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까지 안양지역(엣 시흥군 안양읍)에서 사용하던 소방용 완용펌프가 국가등록문화제로 지정될 예정이다.
완용펌프는 수레에 싣고 인력으로 이동해 수동으로 소화수를 뿌리는 장비로 우리나라 소방기구 역사 초기 상황을 보여주는 유물로 꼽힌다.
소방청은 소방에서 최초로 2점의 근현대 소방유물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재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2020년 12월 31일부터 2021년 1월 30일까지 국민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등록예고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국가등록문화재는 문화재청장이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특별히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록한 문화재로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에 생성·건축된 유물과 유적이 중점적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번에 등록예고된 소방유물은 2점으로 서울소방항공대에서 2005년까지 활약하다가 퇴역한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헬기와 1950년대 제품으로 국내 회사가 생산한 국산 완용펌프 1점이다.
현재 안양소방서에 있는 완용펌프는 국내 기업이 생산한 국산 소방장비로 수레에 싣고 이동하는 소방 장비이다. 소방자동차와 분말소화기 같은 화재 진압기구가 보급되기 이전에 전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 유용한 소방기구로서, 우리나라의 소방 기구 역사의 초기 상황을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므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에 완용펌프가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대 초부터이지만 당시에는 일본에서 생산된 제품이거나 일본의 한국 현지법인이 생산한 것이 전부였다.
한국전쟁 이후 열악한 소방력을 보강하기 위해 1954년에 서울에 소재한 전문업체인 한국방호기재공업주식회사가 국산 완용펌프를 생산해 당시 내무부 소방국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판매를 시작했다.
완용펌프는 수동으로 펌프를 작동시켜 소화수를 뿌리는 기계식 장비로 17세기 유럽에서 발명됐으며 조선 경종 3년인 1723년에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도 소개됐다. 이후 20세기 초 소방차가 보급되기 전까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됐으며 우리나라는 경제 사정으로 전국적인 소방차 보급이 늦었기 때문에 1960년대 초까지 사용했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 소방차는 1977년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다. 현재 국산 완용펌프는 전국에 4점 밖에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번에 등록 예고된 완용펌프는 경기도 안양지역(옛 시흥군)에서 1962년까지 사용하던 것으로 원형이 잘 유지돼 문화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됐다.
이 완용펌프는 1970-1990년대 옛 안양 소방서(현 안양6동 119안양소방센터) 2층 홀에 전시되어 있었다. 이후 평촌에 신청사가 신축된 이후 옮겨져 1998년 6월 1일부터 안양소방서 1층에 전시돼 있으며 안양서에서 관리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등록예고기간 중에 특별한 이견이 없으면 오는 2월 중 최종 문화재심의회를 거쳐 등록문화재로 확정하고 3월 중 공고할 예정이다.
한편 1977년 세워진 안양소방서 망루도 근대문화유산으로 국가등록문화재 지정감이다.
고층빌딩과 아파트가 숲을 이루는 요즘과는 달리 예전에는 조금만 높은 곳에 올라서면 시야가 넓게 트여 불이 나면 현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높은 곳에서 하루종일 화재를 감시하던 탑을 '소방 망루'라고 하는데 이제는 다 없어지고 경기도에 딱 하나 전국에 두개가 남아있다고 한다.
망루에는 망루 요원이 24시간 주·야로 파수꾼 역할을 하면서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징후가 있으면 타종과 싸이렌을 통해 화재발생을 알리고 출동대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
기록을 보면 한국역사상 소방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것은 최초의 소방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 금화도감부터라 할 수 있다. 이때에는 화재감시용 종루를 설치하고 배정된 화재감시인이 항상 종루에 올라 간망하다가 궁이나 민가에 불이나면 종을 쳐서 알리도록 했는데 이것이 초기의 소방통신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 망루는 경성소방조가 남산에 세운 소방망루였고, 이후 도시든 시골이든 마을 중심 높은 곳에 설치되었는데 1970년 말 전화가 보급되면서 119 신고로 대체되면서 대부분 사라지고, 대구동부소방서(1977년 설치)와 안양소방서 망루가 현재까지 남아있다고 한다..
