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428

포크레인 속 묻혀버린 아기장군바위

의왕과 군포와의 경계인 오봉산 기슭에 있던 '장군바위'(일명 아기장군 바위)가 도로확장공사 과정에서 사라졌다는 소식이 안양지역시민연대를 통해 의왕과 군포 등 지역사회에 알려지며 그 흔적 찾기에 나선 가운데 군포시민신문이 특집으로 이 문제를 다뤘다. 장군바위가 사라진 것을 첫 발견한 의왕향토문화연구소를 비롯 의왕시, 안양방송 취재진에서도 그동안 장군바위의 소재를 추적해 왔으나 현재까지 흔적을 찾지 못한 가운데 사진기록 조차 없어 지역에 내려오던 '장군바위' 설화의 증거가 영영 사라지게 됐다. 이 바위는 아기장수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 문화유산으로 크기는 길이 3미터, 폭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로 주민들의 쉼터 역할도 하는 등 인근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으나 도시개발과 지역사회의 무관심으로 인해 ..

의왕시가 지닌 풍수형국을 아시나요

경찰서장이란 직함 외에도 풍수지리학자로 색다른 직함으로 활동하며 눈길을 끌고있는 이기만 군포 경찰서장이 의왕시가 지난 풍수형국에 대해 "회룡고조의 오봉산은 금계포란형, 청계산은 청룡등천형, 왕곡동은 임금이 왕림한 곳이다"고 해석을 밝혔다. 의왕시가 공개하고 나선 이 서장의 글에 따르면 한남정맥(漢南正脈)이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 문수산(文殊山)을 향하는 북서쪽 중간지점에 의왕시(儀旺市)가 있다. 시가지 앞으로는 수리산 연봉(連峰)인 태을봉(太乙峰),관모봉(冠帽峰), 슬기봉들이 병풍을 펼치듯 조응하는 가운데 어머니 품 같이 넓고 큰 백운산(白雲山)이 시가지 뒤를 받쳐주는 진산(鎭山)으로서 청룡의 푸른 기상으로 지기(地氣)를 듬뿍 응축해주는 청계산과 함께 의왕시를 대표하는 명산이다. 뿐만 아니라 5개의 산봉우..

오봉산 아기장군바위(일명 장군바위)가 사라졌다

오봉산 아기장군바위(일명 장군바위)가 사라졌다 [04/08 의왕향토문화연구소 카페] 아기장군바위(일명 장군바위)가 사라졌다. 오봉산 북서쪽 군포시와의 경계 지점에 있던 아기장군 바위가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하여 사라졌다. 명지외고에서 시멘트 야적장 방향으로 이어지던 오솔길 오른쪽(군포시쪽)에 박혀있던 길이 3미터, 폭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의 바위가 아파트 단지 공사로 인한 도로확장시에 사라져버린 것이다. 이 바위에는 거인 발자국처럼 보이는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이 때문에 장군바위 또는 아기장군바위라는 이름과 함께 전설이 전해지고 있었다. 이 곳에서 30년간 살았다는 최병희 할머니(82세)는 "바위가 워낙 커서 아파트 단지 공사가 거의 끝날 때까지도 그대로 있더니, 어느 날 보니 파 가고 없더라"고 ..

[자료]의왕시 '儀旺'을 '義王으로' 어때요

[기사]의왕시 '儀旺'을 '義王으로' 어때요? [02/23 시민연대]주민의견 수렴 나서 의왕시 지명이 '義王'으로 바뀐다. 시는 '의왕(儀旺)'이라는 시명을 일제강점기 이전 지명인 '의왕(義王)'으로 변경키 위해 3월16일부터 31일까지 관내 5만1천200여가구를 대상으로 주민의견 수렴에 나설 계획임이 3.1절을 앞두고 알려져 관심을 끌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월 의왕시의회가 시명을 의왕(義王)으로 변경키로 의결한 바 있으며 이번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주민의 80% 이상이 찬성할 경우 시는 시명 변경에 대해 도(道)지명위원회를 거쳐 경기도와 행정자치부에 시명 변경을 건의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본래 광주군 의곡면(義谷面)과 왕륜면(王倫面)의 앞글자를 따 온 '儀王'이 옛 문헌이나 금석문에 '의왕(義王)'..

[자료]안양지역 옛길 흔적을 함께 걸으실까요

옛길을 걷는다면 한편 역사를 걷는 것이다. 최근 옛길을 따라 걷는 이들이 많아졌다.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에 나타나 있는 태평원(太平院)과 석원(石院) 사이의 옛길. 원(院)은 조선시대 정부에서 만든 관용 숙소로 지금으로 말하면 관사와 비슷하다. 대로에는 조선시대 주막과 여인숙 기능을 했던 원(院), 말을 갈아타고 길 관리를 했던 역(驛), 역을 관리했던 찰방(察訪) 터와 각종 비석·장승·서낭당·당산나무 등 길과 관련한 흔적이 길손들을 반기고 여행자에게 또 다른 재미를 던져줄 것이다. 옛길을 도보로 걸어본 사람들은 말한다. 길에 얽힌 역사와 길 위의 사람들, 사라져 가는 문화를 직접 보고 국토를 재발견하고 민족의 숨결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라져 가는 옛길을 복원하고 이 길에 보행자도로를 만들어 걸..

