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36

[20250207]1937년 발행 <경기명승사적> 수록된 안양풀

2025.02.07/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안양풀 #경기명승사적 #경기명소 #시흥군 #조선행정학회 #since1937/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지방행정학회에서 소화12년(1937년)에 발행한 경기명승사적 책자에 수록된 1930년 안양풀의 모습이다.  지금은 안양예술공원이라 부르는 이곳이 과거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유명했던 수도권주민들의 여름철 휴양지 였다는 사실을 얼마나 알까.안양예술공원(안양풀-안양유원지)에 대한 사진 기록으로는 현재까지 찾은 것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진이 아닐까 싶다.현재의 안양예술공원. 과거 안양 풀 또는 안양유원지로 불리우던 이곳에도 일제강점기 당시 계곡을 막아 풀장을 조성하고 하천 암반 초석에 한자와 일본어를 섞어 安養プ―ル(안양 풀 pool)'이라고 기록하고 일본 연..

[20250207]안양 중앙시장 골목안 <벼리마을 제빵소> 매장

2025.01.06/ #도시기록 #숨은공간 #안양 #비리마을 #제빵소 #매장/ 안양 중앙성당앞 골목 깊숙한곳에 자리한 벼리마을> 제빵소 매장은 알음알음 찾아오는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곳으로 자난해 11월 7일 오픈했다. 벼리마을> 제빵소는 안양시 만안구 장내로 113번지 중앙성당앞 안양가톨릭회관 내 정원 뒷쪽 건물에 빵을 만드는 안양시장애인보호작업장이 있다. 2010년 관악장애인보호작업시설에서 분리돼 안양시장애인보호작업장으로 명칭을 변경한 벼리마을은 전체 이용 인원이 80명에 달한다. 장애인 보호작업장으로서 전국 최대 규모이며 특히 식품안전관리인증 기준 인 ‘해썹’(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시설을 갖췄다. 이곳에서는 100% 글루텐 프..

[20250206]안양 정월대보름 달맞이축제 8일 행사 취소

2025.02.06/ #행사 #정월대보름 #박석교/ 정월대보름을 맞아 여러분과 함께 따뜻한 전통을 나누고, 새해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정월대보름 달맞이축제가 2월 8일 오후 4시부터 안양천 박석교빝 둔치에서 안양검무, 날뫼북놀음, 안양민요보존회 공연과 함께 열린다.    이날 앞서 오후2시에는 안양만안답교놀이 공연이 안양만안답교놀이 보존회 주관으로 만안교에서 길놀이, 대동놀이 등이 펼쳐진다. 2025년 정월대보름 달맞이 축제일시 : 2. 8.(토) 16:00~20:30 ※ 기념식 19:00장소 : 박석교 밑 둔치내용 : 안양검무, 날뫼북놀음, 안양민요보존회 공연 등주최/주관 : 안양문화원 안양만안답교놀이 공연일시 : 2. 8.(토) 14:00~15:10장소 : 만안교내용 : 길놀이, 대동놀이 등주관 :..

[20250206]대한제국기, 시흥군 민중운동과 의병

[금천신문]3.1운동 100주년 기념 우리동네 역사 찾기시흥군, 민중운동을 견인하는 에너지원최석희 ・ 2019. 4. 11. 13:08​ '3.1운동 100주년 기념 우리동네 역사 찾기'를 주제로 우리동네 '마을신문 금천in'에 기고한 마지막 기사 입니다. 원문보기 1898년 1차 시흥농민봉기와 1904년 2차 시흥농민봉기 그리고 1919년 시흥군의 3.1운동을 볼 때 시흥군은 우리나라 근대 민중운동의 중심지 였다. 당시 시흥군은 금천과 구로, 영등포, 동작, 관악, 광명과 안양, 과천, 의왕, 안산을 포괄하는 광활한 지역이었다. 1차 시흥농민봉기는 1894년의 갑오농민전쟁이 미완의 혁명으로 끝난지 4년 만에 일어났다. 당시 위정자들은 갑오개혁을 단행하였지만 토지개혁 등 농민들의 요구는 수렴되지 않았으며..

