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69

[안양권지도]1914년 관악산 지도에서 본 안양리 삼막동

2025.01.22/ #지도 #기록 #아카이브/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관악산 지도속 안양리(삼막동).관악산(冠岳山) 경성 및 인천지방 7측도연도 1914제판연도 1915 J041-008-005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지형도는 3차에 걸쳐 제작된 1:50,000의 수량이 가장 많다.1차 지형도는 일본 육군참모본부가 1894~1906년 비밀리에 제작한 것으로, 약도略圖 혹은 군용비도軍用秘圖라고 부른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삼각측량법에 의해 2차 지형도가 제작되었으나, 삼각점망이 완성된 후 중단되었다. 한반도 전역을 포함한 3차 지형도는 1914년~1918년 사이에 제..

[20250122]평촌과 산본지역의 선사(先史) · 고대유적

수도 서울의 젖줄인 한강을 끼고 그 남방에 위치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지역에는 이미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을 것이다. 옛 과천군 동면 신원리(新院里), 남면 부곡리(富谷里)·산본리(山本里) 및 상서면(上西面) 일대에서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등이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곳이 거주 지역이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초기의 인류는 어로·채취·수렵 등으로 이동생활을 영위한 후 차차 이동식 농경에서 정주(定住)식 농경으로 생산양식이 발전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안.군.의지역은 그들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었을 것이다. 제1절 평촌지역(坪村地域)의 선사(先史) · 고대유적(古代遺蹟) ◉ 1. 개관◉ 2. 평촌마을 지석묘군◉ 3. 신촌마을 지석묘군◉ 4. 기타 지석묘◉ 5. 귀인마을 백제 ..

[20250121]군포시 청년공간 <플라잉>을 소개합니다

군포시 청년공간 플라잉(군포시 번영로 314) 창업공간에 1월 2일부터 10개의 유망 청년 기업이 입주하며 본격적인 운영이 시작됐다. 플라잉은 총사업비 219억 원을 투입해 지하 2층~지상 4층, 연면적 6356㎡ 규모로 지은 청년 복합문화공간으로 각 층별로 △1층 청년카페, 푸드코트, 라운지 △2층 다목적홀, 세미나실 △3층 메이커스페이스, 포토 스튜디오, 미디어실이 들어서 있다. 특히 플라잉 4층에 위치한 창업공간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험해 볼 수 있도록 총 11개실(다인실 4개, 1인실 7개)의 독립형 작업실과 휴게실, 공유주방 등 다양한 공용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입주한 기업들은 AI, 공예, 디자인, 문화기획,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스타트업으로 각 기업의 ..

[안양권지도]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지금의 서울특별시 한강이남(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동작구, 관악구 일부지역)과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일대가 과천현의 범위에 소속되었으며 과천시 문원동, 중앙동이 과거의 중심지였다. 冠岳山이 鎭山이며 修理山, 淸溪山과 漢江이 과천현을 둘러싸고 있는 형국이다. 漢江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이 지역에 분포하므로 농사에 적합한 지역이 많아 室坪, 僧房坪, 仁德院坪 등이 지도에 기록되어 있다. 縣 앞으로 물길이 빠져나가는 곳에 水口藪가 있었음이 지도에 나타나고 있다. 한강 이남에 위치한 지역이므로 露梁津, 銅雀津, 漢江津과 연계된 형태로 도로가 발달하였으며 서울과 三南으로 연결되는 大路, 衿川, 安..

[안양권지도]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과천지도 果川地圖,과천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와 서울시 서초구와 동작구 일부에 해당한다. 읍치는 관문동이었고, 관아 터는 현재의 과천초등학교 자리인데, 지금도 객사(지도상의 행궁과 인접하였다)의 주춧돌이 교정에 남아 있다. 冠岳山을 주산, 淸溪山을 안산으로 여기는 과천읍은 한양에서 삼남지방으로 가는 대로변에 위치하였으며, 관천읍내는 읍취락인 동시에 교통취락의 역할이 컸다. 지도에 行宮이나 행궁터가 보이는 것은 정조대왕의 초기 헌릉원행 등 왕의 행차가 잦은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다리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향교는 지금도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남아 있다. 南泰嶺은 본디 여우고개라 했으나 정조대왕이..

[20250120]대동여지도 전체를 확대해 볼수 있는 사이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는 ‘대동(大東)’인 우리나라 전체를 ‘수레[輿]에 땅을 담듯이’ 그린 지도이다. 1861년(철종 12) 김정호(金正浩)가 오랫동안 축적된 지도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완성한 것으로, 현존하는 전국지도 중 세로 6.6m, 가로 3.8m로 가장 크다. 「대동여지도」를 전시하기 위해서는 3개 층 이상의 공간이 필요할 정도이다. 그러나 지도는 한 장이 아니라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으로 제작되어 원하는 일부만 가지고 다니면서 열람할 수 있다.「대동여지도」는 목판본으로 제작되었으며, 체제·구성·채색·표장(表裝) 등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국내외에 50여 종이 전해지고 있다. 신유년(1861) 간행된 판본이 20여 종이고, 일부는 갑자년(1864, 고종 1) 판본이거나 미상인 경우이다..

[20250116]서울환경연합 2024 시민과학 리포트 다운로드

서울환경연합은 2020년 겨울 안양천 철새보호구역에서 시민조사단 활동을 시작한 이후 매년 꾸준히 시민과학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도시의 가로수와 각종 야생조류, 수분매개자 곤충과 지의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단체들과 협력하며 시민과학 활동을 진행하였는데요.지난해 말, 시민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협력한 성과를 모아 『서울환경연합 2024 시민과학 리포트』를 발간하였습니다! 서울환경연합은 앞으로도 시민들의 직접 참여를 토대로 기후위기 시대를 넘어서는 도시생태 보전 운동을 조직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분야의 시민과학자를 양성하고 지원하며 연결하며, 환경운동의 협력과 참여를 확대해 나가겠습니다.서울환경연합의 시민과학 활동에 많은 격려와 응원을 부탁드립니다!2024 시민과학 리포트 다운로드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