[자료]신성학원 역사 이렇습니다

[자료]신성학원 역사 이렇습니다 [08/31 안양광역신문] 신성학원 역사 이렇습니다 信聖의 뿌리는 聖林이 眞實이다. 한간에 안양 교육계를 뒤흔들고 있는 신성 문제를 놓고 교육계의 원로이시고 信聖(구 東中)설립의 신파 역할을 하신 분 중 한 분을 만나 말 많은 信聖의 뿌리를 알아 볼 수 있었다. ☆.선생님은 신성과 언제부터 인연이 맺어지게 되었습니까? 나는 1967년 신성의 전 신인 聖林高等公民學校부터 시작해서 1970년 안양동중으로 승격시켜놓고 1974년에 그 학교를 그만 두었습니다. ☆.그럼 지금 하시는 일은? 1999년 교원 정년단축 바람에 명퇴를 당하고 지금은 교육계에서 물러 나와 있습니다. ☆.안양문화원에 관계하고 계시다는데? 예 지금 이곳 저곳 사회에 봉사 좀 하고 있습니다. ☆.지금 안양교육계..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관광업)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관광업) [01/03 시민연대]안양상공회의소 자료중에서 발췌 관광산업의 여건 및 현황 안양권은 관악산, 수리산과 청계산을 끼고 있어 시민들에게 풍부한 자연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입지적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울에 인접해 있는 잇점을 활용하여,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및 서울경마장 등 대규모 레저시설이 입지해있어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 안양시 관광객 및 관광수입 변화 추이 표 III-5-1 관광객 (명) 관광수입 (백만원) 합계 내국인 외국인 합계 내화 외화 1981 719,605 704,709 14,896 1,846 1,616 230 1986 291,948 264,892 27..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운수.통신업)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운수.통신업) [01/03 시민연대]안양상공회의소 자료중에서 발췌 운수·창고 및 통신업 안양권의 운수·창고 및 통신업은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왔다. 안양권 운수·창고업 종사 사업체수는 1981년 72개 사업체, 종업원 3,403명에서 1998년 6,450개에 23,315명이 종사하는 거대한 산업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운수업·창고업은 72개 사업체에서 6,324개로 증가하여 연평균 27.7%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종업원수도 1981년 3,403명에서 20,560명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8.4%의 신장세를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수치는 안양권이 서울로 진입하는 길목에 입지하고 있어 이 지역의 물류기지로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부곡 복합화물터미널등 대형 물류기지들이 입지..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금융업)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금융업) [01/03 시민연대]안양상공회의소 자료중에서 발췌 금융의성장 해방 이후 우리나라 금융산업은 사회불안과 높은 물가상승 가운데 혼란을 겪으며 출범하였다. 1950년 중앙은행법과 일반은행법의 제정 등 금융제도를 정비하면서 현대적인 체제를 정비하였다. 그러나, 곧이어 터진 한국전쟁으로 금융제도가 정착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이후 전쟁복구를 위해 산업은행이 설립되고, 1957년에는 현대적 의미에서 최초의 거시 금융정책이라 할 수 있는 재정금융안정화계획을 수립하면서 안정적인 단계로 진입하기 시작하였다. 정책이 효과를 거두면서 금융기관들이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갔으나 4·19혁명, 5·16 혁명 등 정치적 혼란으로 금융계가 전체적으로 위축되었다. 開發年代에는 경제개발을 위..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유통업)

[자료]안양권 상공업 발전과정(유통업) [01/03 시민연대]안양상공회의소 자료중에서 발췌 시장변천과정 시장이란 물건을 사고 파는 장소로서 자급자족 경제를 탈피한 경제권에서는 물건의 교환을 위해 생활의 필수적인 사회제도의 하나로 존속해 왔다. 우리나라에서 물물교환의 단계를 넘어 물건의 매매가 이루어진 시장의 틀이 잡힌 것은 화폐의 보급이 일반화되기 시작한 조선조 태종 이후로 추정된다. 당시 시장은 한양에 공랑상점인 시전과 6개의 어용상점인 육의전, 그리고 지방에는 정기시장으로 5일장이 대부분이었다. 조선시대의 사농공상 직업관은 시장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으나, 중종, 명종대에 들어서 전라, 충청, 경상 등 삼남 각지에 장시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순조 때는 전국적으로 약 1,000여 개의 장이 서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