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91

1968년 안양 구시장으로 가던 땡땡땡 철길

안양 #역사 #기록 #기억 #골목 #철길 #옛사진 #시대동 #구시장 #1968년 #닐미샬로프/ 사진은 1920~1970년 초까지 안양읍내에서 가장 상권이 컸던 시대동(市垈洞)으로 구시장이라 불리우던 현 안양1동의 1968년도 풍경으로 석수동 미군부대(83보급대대)에서 전령으로 근무했던 닐 미샬로프가 찍은 기록사진으로 내가 태어나 유년시절을 보낸 동네의 옛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어 감회가 깊은 사진이다. 이 사진은 안양읍내에서 비산동 수푸루지 다리(현 임곡교)로 향하는 방향으로 찍은 것으로 사진 좌측 위 산자락에 닥지닥지 붙은 판잣집들은 임곡부락으로 현재는 대림대학교가 들어선 자리다. 당시의 구시장은 안양4동에 새시장(현 중앙시장)이 생긴 이후의 모습으로 점포들이 하나 둘 이전함에 따라 쇠퇴의 길을 ..

1968년 안양 석수동 안양육교와 1번국도

#안양 #역사 #기록 #기억 #석수동 #안양육교 #닐미샬로프 #1968년/ 안양에서 서울로 가던 1번국도( 현 석수주유소 삼거리 인근)의 1968년 풍경으로 안양 석수동 83보급대대에 전령으로 근무하던 닐 미샬포프가 찍은 사진이다. 당시 서울에서 안양을 통과해 수원으로 연결되는 도로는 버스가 지나가고 있는 1번국도 하나밖에 없었다. 그것도 2차선 도로였다. 이후 1970년대 초 왼쪽의 가로수 옆으로 새로운 길이 만들어져 석수동과 안양여고사거리-안양읍내-구 안양경찰서까지 연결하는, 안양시내를 관통하는 안양로가 새로 놓여졌으며 1970년대 말 중반에 안양육교에서 안양읍내를 통과하지 않고 안양유원지 입구와 비산동-호계삼거리를 여결하는 경수산업도로가 새로 뚫리면서 3개 도로 됐다. 멀리 오른쪽에 보이는 육교가 ..

군포소방서 & 군포경찰서 MOU체결

군포소방서와 군포경찰서가 지난 7일 재난 발생 시 소중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상호 협력·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심폐소생술 및 재난 안전교육 지원 ▲소방안전문화활동(소·소·심), 소방차 길 터주기 훈련 및 교통사고예방(안매켜소) 운동 홍보 ▲대(對)테러 발생 시 대응인력 신속 출동 지원 ▲소방차량 긴급출동 관련 협업, 재난현장 안전통제 등 상호협력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창래 군포소방서장은 “양 기관의 협약으로 각종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보다 신속히 인명구조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만족하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군포, 전국 수리음악콩쿠르 및 수리동요대회 개최

군포시가 오는 6월 21일부터 7월 2일까지 제22회 전국 수리음악콩쿠르를, 7월 1일과 2일에는 제22회 전국 수리동요대회를 군포시문화예술회관에서 개최한다. 수리음악콩쿠르는 순수 창작음악 분야 인재를 발굴․지원함으로써 음악계의 기초를 튼튼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대회로 피아노와 성악 부문 경연이 진행된다. 부문별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7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별도로 입상자 음악회 무대에 설 기회도 제공해 수많은 대중을 대상으로 한 공연 경험도 쌓을 수 있도록 배려할 것이라고 시는 밝혔다. 한편, 전국의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에게 음악적 재능을 뽐낼 무대를 마련해주는 수리동요대회는 우수 음악 인재 발굴뿐만 아니라 순수 음악 활성화를 목적으로 진행된다. 수리음악콩쿠르와 같이 1995년 제1회 대회가 열..

안양동안청소년수련관, 그린맵 꿈의학교 개교식

안양시동안청소년수련관이 지난 4일 안양시와 경기도교육청이 주최하는 안양 그린맵 ‘모두의 마을’ 꿈의학교 개교식을 수련관 2층 다목적실에서 가졌다. 안양 그린맵 ‘모두의 마을’ 꿈의학교는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그린맵 활동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능력 함양과 마을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학생 참여활동과 협업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모두의 마을은 안양 관내 초·중·고등학교 청소년 70명으로 구성되며, 3가지 파트별(아파트 단지 2팀, 학의천 1팀)로 구분하여 활동을 하게 된다. 활동내용은 아파트 단지 및 학의천 생태 환경 조사, 야생화 꽃길 조성 기획·운영, 그린맵 제작, 마을 환경축제 등 다양한 활동으로 약 6개월간 운영된다. 개교식에 참석한 ..