안양소방서 망루는 1977년 6월에 세워졌다. 1977.06.18 안양소방서가 개서하면서 함께 마련된 것이다.. 망루의 높이는 25M(8층 층고)로서 외벽에는 붉은 글씨로 「불조심」이라는 글귀가 적혀있다. 망루 정상 공간에 가려면 115개의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가뿐 숨을 몰아쉬며 도착한 망루 끝자락의 공간은 약 3평 남짓하다. 안양시내뿐 아니라 평촌 신도시 아파트촌, 멀리는 의왕 청계, 포일지구와 내손지구, 군포 금정역 주변 등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는 안양소방서 신축 당시 지리적으로 안양시내를 조망해 볼 수 있는 높은 곳에 세워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안양시내뿐 아니라 멀리 군포와 의왕까지도 한눈에 들어오니, 2-3층 건물이 가장 높았던 70년대에는 안양 인근에서 연기가 나면 금방 볼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장을 안내한 소방관계자는 “당시 시내를 관찰하여 불꽃이나 연기와 같은 화재의 징후를 발견했을 때는 즉시 인터폰으로 촐동 대기 소방관에게 연락하여 출동하는 체계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지난 2011년에는 1964년에 지어진 충무로 119안전센터(과거 중부소방서)의 소방 망루가 철거돼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소방 센터를 재건축하기 위해서 결국 소방 망루까지 허물 수 밖에 없었던 거다. 도시화에 따른 건물의 고층화 및 전화와 이동통신 등 정보통신의 혁명으로 뒷전이 되어버린 소방망루.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최일선에 있던 상징물이자 안양소방의 문화유산 역사로 잘 보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2. (등록예고) 「국산 소방 완용 펌프」
□ 문화재명: 국산 소방 완용 펌프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 212번길 32 안양소방서
□ 제작연대: 1950년대 이후 □ 수량 및 규격: 1건 1점 / 높이 1.4m, 길이 2.45m, 너비 60cm
□ 소 유 자: 안양소방서
□ 등록사유
ㅇ ‘국산 소방 완용펌프‘는 1950년대 국내 생산된 손으로 작동하는 소방펌프로, 수레에 싣고 인력으로 이동하는 소방 장비이다. 해당 유물은 소방자동차와 분말소화기 등 화재 진압기구의 보급 이전에 전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 유용한 소방기구로서, 우리나라의 소방 기구 역사의 초기 상황을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므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있다.
[자료]의용소방대로 시작한 안양소방서 변천사 https://ngoanyang.or.kr/2128
[자료]시흥군 - 안양소방서의 변천사 https://ngoanyang.or.kr/520
1970년대 시흥군 안양의용소방대 장비와 복장 https://ngoanyang.or.kr/1075
1960-70년대 안양 소방관의 자료(김귀연님 제공) https://ngoanyang.or.kr/2025
[자료]문화유산 안양 소방망루를 아십니까? https://ngoanyang.or.kr/2263
'안양지역뉴스 > 안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310]안양시인재육성재단 ‘창업가정신 거점센터’ 선정 (0) | 2021.03.10 |
---|---|
[20210309]안양 평촌도서관 재건축한다... 2025년 재개관 목표 (2) | 2021.03.09 |
[20210309]안양시, 드론 띄워 산불 감시에 나섰다 (0) | 2021.03.09 |
[20210309]안양시, 스마트교통 뉴딜사업 올 하반기 사업 발주 추진 (0) | 2021.03.09 |
[20210305]안양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수리산 변산바람꽃 보호활동 7년째 (0) | 2021.03.05 |
[20210303]안양시, 친환경 전기차.수소차 구입 보조금 지원합니다 (0) | 2021.03.03 |
[20210303]안양 율목종합사회복지관에 ‘경기 먹거리 그냥 드림 코너’개설 (0) | 2021.03.03 |
[2021303]안양역앞 공사중단 건축물 해결법안 국회 통과 (0) | 2021.03.02 |
[20210226]2020 안양시민축제 우선멈춤 , 2021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선정 (0) | 2021.02.26 |
[20210223]안양시, 4차 산업혁명교통 지능형교통체계(ITS) 1단계 구축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