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49

[20221212]1919년 3월 30일 시흥군 군포장 삼일운동 만세시위 기록

2022.12.12/ #역사 #기록 #삼일운동 #군포 #군포장 #만세시위 국사편찬위원회의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한 결과 1919년 3월 30일 시흥군 남면 당리 군포장 부근 두 군데에서 약 300명과 약 1,000명의 군중이 만세시위를 벌였다. 이는 당시 일본 경찰이 작성해 조선총둑부와 일본 육군성에 보고한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문건에 기록된 내용이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3월 30일 경기 시흥군 남면 당리 군포장 부근 만세시위]제목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3월 30일 水原郡[始興郡 南面] 軍浦場 부근 2개소에서 300 내지 1000명의 군중이 騷擾를 일으켜 水原으로부터 장교 이하 4명을 파견하였다. 부상자 2명 발생했다고기록되어 있다. 이 자료는 조선군참모부에서 작성한 3월 26일~4월 5일..

[20221212]1919년 3월 31일 의왕 고천리 삼일운동 만세시위 기록

2022.12.12/ #역사 #기록 #삼일운동 #의왕 #고천면사무소 #고천파촐소 #만세시위 국사편찬위원회의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한 결과 1919년 3월 31일 수원군 의왕면에서 약 800명이 면사무소, 고천경찰관주재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에 경찰관이 보병과 협력해 바로 해산시켰다. 이는 당시 일본 경찰이 작성해 조선총둑부와 일본 육군성에 보고한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문건에 기록된 내용이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3월 31일 경기 수원군 의왕면에서 만세시위] 제목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3월 30일 경기도 수원군 의왕면 京畿道 水原郡 儀旺面 3개소에서 800명의 군중이 騷擾를 일으켜 경찰관이 보병과 협력해 바로 해산시켰다고 한다. 시위 장소는 古川里 (京畿道 水原郡 儀旺面 ) 古川里 (..

[20221212]교수신문 선정 올해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과이불개’를 선정했다.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022 올해의 사자성어로 50.9%를 득표한 ‘과이불개(過而不改)’가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에 등장하는 말이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고 한다’고 했다. 과이불개는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 번 나오는데, 연산군이 소인(임사홍 등의 간신을 지칭)을 쓰는 것에 대해 신료들이 반대했지만 고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하는 대목 등에서 언급된다. 과이불개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학교 교수는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잘 보여주는 말”이라며 “잘못이 ..

[20221211]2022년 크리스마스 씰의 주인공은 손흥민 선수

2022.12.11/ #자료 #크리스마스씰 #결핵협회/ 오랫만에 크리스마스씰을 보니 학생시절의 크리스마스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2022년 크리스마스 씰의 주제는 '꿈을 향해! 세계를 향해! 손흥민과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씰!'로 손흥민 선수의 꿈을 향한 도전과 열정이 담겼습니다. 매년 발행되는 크리스마스씰은 학교에서 겨울 쯤(10월에서 다음해 2월말)이 되면 학생들에게 판매하지요..연말연시에 가까운 우체국에서도 판매하고요. 예전에는 대한민국 크리스마스 씰은 우표나 화폐처럼 조폐공사에서 발행했으나. 근래에는 대한결핵협회에서 직접 발행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의 발달로 대한결핵협회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을 열어 직접 판매한다는군요. 크리스마스 씰의 역사는 1904년 경 덴마크의 '아이나르 홀뵐'(Einar ..

[20221210]1919년 3월 29일 서이면 안양리 삼일운동 만세시위 기록

2022.12.10/ #역사 #기록 #삼일운동 #안양 #안양리 #만세시위 국사편찬위원회의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한 결과 1919년 3월29일 京畿道 始興郡 西二面 安養里_시흥군 서이면 안양리(현 안양역앞)와 京畿道 始興郡 東面 安養里_시흥군 동면 안양리(현 석수동 삼막골)에서 삼일운동 만세시위가 전개된 사실이 드러났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3월 29일 경기 시흥군 서이면 안양리 만세시위] 제목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3월 29일 시흥군 서이면 안양리와 동면 안양리에서 약 300명의 군중이 만세시위를 벌였다고 한다. 이같은 사실은 당시 일본 경찰이 작성해 조선총둑부와 일본 육군성에 보고한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문건에 기록된 내용이다. 기록을 보면 동면 안양리와 서이면 안양리 2곳에서 진행된 시위..

[20221210]1919년 3월29일 안양 박달리 삼일운동 만세시위 기록

2022.12.10/ #역사 #기록 #삼일운동 #안양 #박달동 #만세시위 국사편찬위원회의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한 결과 1919년 3월29일 안양 박달동에서도 삼일운동 만세시위가 전개된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3월 29일 경기 시흥군 서면 박달리 만세시위] 제목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3월 29일 시흥군 서면 박달리에서 약 80명이 만세시위를 벌였다고 한다. 이같은 사실은 당시 일본 경찰이 작성해 조선총둑부와 일본 육군성에 보고한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문건에 기록된 내용이다.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는 한국의 독립운동과 관련해 일본 육군성이 발·수신한 문서로서 약 13,000면의 분량이며 7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기상으로는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3월 ..

[20221210]1940년대 안양 시대상 기록한 채만식 '안양복거기' 전문

소설 『탁류(濁流)』로 유명한 채만식의 수필 ‘안양복거기’에는 1940년대 안양의 모습이 세밀하게 담겨져 있다. 저작권 보호만료로  전문이 공개된 안양복거기를 통해 과거 안양속으로 들어가볼까 한다.  이 ‘안양복거기’ 전문을 소개하는 이유는 그것이 문학작품이어서가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 특히 안양과 관련된 생활사 연구의 자료적 가치와 더불어 문화 유산가치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채민식은 1940년에 인천 송도에서 ‘양지말’(현 안양 3동)로 이사를 와 작품활동을 하다가 1946년에 낙향(이리)하여 4년간의 폐결핵 투병생활 끝에 세상을 떠났다. ‘안양복거기’는 그가 새롭게 삶의 터전으로 삼게 된 ‘안양의 인상기’라 할 수 있는데, 아주 긴 편지 형식의 글로 매일신보에 연재한바 있다.‘P형’에게 보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