군포, 국립문학관 유치 18만명 서명부 문체부 전달

군포시가 지난 5월 2일부터 6월 3일까지 33일간 서명운동을 전개해 17만7천147명이 서명한 ‘국립한국문학관 군포시 유치 희망 서명부’를 지난 7일 문화체육관광부에 전달했다. 하루 평균 5천368명이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최적지는 군포”임을 지지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서명에는 군포시민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 시민들도 동참했다”며 “군포가 대한민국 제1호 책의 도시고, 2008년부터 국립문학관 건립 필요성과 유치 희망을 밝힌 바 있어 많은 지지를 받은 것 같다”고 했다. 현재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을 지역 곳곳에 설립해 운영 중인 군포는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통과하며, 30여개의 광역․시내 노선버스 등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또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얼마..

안양시, 어린이놀이터 안전관리시스템 구축한다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가 보다 똑똑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뤄진다. 안양시는 관내 622개소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실태 전반을 모바일을 통해 즉시 확인이 가능하고, 실시간 관리감독도 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을 오는 9월까지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은 놀이기구의 안전정보와 안전수칙, 관리주체, 정기시설검사 및 월간 안전점검사항, 보험가입상태 등 해당놀이시설과 관련한 모든 정보가 QR코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한 QR코드는 각 놀이시설마다 부착돼,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모나 일반주민들은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해 확인할 수 있고, 이상유무 발견 시 신고도 가능하다. 또한 시는 놀이시설 관리주체가 월마다 실시하는 안전점검결과를 이 시스템..

안양 전집 두메산골, 호계시장에서 학원가 먹자골목으로 둥지

#안양 #호계시장 #학원가 #귀인동 #먹자골목 #전집 #두메산골/ 호계시장 전집에 있던 두메산골이 동네(덕현지구) 재개발로 인해 귀인동 학원가 먹자골목(주차빌딩 뒷쪽 골목 귀인호 190번길 39-10)으로 이전해 새로 문을 열었네요. 푸짐한 모듬전이 11,000원.. 평양식 녹두빈대떡에 육회, 무엇보다 매콤한 비지찌게가 입맛을 사로잡네요. 싸고 푸짐하고 맛있고 가성비 최고입니다.

[최남춘]납덕골을 다시 그린 주민들

[최남춘]납덕골을 다시 그린 주민들 [2009/12/07] 2008년 9월 대야동 속달4통 ‘납덕골’ 주민들이 ‘마을가꾸기 추진 위원회’를 조직했다. 주근동 대야동 주민자치위원장과 김형태 수리산갤러리 관장이 공동추진위원장인 마을가꾸기 추진위는 2008년 10월 22일부터 동네 담장 및 벽 30여곳에 벽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본지가 ‘납덕골’을 찾아간 11월에만 해도 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일부 공간에만 벽화가 그려져 있었다. 1년이 지난 지금 벽화마을 납덕골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변화된 납덕골을 찾아가 봤다. 대야동에서 갈치호수 방향으로 진행 후 삼거리에서 좌회전방향으로 들어가다 보면 속달4통 납덕골이 나온다. 마을 입구에 들어서자 마자 하얀 담벽에 그려진 벽화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지난해에는 마을 입구에..

[소명식]자전거도시에 대한 환상

[소명식]자전거도시에 대한 환상 ② [2008/10/02]대림대건축과 겸임교수·건축사 도시만들기에 관한 자료를 찾기 위하여 정보의 산속을 헤매이다가 아주 괜찮은 더덕밭을 발견하였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더덕은 매우 특별한 향을 갖고 있어 그 근처에 가면 더덕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것처럼 guam이라는 ID를 갖고있는 안양의 한 환경운동가의 잘 재배된 텃밭 블로그에서 발견한 “프랑스 자전거는 기자보다 힘셌다”라는 제목의 글이었는데 조금 자세히 들여다보는 순간 더덕처럼 독특한 향내를 풍기며 내 구미를 당기게 했다. 필자는 이전에도 “생태도시의 첫발 자전거거도시를 위하여”란 칼럼에서 안양시가 자전거도시가 되었으면 하는 희망을 피력한 바 있다. 우리나라 전국 도시의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율은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