[20250205]한글학자 이희승 선생의 내가 겪은 3·1운동

[금천마을신문]금천구의 3.1운동-2] 내가 겪은 3·1운동-이희승2019. 2. 28. 11:03원문보기 https://gcinnews.tistory.com/4966 내가 겪은 3·1운동-이희승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국어학자 이희승 선생은 시흥군(의왕시)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이희승 선생은 “내가 겪은 3·1운동”을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에 1969년 게제했다. 본 지는 시흥군 출신의 이희승 선생의 글을 100주년을 맞아 다시 읽어봄으로써 당시의 분위기를 되짚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이회승 선생은 “호시탐탐한 일본은 1910년 기어이 한일합방이란 명목으로 한국을 완전히 병탄하고 말았다. 고종은 이태왕이란 치욕의 칭호 밑에서 10여년을 지내다가, 1919년 1월 21일에 이..

[20250205]1978년 육군 측지부대 제작한 안양 군사지도

2025.02.05/ #아카이브 #기록 #옛지도 #군사지도 #since1978/ 대한민국 육군 측지부대가 1977년에 촬영한 항공사진과 1978년 6월에 현지 답사한 지형 정보 자료애 의하여 편집한 지도임.축척: 1:10,000제작: 육군 측지부대출처: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원문보기: https://catalog.archives.gov/id/350913960 https://catalog.archives.gov/id/350913960 catalog.archives.gov

[20250204]한국전쟁 당시 치열했던 안양에서의 전투 영상

2025.02.04/ #아카이브 #기록 #영상 #한국전쟁 #안양/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서 발견한 한국전쟁 당시 안양지역에서의 전투 기록.1951년 2월 7일 영상을 촬영한 곳이 안양이하고 표기된 기록을 보면 안양에서 서울로 진격하는 미군들과 함께 치욜한잔투장면이 담겨있다. 화면에는 수리산을 배경으로 현재의 안양2동과 석수동 일대, 경부선철길, 안양철교, 유원지입구옆동산(현 좋은집뒷산), 삼성산, 꽃메산, 와룡산, 만안교 등의 모습이 담겨있다. 27 INF 부대(울프하운드)가 포격을 받다나이드:23233지역 ID:111-ADC-9468제작:1951년 2월 7일장소: 안양(한국) 샷 리스트요약: LS, M-16 다..

[20250204]1913년 경기도 관내지도 속 표기된 안양권

2025.02.04/ #아카이브 #옛지도 #경기도관내지도 #since1913/ 국가기록원에 소장된 경기도관내지도/ 경인선과 경부선 철길이 표기되어 있다. 안양지역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명 표기가 과천, 안산, 수원이 크게 표시된 반면 안양은 작아 자그마한 마을이었다. 또한 철길 우측에 표시돼 시대동(구시장)쪽이 마을중심지였음을 앞수 있다. 도로에 있어 삼남대로(한양-과천-호계동-의왕-수원)는 표시된 반면 시흥로(현 금천구-안양)연도로 표기가 없어 당시 통행이 뜸했을을 보여준다.- 기록물건 제목: 경기도관내지도- 자료출처: 국가기록원- 생산년도: 1913- 경기도관내지도- 관리번호: CJA0002543- 크기 : 54.3*64.8(0.03)- 재질 : 한지- 설명 : 개정전 군경계 및 군명은 검은색, 개정..

[20250204]1914년 과천군, 안산군이 흡수통합된후 시흥군 약도

2025.02.04/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한국전쟁 #안양/ 1914년 시흥군 약도는 시흥군, 과천군, 안산군이 흡수통합된 후의 행정구역을 나타낸 지도다. 시흥군은 1895년에 승격되었으며, 1914년에 과천군과 안산군이 흡수통합되었다. 이후에도 행정구역이 잦은 개편을 겪었다. 국가기록원 자료에서 찾아냄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49289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