 의병활동 4. 안양지역의 3.1운동 5. 1930년대 안양지역의 노동운동 6. 1940년대 이재천․ 이재현 형제의 반일독립운동 1. 근대 안양지역의 사회변동 1) 정조의 현륭원행 이후 안양지역의 사회변화 조선시대에 안양(安養)이라 하면 금천현 현내면의 안양리(安養里)를 의미한다. 현재의 안양지역과 관련하여 볼 때 석수동 일대로 안양사(安養寺)와 관계된 지명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천군 하서면 안양리(安陽里)가 보이는데 이곳에는 역참인 안양역(安陽驛)이 있었으며, 현재의 안양역 주변으로 추정된다. 대한제국기에도 경부선철도의 임시정거장이 있던 곳이 ..

[심규순]범계-광명 간 직통셔틀버스 신설하자

안양시의회-제7대-제230회-제1차-본회의-2017.04.17 월요일 심규순의원-더불어민주당(달안동,관양 1,2동,부림동)-5분발언 저는 오늘 범계-광명 간 직통셔틀버스 신설을 대해 5분발언을 하고자 합니다. 60만 인구 수도권에서 사통팔달의 교통요지의 도시, 우리 안양시에서는 아직도 시외버스터미널이 없습니다. 신도시 계획시 계획된 농수산물 옆 시외버스터미널은 주민의 반대로 무산되고 아직도 그 부지는 덩그러니 남아 있습니다. 공항버스 정류장 신설로 주민편의는 도모됐으나 공항버스 대기장소도 없어 불법주차로 전락되고 있습니다. 인근 도시 광명시 KTX역이 있지만 그 역까지 가는 길은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교통비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안양 동부지역은 인구 약 35만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동안구 지역주민은 KT..

[조성현]안양문화논단-안양 옛호랑이의 발자취를 찾아서

안양 옛호랑이의 발자취를 찾아서... 안양문화유산해설사 조성현 2015 석수동 쌍산신제(洞祭,일명 산고사)의 일환인 할아버지산 대동산신제(마을제사)가 음력 시월 초사흘일인 지난 10월 14일 열렸다. 무량사(구,약수암) 뒤편 삼성산 산중턱에서 수백년 간 제를 올려온 무형문화유산이지만, 금번행사는 우중(雨中)이라 삼성산 무량사 법당 내, 신선과 호랑이가 그려진 산신탱화가 걸려있는 산신단 앞에서 산신령께 정성들여 제물을 공양하고, 안양초교를 다니신 적이 있는 안양출신 혜천 스님(무량사주지, 75세)의 염불 및 축원으로 산신제 제례행사는 진행됐다. 산신탱화는 신선과 함께 호랑이를 그렸는데, 사찰 내 산신각은 불교가 토착신앙을 포용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호랑이는 산의 신령으로 존경을 받았고, 우상숭배(신앙)..

[조성현]개관 3주년을 맞은 김중업건축박물관, 이대로 좋은가

개관 3주년을 맞은 김중업건축박물관, 이대로 좋은가? 안양광역신문사(aknews0511@daum.net) 2017-03-31 안양시와 (재)안양문화예술재단(이사장 이필운, 대표이사 정재왈)은 김중업박물관을 2개의 박물관으로 분리하여 등록, ‘김중업건축박물관’과 ‘안양박물관’으로 변경·운영할 계획이다. 안양시 석수동 안양예술공원 초입에 둥지를 튼 김중업건축박물관은 2014년 3월 28일 개관 이래 지난 28일 개관 3주년을 맞이했고, 오는 6월에는 현 문화누리관을 ‘안양박물관’으로 재개관하여 시민들의 품에 돌려줄 야심찬 계획을 갖고 있다. 김중업건축박물관일원은 안양천년 역사의 향기가 풍기는 공간으로 선조들이 남긴 고대문화유산, 김중업 선생설계 근대건축유산, 근대 및 현대 공공예술 작품이 공존하는 매력적인 ..

[20170330]제11대 의왕시 노인회 지회장에 윤우태씨

임시총회서 48% 지지로 당선 "회원 지위향상과 의왕시 지회 발전에 솔선수범" 약속 제11대 대한노인회 의왕시 지회장에 윤우태(72) 전 의왕시 노인회 이사가 선출됐다. 윤 신임 지회장은 지난 23일 의왕시노인회 강당에서 열린 지회장 선출을 위한 임시총회에서 3명의 후보와 경합을 벌여 대의원 108명 중 52명(48%)의 지지를 얻어 당선됐다. 윤 지회장은 의왕시 포일숲속마을 1단지 초대 경로당 회장과 지회 이사를 거쳤고 현재는 대한노인복지진흥회 고문을 맡아 활동하며 의왕시의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각 경로당의 회장들과 교감을 갖고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관내 노인들의 사정에도 밝다는 평이다. 그는 투표 과정에서 “능력 있고 준비된 일꾼으로, 생동감이 넘치고 신바람 ..

[최병렬]군포장의 변천과정 이야기

사람들의 왕래에 영향을 미친 또 하나의 요소는 장시이다. 장시는 15세기 말에 발생하여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으로 5일장의 형태로 발전했다. 일반 백성들은 장시에서 잉여 물자를 팔고, 부족한 물자를 보충하였다. 따라서 장시는 일반 백성들의 왕래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옛길의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안양시 지명유래』에 따르면, 군포장(軍浦場)은 수원에서 지지대 고개를 넘어 안양을 거쳐 한양으로 가던 시흥로 역로(驛路)의 중간 지점인 현재의 호계동 삼신아파트와 진우아파트 지역에 인접한 구군포 사거리와 안양천(맑은내, 군포천) 사이로 지금도 이곳 구장터 부근 도로는 구군포길로 불리우고, 옛 군포장이 위치하던 지역은 ‘구장터1로’에서 ‘구장터3로’까지의 도로 명칭을 지니고 있어 이곳이 장터였음을 보..

[자료-오기환]문화예술과 역사4, 안양 지정문화재 및 문화유산

문화예술과 역사가 어우러진 안양- 안양광역신문사(aknews0511@daum.net) 2015-09-04 오전 10:12:00 1591 안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 부소장 오 기 환 5. 삼막사는 신라의 승려, 원효·의상·운필이 창건하여 산의 이름을 삼성산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조선후기 마애불과 칠성각이 건립되는 등 지속적으로 중창과 중건이 이루어지면서 법등이 이어져 왔으며 현대에 들어와 크게 중창이 되면서, 대웅전·명왕전·망해전·관음전·천불전 등 다수의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초석·석탑·석간·석상·마애삼존불 칠성각 등 전통사찰의 위상을 보여주는 다수의 유적, 유물들이 전하고 있는데 그 수가 안양에 소재하고 있는 사찰중 가장 많다. 사찰은 안양사·삼막사·불성사·염불암·망월암·망해암·반월암 보장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