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애종/안양 마애종의 종합적 고찰 [2008/11/14 안양민예총]최 응 천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안양 마애종의 종합적 고찰 -범종 양식을 통해 본 마애종의 제작시기를 중심으로- 최 응 천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1. 머리말 우리나라의 다양한 불교미술품 가운데 마애불은 일찍이 百濟백제의 泰安태안과 瑞山 磨崖三尊佛서산마애삼존불로부터 통일신라는 물론이고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제작되어 온 가장 한국적 특색을 지닌 불교조각 분야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마애불의 시원은 중국의 石窟寺院석굴사원을 모본으로 하였지만 석굴을 굴착할 수 없었던 우리의 자연환경을 맞게 자연의 암반을 다듬어 고부조로 조각한 뒤 前室전실을 만드는 한국식 석굴에서 출발하였다. 花崗巖화강암은 그 재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