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자료 429

[20250301]1931년 3월1일 기미독립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2025.03.01/ #삼일절 #독립 #역사 #독립선언문 #106주년 1919년 3월 1일 3·1 운동에 맞추어 민족대표 33인이 당시 일제 강점 하에 있던 조선의 독립을 국내외에 선언한 글. 3·1 독립 선언서(三一獨立宣言書)라고도 불린다. 원래는 건의서 형식으로 작성되기로 하였으나, 건의서는 민족 자결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선언서를 따로 작성해야 한다는 최린의 주장으로 선언서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최남선이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천도교 인쇄소인 보성사에서 조판 인쇄하였다. 기미 독립 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全文)宣言書(선언서)  吾等(오등)은 玆(자)에 我(아) 朝鮮(조선)의 獨立國(독립국)임과 朝鮮人(조선인)의 自主民(자주민)임을 宣言(선언)하노라. 此(차)로써 世界萬邦(세계 만방)에 告(고)하야 ..

[20250228]시흥군 최초 <부림말교회> 100년전 기록 만나다

2025.02.27/ #사람 #역사 #기록 #부림말교회 #동은교회/  1910년 설립돼 시흥군(안양.군포.의왕.과천) 지역 최초의 기독교회인 부림말교회(현 동은교회)의 초창기 기록(사진과 서류 등)들을 확인하고 검토하는 자리에 초대받아 다녀오다. 현 동은교회 안병인 사무장등 기록의 중요성을 알고 계시는 분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발견한 초창기 부림말교회의 당회록, 영수증 등 옛 문건을 잘 보관해왔으며 지금도 교회의 역사와 뿌리찾기 계속하고 있다.  이날 옛 기록물을 학인하는 자리에는 부림말교회 설립자로 문학선 성도의 후손인 문화영 안산비전교회 집사의 주선으로 동은교회에서 초창기 사역을 했던김홍준 목사님 큰 아드님인 김성호 목사(협성대 명예교수)를 비롯 동은교회 정종수 은퇴장로 안병용 장로, 안병인 장로(사무..

[20250225]안양과 한동네였던 서쪽 너머 목감(牧甘里)

목감동(牧甘洞)  목감동은 시흥시 중심부에서 동쪽에 위치한다. 동북쪽으로 안양시, 남쪽으로 안산시, 서쪽으로 연성동, 북쪽으로 매화동과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17.57㎢로 시흥시 전체 면적의 12.9%를 차지한다. 1989년 시흥시 출범 당시 논곡동ㆍ목감동ㆍ광석동ㆍ능곡동ㆍ조남동ㆍ산현동ㆍ물왕동ㆍ하상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개청하였는데, ‘시흥시출장소설치조례’(시조례 제230호)에 따라 1991년 1월 15일 광석동ㆍ능곡동ㆍ하상동이 연성출장소로 분소하여 관할 법정동이 축소되었다. 조선시대 이 지역에 ‘목암사(木岩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경내의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절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자 목암사의 ‘목’자와 단감나무의 ‘감’자를 따서 ‘목감’이라 했다는데서 동명이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20250225]안양 인덕원(관양동) 마을 근대 이야기(고정웅)

2025.02.25/ #기록 #안양 #인덕원 #봉천마을/시흥문화원 주최로 2016년 7월28일 열린 제6차 시흥지역문화세미나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 자료에 실린 고정웅 안양향토연구소장 발표 자료 인덕원 봉천마을이야기>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자료집에는 옛 시흥군 권역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시흥행궁의 역사와 문화적인 환경조성, 관악의 역사, 추곡 정제두와 한국양명학, 1919년3월31일 의왕면사무소 앞 독립만세운동, 양재의 역사와 운명 외 5건의 세미나 발표 자료를 수록함

[20250225]의왕을 깨운 독립만세의 함성(박철하)

2025.02.25/ #기록 #의왕 #독립만세운동/시흥문화원 주최로 2016년 7월28일 열린 제6차 시흥지역문화세미나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 자료에 실린박철하 의왕향토문화연구소장 발표 자료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자료집에는 옛 시흥군 권역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시흥행궁의 역사와 문화적인 환경조성, 관악의 역사, 추곡 정제두와 한국양명학, 1919년3월31일 의왕면사무소 앞 독립만세운동, 양재의 역사와 운명 외 5건의 세미나 발표 자료를 수록함 3.31 의왕면사무소 앞 독립만세운동 "백년의 울림, 그 소중한 기억"ch B tv abchttps://youtu.be/X2164E3lof4?si=1nIUUZnZrn3cswXy

