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26

[20170329]안양시, 부모 등 부양자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안양시는 올해 3월 「안양시 부모 등 부양자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경로효친의 건전한 효문화 정착 및 고령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섰다. 시는 올해 초 노인 복지를 위한 노인 여가시설 확충, 노인일자리 사업 창출 등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할 5대 분야 21개 사업의 노인복지 중․장기 추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부양자 지원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제2의 안양부흥을 위해‘어르신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제정된 조례가 85세 이상 부모님을 모시는 3세대 가족을 대상으로 한 만큼 효행 확산 분위기 조성과 효행 관련 제도, 정책, 귀감 및 사례 등을 어린이와 학생, 지역주민들에게 교육해 참다운 효도의 뜻을 익힐 수 있는 인문도시를 조성할 방침이다. 부모 등 부양자 지..

[안양권지도]1908년 신정분도 대한제국지도 속 안양권

이 지도는 1908년 펴낸 『신정분도 대한제국지도』(新訂分道 大韓帝國地)의 경기도(京畿道)편의 안양지역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1905년 경부선 철도가 놓여진 이후의 철도 체계와 도로 교통망을 보여주고 있다. 지도에서 볼때 당시는 경성과 더불어 수원을 크게 표기해 인구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또 인천, 과천, 시흥, 안산, 용인, 부평, 양천, 광주, 이천, 양지, 김포 등을 비교적 크게 표기하고 있다. 안양은 조선시대 과천과 시흥의 일부가 합쳐진 곳이다. 안양시 동부는 조선시대 과천현의 상서면·하서면 지역이며, 서부는 조선시대 시흥현의 군내면과 서면의 일부에 해당한다. 조선시대에는 서로 인접한 과천현 하서면과 시흥현 군내면에 안양리라는 지명이 모두 있었으며, 이들 지역이 안양시의 중심이 된다. 안양 주..

[안양권지도]1899년 과천군읍지(규10708)-안양권

1899년 과천군읍지(규10708)-안양권 #고지도 #시흥군 #1899년 #기록 #기억 #안양 #군포#금천 이 지도는 1899년(光武3) 전국적인 읍지 편찬 사업의 일환으로 편찬된 경기도 『과천군읍지』〈奎 10708〉에 수록된 과천군 지도로 현재의 안양.군포 유역의 산세를 함께 보여준다. 서남쪽을 위로 그렸고, 서남-동북으로 길게 배치한 회화식 지도이다. 태을산(太乙山), 수리산(修理山), 청계산(淸溪山), 관악산(冠岳山), 우면산(牛面山) 등 주요 산은 검은 먹으로 선을 그린 후 청색으로 채색하였고 산의 명칭은 붉은 사각형 안에 적은 후 황색으로 채색하였다. 안양천(安養川), 공수천(公須川), 승방천(僧房川) 등의 하천과 한강은 담청색, 읍치는 붉은 사각형 안에 ‘읍’이라 쓴 후 담청색으로 채색하였다...

[20170328]의왕시, 공사장 가설울타리 표준 디자인 개발

의왕시가 시내 곳곳의 공사장 가설 울타리를 지역 특색과 시정 비전을 나타내는 표현 도구로 삼기로 하고 자체개발한 표준디자인을 배포해 도시경관 향상 및 시민소통에 좋은 효과를 얻고 있다. 의왕시는 지난해 건축과 도시디자인팀이 마련한 표준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의왕백운밸리 개발, 장안지구 개발 사업현장을 비롯해 농어촌 공사부지, 재개발‧재건축 도시정비 사업장 등 시 전역의 대규모 개발사업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사장마다 불규칙한 디자인과 불법 광고물로 도배됐던 울타리가 도시 이미지에 걸맞는 디자인으로 탈바꿈해 도시미관 개선과 시 브랜드 가치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울타리 디자인 가이드라인 주요 테마는 의왕의 랜드마크를 표현한 의왕 명소, 시민과 함께하는 도시갤러리, 의왕의 CI와 BI로 표현한 ‘행..

[20170328]안양시, 전국 최초 상·하수도요금 문자 고지 서비스

안양시가 전국 최초로 상․하수도요금 스마트 문자 고지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난 27일부터 서비스에 나섰다. 스마트 문자 고지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문자로 전송되어 스마트폰에서 바로 요금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며 종이고지서 제작 발송에 소요되는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상하수도 요금 자동납부를 신청한 수용가를 대상(현재 1만8천 건)으로 안양시상하수도 홈페이지(water.anyang.go.kr) 또는 전화(031-8045-2722)로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시 200원의 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필운 안양시장은“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민 불편사항을 발굴하여 고객 중심의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안양시는 상․하수도요금 자동납부, 전용계좌 납부, 인터넷납부, AR..

