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36

[20250125]24절기와 세시풍속

24절기란 뭔가요? 절기는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이다. 시령·절후라고도 한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에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매 15°마다 새로운 절기로 구분한다. 계절을 세분하여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다. 이 황경이 0°일 때를 춘분, 15°일 때를 청명(淸明) 등으로 구분하는데, 〈표〉와 같이 15° 간격으로 24개 절기의 날짜가 구분된다.24절기는 다시 홀수 번째 절기를 절로, 짝수 번째 절기를 중으로 구분한다. 중이 되는 절기는 음력 열두 달의 이름을 정하는 절기인데 음력의 달에서 24절기의 중기가 빠진 달이 생기면 이 달을 윤달로 쳐서 양력과 음력의 차이를 보완한다. ..

[20250124]FC안양, 도전자의 정신으로! 2025시즌 유니폼 공개!

FC안양이 ‘도전자의 정신으로’ 2025시즌 유니폼 디자인을 공개했다.이번 유니폼은 안양의 창단 첫 K리그1에서의 의지를 강조하며 ‘도전자의 정신으로’라는 2025시즌 슬로건 문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홈 필드 유니폼은 안양의 상징색인 보라색과 검은색의 조합으로 완성됐다. 검은색에서 보라로 연속되는 색의 표현을 통해 K리그1을 안양만의 색으로 물들이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더불어 하의와 스타킹의 색은 검정색을 사용해 상, 하의의 전체적인 컬러도 보라색으로 물드는 모습을 표현했다. 원정 유니폼은 상,하의 흰색이며 넥과 사이드에 보라색 포인트로 강조했다. 골키퍼 유니폼은 민트색과 분홍색으로 완성했다. 필드 유니폼과의 통일성을 위해 소매 부분에 사선 스트라이프 패턴을 삽입했고 골키퍼 상의 측면 색..

[20250124]경부선 개통후 신축한 일본 건축 양식의 안양역

2025.01.24/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안양역/ 일제강점기 당시인 1905년 경부선 개통 이후 신축한 일본 양식의 안양역. 1 940년 조선 총독부 철도국에서 펴낸  [조선철도 40년 약사]에 실린 사진으로 일본식 건물 형태의 목조건물이다. 원불교 교주 소태산 대종사의 안양 망해암 방문 발자취를 조사하던 연구팀에서 조선철도 40년 약사 시진첩에서 찾았다고 제공해줌. 경부선 개통당시인 처음에는 한옥 형태 역사였다가 이후 새로 신축한 것으로 추정됨.

[20250123]1970년 안양천 겨울, 안양대교 스케이트장

2025.01.23/ #기록 #기억 #응답하라 #옛사진 #안양대교 #안양천 #스케이트 #sine1970/ 1969-70년 겨울 안양대교 다리 아래 스케이트장.1960-70년대 겨울이 되면 안양천이 꽁꽁 얼어 안양대교와 안양철교 사이의 안양천에는 커다란 스케이트장이 생겼지요. 입장료를 내야하는 유료 스케이트장이었지만 관리를 잘해 빙질이 좋았고, 스케이트날을 가는 아저씨들도 서너명이나 있었고, 따끈한 국믈을 파는 천막도 설치되는 등 당시 안양에서는 최고의 겨울철 놀이터였자 각종 빙상대회가 열리던 곳이었지요. 사진속 인물들을 보면 사진 중앙에 허리를 숙인 어린이가 저로 초등학교 5-6학년 무렵 아닌가 싶습니다. 저를 둘러싼 주변의 인물들은 당시 안양에서 서울로 기차통학을 하던 중고등학생(53.54년생)들로 지..

[20250123]원불교 소태산 대종사 1930년 안양 망해암 방문 발자취

2025.01.23/ #기록 #역사 #원불교 #소태산 #안양 #망해암/ 원불교 교단의 기록에 의하면 원불교 창시자인 소태산 대종사께서 원기15년(1930년) 9월 1일(음력 5월9일) 안양 망해암을 방문했다. 이에 원불교 교단 차원에서 대종사의 안양 방문에 큰 관심을 갖고 그분의 발길을 따라 원불교 순례단이 매년 3월1일 안양역에서 망해암이 자리한 비봉산 정상까지 평화행동 행진을 하고 산상 기도회를 개최하였으며 교단 차원에서 소태산 대종사의 안양 방문 발자취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해 왔다. 2024년 11월 원불교 소태산 대종사의 망해암 방문 조사팀에서 안양도시기록연구소 웹사이트에 있는 망해암 관련 글과 사진, 지도 등 기록을 보고 연락을 해왔다. 이후 이메일로 소식을 주고받으며 옛 안양에 대한 자료룔 제..

[20250123]안양6동 골목속 간판 없는 꼬치집 <명학육꼬>

2025.01.22/ #닭꼬치 #명학육꼬 #구통꼬 #안양6동 #명학역/ 안양8동 명학공원 정문앞 도로 건너편 골목에 간판 없는 닭꼬치집. 아는 사람만 아는 유명한집.명학육꼬는 성결대 가는길에서 상호 '똥꼬'로 시작할때 대학생들의 입소문을 타고 유명세를 날렸다. 상록지구 재개발로 가게를 명학공원 정문 건너에 이전했다가 2024년 5월 문을 닫았다가 8월에 옆 골목에 다시 문을 열었다.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11/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534-12

[20250123]안양8동 상록마을 재개발 앞두고 사라졌다

2025.01.23/ #도시기록 #안양 #상록마을/ 재개발 추진으로 안양8동 성결대학교 가는길 좌측 산비탈에 있던 마을이 완전히 사라졌다. 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 그리고 안양시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산자락에 있던 동네. 2007년 12월25일에는 끔찍했던 혜진이 예슬이 살인 사건이 발생했던 곳이기도 하다.

[20250122]1990년대 의왕 왕송호수 겨울 얼음낚시

2025.01.22/ #기록 #의왕 #아카이브 #옛사진/ 의왕 고천동 왕송저수지에서의 1990년대 겨울철 얼음낚시 모습, 사진출처: 의왕문화원의왕시 관내에는 농업용수로 이용하던 저수지가 3개나 있다. 청계동의 백운호수, 부곡동의 왕송호수, 오전동의 오매기저수지.왕송호수(旺松湖水)는 경기도 의왕시 남부, 황구지천 상류에 위치한 제방 길이 640 m, 높이 8.2 m, 만수면적 0.96 km2의 호수이다. 1948년 1월에 준공되었으며, 이름은 설치 당시 수원군 일왕면의 '왕'과 매송면의 '송'자를 따서 붙여졌다.인공호수로 2014년까지는 공식 명칭이 왕송저수지였지만, 2014년 제3차 국가지명위원회에서 왕송호에 공원 시설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바꾸는 것을 가결하였다. 2016년 4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