[20250225]금천구 역사와 시흥행궁(이종학)

2025.02.25/ #기록 #시흥행궁 #금천구 #시흥동/시흥문화원 주최로 2016년 7월28일 열린 제6차 시흥지역문화세미나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 자료에 실린이종학 금천문화원장 발표 자료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자료집에는 옛 시흥군 권역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시흥행궁의 역사와 문화적인 환경조성, 관악의 역사, 추곡 정제두와 한국양명학, 1919년3월31일 의왕면사무소 앞 독립만세운동, 양재의 역사와 운명 외 5건의 세미나 발표 자료를 수록함

[20250225]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PDF파일)

시흥문화원 주최로 2016년 7월28일 열린 제6차 시흥지역문화세미나 옛 시흥군의 역사와 문화> 자료옛 시흥군 권역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시흥행궁의 역사와 문화적인 환경조성, 관악의 역사, 추곡 정제두와 한국양명학, 1919년3월31일 의왕면사무소 앞 독립만세운동, 양재의 역사와 운명 외 5건의 세미나 발표 자료를 수록함 PDF파일 출처: 경기도디지탈메모리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354640f4d9d94496f4f609ab85429802.pdf

[20250220]근현대 기록, 이석용 안양시장선거 명함형 홍보물

2025.02.20/ #아카이브 #기록 #소장품 #이석용/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한 근현대 기록물.명칭 이석용 안양시장선거 명함형 홍보물제1회 전국 동시지방선거 기초단체장, 민주당국적/시대: 한국-광복이후분류: 사회생활-사회제도-선거/정책-정치선전물재질: 종이크기: 가로:10.0,세로:6.0소장품번호: 아고630보수야도라 불리웠던 안양의 정치 흐름을 180도 바꾸어 놓았을만큼 지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안양을 대표하는 인물중 한명으로 거론되는 이석용 민선 초대 안양시장이다.  그는 1938년 4월 26일 경기도 시흥군 남면(현 군포시)에서 아버지 이재명(李載明, 1909. 11. 15 ~ 1995. 6. 2)과 어머니 여흥 민씨(1909. 2. 12 ~ 1976. 4. 25)[3] 사이에서 2남 4녀 중..

[20250220]6·25전쟁, 안양 수암천 다리와 리지웨이장군 담긴 영상

2025.02.20/ #아카이브 #기록 #한국전쟁 #안양 #리지웨이장군/ 지난 2023년 7월 구글 라이프지 사진 검색을 통해 1951년 2월 19일자로 수록된 사진을 이곳 안양지역도시기록연구소 웹페이지에 올렸었는데 사진속 배경의 영상 기록 찾았다. 관련글 [20230728]1951년 2월 안양 수암천 다리와 리지웨이 3성 장군https://ngoanyang.or.kr/8024 [20230728]1951년 2월 안양 수암천 다리와 리지웨이 3성 장군2023.07.28/ #아카이브 #한국전쟁 #안양 #리지웨이장군/ 구글 라이프지 사진 검색에서 찾은 사진으로 사진은 라이프지 1951년 2월 19일자에 수록된 사진이다. 장소는 안양 (Anyang)으로 되어있고. 라이프ngoanyang.or.kr 라이프지에 수..

[20250220]6·25전쟁, 맥아더의 안양 전선 시찰 영상

2025.02.20./ #아카이브 #625전쟁 #영상 #안양전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6·25전쟁:맥아더 장군의 안양 전선 시찰 영상 기록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발견하다.6·25전쟁 중 미군과 한국군이 이동하며 전투를 치르고 있다. 미8군 사령관 리지웨이(Matthew B. Ridgway)와 국제연합군 최고사령관 맥아더(Douglas MacArthur)가 대화하고 있다. 또한, 민가 주변에서 발생한 전투로 사망한 시체와 불이 난 민가를 볼 수 있다. 영상보기 링크(검색에서 맥아더의 안양 전선 시찰)https://archive.much.go.kr/archive/userrecordimage/recordImageView.do?idnbr=2023007053&jobdirSeq=2011 6·25전쟁 중 미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