[20170328]안양시청 마당에서 청년 푸드트럭 영업 개시

안양시청 마당에서 청년실업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푸드트럭이 영업을 시작했다. 시는 식품위생법 개정(2015.10.21.)으로 공공청사 부지에 이동용 음식판매 자동차(일명 푸드트럭) 운영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규제개혁 차원에서 이동용 음식판매 자동차 영업자를 지난해 10월 모집하여 선정 절차를 거친 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시는 우선 안양시청 민원실 입구에서 푸드트럭 영업을 시작하고 영업자의 여건에 맞춰 순차적으로 만안구청과 동안구청에 푸드트럭 영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필운 안양시장은 “규제개혁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는 시정을 최우선 과제로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안양시는 푸드트럭 영업 개시로 지난 12월 시 청사 앞 광장 경관 개선 공사..

[자료]군포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나?

군포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나? 사람들에게는 모두 각자의 이름이 있듯이 땅에는 땅 이름, 즉 지명(地明)이 있다. 지명은 인류의 사회생활과 더불어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지역의 주변 환경과 역사, 이에 대한 의미부여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다양하게 얽히면서 생겨나게 되었다. 따라서 지명에는 그 지역에 대한 역사와 풍속, 문화 등은 물론 그 지역의 독특한 자연환경이나 생활풍습 등이 녹아있는 경우가 많다. 지명에 대한 유래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그 지명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는 일이다. 지명이 고유어(순 우리말)라면 이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고, 한자어가 있다면 그 한자어에 담긴 의미를 해석해 보는 일이다. 군포시는 1979년 5월에 시흥군 남면에서 군포읍으로 승격하였..

[최병렬]군포장의 변천과정 이야기

사람들의 왕래에 영향을 미친 또 하나의 요소는 장시이다. 장시는 15세기 말에 발생하여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으로 5일장의 형태로 발전했다. 일반 백성들은 장시에서 잉여 물자를 팔고, 부족한 물자를 보충하였다. 따라서 장시는 일반 백성들의 왕래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옛길의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안양시 지명유래』에 따르면, 군포장(軍浦場)은 수원에서 지지대 고개를 넘어 안양을 거쳐 한양으로 가던 시흥로 역로(驛路)의 중간 지점인 현재의 호계동 삼신아파트와 진우아파트 지역에 인접한 구군포 사거리와 안양천(맑은내, 군포천) 사이로 지금도 이곳 구장터 부근 도로는 구군포길로 불리우고, 옛 군포장이 위치하던 지역은 ‘구장터1로’에서 ‘구장터3로’까지의 도로 명칭을 지니고 있어 이곳이 장터였음을 보..

[자료]수리산과 모락산의 역사

경기 수리산과 모락산의 역사(월간산 2001년 6월호) 수리산(修理山)-태을성 초제를 지내던 독수리 형상의 산 경기도 안성의 칠현산에서 맥이 북으로 뻗어가서 용인의 보개산, 수원의 광교산을 지나 서쪽으로 다시 이어지는 한남정맥(漢南正脈)이 수리산의 山經이다. 경기도 안양시·군포시·안산시의 진산이며, 안양·군포·안산·시흥의 네 도시가 접경하는 해발 474.8m의 산이다. 비운의 임금 단종이 사냥을 했을 만큼 그 옛날엔 숲이 무성하고 산짐승이 많았던 산이다. 2년 10월 1일 기묘일조에, "임금이 보천리에 이르러 낮 수라를 들고 수리산(修理山)에서 말을 몰아 사냥하였다. 해질 무렵에 과천에 이르러 비을매리(飛乙每里: 지금의 안양 비산동 추정)에서 거가(車駕)를 멈추었다."고 이 때의 일을 기록하였다. 주변이..

[자료-오기환]문화예술과 역사4, 안양 지정문화재 및 문화유산

문화예술과 역사가 어우러진 안양- 안양광역신문사(aknews0511@daum.net) 2015-09-04 오전 10:12:00 1591 안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 부소장 오 기 환 5. 삼막사는 신라의 승려, 원효·의상·운필이 창건하여 산의 이름을 삼성산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조선후기 마애불과 칠성각이 건립되는 등 지속적으로 중창과 중건이 이루어지면서 법등이 이어져 왔으며 현대에 들어와 크게 중창이 되면서, 대웅전·명왕전·망해전·관음전·천불전 등 다수의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초석·석탑·석간·석상·마애삼존불 칠성각 등 전통사찰의 위상을 보여주는 다수의 유적, 유물들이 전하고 있는데 그 수가 안양에 소재하고 있는 사찰중 가장 많다. 사찰은 안양사·삼막사·불성사·염불암·망월암·망해암·반월암 보장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