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담론

[김대규]전재준 회장과 신중대 시장

안양똑딱이 2016. 6. 30. 15:15
[김대규]전재준 회장과 신중대 시장

[2005/12/09 안양시민신문 회장]

 

전재준 회장과 신중대 시장

사회적인 물의가 발생했을 때, 가장 필요한 것은 합리적인 사고에 의한 객관적인 판단이다. 그러나 인간은 ‘감정의 동물’인데다가 신분ㆍ성별ㆍ입장ㆍ가치관 등에 따른 사고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합리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기가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니다. 이 글을 쓰는 필자도 마찬가지다.

최근에 안양시민의 이목을 집중시킨 ‘삼덕제지’ 문제가 그렇다. 이 사태를 접하고 떠올린 것은 ‘결자해지(結者解之)’라는 말이었다. 즉, 두 당사자인 전재준 회장과 신중대 시장이 서로 만나 충분히 해결할 수도 있는 사안이 아니었나 하는 아쉬움이 크다는 것이다.

전 회장의 반대사유는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해볼 수 있겠다. 첫째는 기증자에 대한 인간적인 예우(禮遇)의 미흡, 둘째는 공원조성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굴뚝과 경비실’ 존치약속의 파기, 셋째는 대형 지하주차장 건설의 일방적인 추진. 이들 사유의 밑바탕에 깔린 것이 바로 인간적인 대화와 교감의 부재(不在)다. 전 회장의 신 시장에 대한 불신감은 이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는 다시 신시장의 평소 ‘인성(人性)’의 문제로 귀결된다 하겠다.

한 라디오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신중대 시장은 기증자의 뜻을 존중할 의사를 표명했지만, ‘지하주차장’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가 않다. ‘취소’나 ‘반대’도 능사가 아니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오늘날 모든 시설물에 필수적인 것이 ‘주차장’이다. 공원에도 주차장은 있어야 한다. 여기서 두 가지 의문이 인다. 첫째는 과연 620대의 대형 지하주차장이 필요할까라는 것이고, 둘째는 ‘지하주차장’ 건설이 과연 공원조성에 절대적인 반대사유로 합당할까라는 것인데, 이 두 의문은 곧 또 다른 두 가지 의문을 낳는다. 그 하나는 만일 소형 지하주차장이라면 어떠했을까라는 가정이고, 그 두 번째는 기증자에게는 정말 비례(非禮)이겠지만, 일부 언론에 보도됐던 ‘산업폐기물’과의 연관성은 없을까라는 기우이다.

그러나 마지막 의문은 ‘기증’이라는 미덕(美德)과 정면으로 배치되고, 현재 상황으로서는 언급 자체만으로도 다른 파장을 몰고 올 가능성이 있기에 ‘기우(杞憂)’라는 말을 쓴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유년시절에 삼덕제지 천변(川邊)의 정수(淨水) 시설에 뛰어들며 놀던 일, ‘굴뚝’ 어디까지 올라가느냐 내기를 하던 추억에, 폐수 찌꺼기를 말렸다가 불을 지피거나 그릇을 만들어 쓰던 일, 나이가 들어서는 그것이 하천 오염의 원인임을 알게 된 일들이 오버랩된다. “42년 간 삼덕제지를 운영해 오면서 본의 아니게 소음과 분진 등으로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를 준만큼 빚을 진 마음”이라는 기증의 변을 새삼 되뇌어 본다.

모든 일의 잘잘못에는 마땅히 책임을 물어야겠지만, 이번 사태는 그보다 원만한 타협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그에는 두 당사자의 격의 없는 대화, 특히 신중대 시장의 진중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어쨌거나 앞으로 공원은 반드시 조성될 터, 그렇다면 ‘굴뚝’의 복원ㆍ재현 문제와 더불어 공원명칭도 ‘삼덕공원’보다는 ‘전재준 공원’으로 한다거나, 기증자의 동상을 공원 내에 건립해서 그 뜻을 기리고, 기부문화 분위기 조성의 계기로 삼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라 생각한다.

2005-12-10 15: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