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지도 설명
과천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와 서울시 서초구와 동작구 일부에 해당한다. 읍치는 관문동이었고, 관아 터는 현재의 과천초등학교 자리인데, 지금도 객사(지도상의 행궁과 인접하였다)의 주춧돌이 교정에 남아 있다. 冠岳山을 주산, 淸溪山을 안산으로 여기는 과천읍은 한양에서 삼남지방으로 가는 대로변에 위치하였으며, 과천읍내는 읍취락인 동시에 교통취락의 역할이 컸다.
고구려의 율목군(栗木郡), 신라 경덕왕 때는 율진군(栗津郡), 고려 초에는 과주(果州)라 불렀다. 조선 태종 13년(1413)부터 과천(果川)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주변 지역과 합해진 시기도 있었다. 고려 현종 9년에는 광주(廣州)에, 조선 태종 14년에는 금천(衿川)과 합해져 금과(衿果)라 불리기도 했다. 세조 때에도 잠시 금천에 합해진 적이 있으나 이후 조선시대 내내 독립된 군현으로 존재하였다.
1914년 3월 1일 군면 폐합에 의해 시흥군에 편입되면서 과천면으로 불렸다. 과천시 중앙동 주민센터를 옛 면사무소 위치로 보면 된다. 1982년부터 정부 제 2 종합청사와 서울대공원이 들어섰고 1986년 1월 1일부터 과천시로 불린다.
위에 있는 조선후기 지방지도 과천지도는 한강을 지도 오른쪽에 배치하였다. 나루터인 노량진, 동작진, 한강진을 표시하였다. 노량진과 동작진 옆에 그려놓은 용양봉저정은 정조가 배다리를 건넌 후 쉬어갔던 곳이다.
지도 위쪽에 그려 놓은 산이 과천의 진산(鎭山)인 관악산이다. 연주대와 자운암이 보인다.
한강을 건너 수원으로 향했던 두 갈래 길이 보인다. 관악산 서쪽을 지나는 길은 시흥통로이다. 만안석교를 지나는 길이다. 또 다른 길은 남태령을 넘어 과천행궁을 지난다.
지도에 行宮이나 행궁터가 보이는 것은 정조대왕의 초기 헌릉원행 등 왕의 행차가 잦은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다리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향교는 지금도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남아 있다. 南泰嶺은 본디 여우고개라 했으나 정조대왕이 수행원에게 고개 이름을 물었을 때 속된 이름을 꺼내지 못했던 수행원이 ‘남태령’이라 답한 데서 이름이 바뀌었다는 전설이 있다. 서울에 올라가는 관문이었기에, ‘남태령에서 긴다’ ‘과천에서 긴다’는 말이 행인들 사이에서 전해져 왔다.
관악산은 한강으로 유입되는 하천의 발원지가 된다. 관악산 서쪽에서는 도림천이 나와 안양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들어간다. 이 하천은 조선시대 시흥 땅에 해당하므로 이 지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관악산 동쪽에서는 양재천이 나와 탄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유입된다. 지도 오른쪽 아래에 양재천교를 그려 놓았다. 동작진 옆에 그려진 승방천은 지금은 복개된 사당천이다.
현재는 서울특별시에 속하는 강남 지역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였다. 관악산에서 한강까지 과천현이었다. 지도 아래쪽에는 청계산이, 왼쪽에는 수리산이 그려졌다. 그 사이에는 안양장, 군포장, 군포천, 인덕원천이 표시되었다. 지금보다 훨씬 넓은 지역이 조선시대 과천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과천시가 최근 ‘남태령 옛길’을 복원해 놓았다. 삼남대로는 이 고개에서 지금의 동작대로를 따라 북상해 銅雀津(동재기나루)에 이르러 한강을 건너 한성으로 들어갔다.
軍浦場은 이름 그대로 현 군포시의 기초가 된 장터거리인데, 지금도 ‘구장터’(현재 안양 호계구사거리)라는 취락명이 남아 있다. 기타 鷺粱津을 거치는 시흥로, 漢江津과 良才川橋를 거치는 영남대로 등이 보인다.
출처: 서울대 규장각 지리지종합정보
https://kyujanggak.snu.ac.kr/geo/main/main.jsp?listcnt=10&sort=#null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
kyujanggak.snu.ac.kr
https://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jsp
지도 크게 보기:
'타임머신 > 옛지도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204]1914년 과천군, 안산군이 흡수통합된후 시흥군 약도 (0) | 2025.02.04 |
---|---|
[20250203]1950년 7월 4일 미공군 항공사진과 안양 지도 (1) | 2025.02.03 |
[안양권지도]1930년대 경기관내도 속 시흥군&서이면 (0) | 2025.01.23 |
[안양권지도]1918년 경성(京城) 지도에서 본 시흥군지역 (0) | 2025.01.22 |
[안양권지도]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0) | 2025.01.20 |
[20241008]안양 범고개는 1960년대 지도에 더푼물(더푸멀) 표기 (6) | 2024.10.08 |
[20240915]1931년 발행 조선중요특산물분포도 (3) | 2024.09.15 |
[20240608]1971년 새서울건설약도속 시흥군 남면과 의왕면 (0) | 2024.06.08 |
[20240608]1971년 새서울건설약도속 안양읍 (0) | 2024.06.08 |
[20240607]안양, 서울 편입 70년도 새서울 도로번지 도시계획 약도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