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497

[20210421]안양 학의천 쥐방울덩굴 군락지 & 꼬리명주나비 자생지

2021.04.19/ #안양 #동네 #하천 #학의천 #쥐방울덩굴 #꼬리명주나비/ 안양 관양교 주변 학의천 남단 흙길 산책로 변에 자리한 쥐방울 군락지입니다. 이 군락지가 중요한것은 멸종위기종 적색에 해당하는꼬리명주나비(긴꼬리에 빨간점이 똭! 찍힌 나비)를 관찰할 수 있는 생태지역이기 때문입니다. 꼬리명주나비는 애벌레 시기에 쥐방울덩굴 잎만 먹고 자라기 때문에 지자체가 적극 보호에 나서야 합니다. 쥐방울덩굴에서만 애벌래 알을 낳고 자라나서 나비가 되는 모습을 잘 보전하기 위해서는 하천변 생태공간을 마련하고 생물서식 공간제공으로 조성하여 자연생태 학습장소로 활용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쥐방울덩굴이 사라지면 꼬리명주나비를 더 이상 볼 수 없습니다...

[20210421]의왕시, 제8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취소... 정원 감상은 가능

의왕시는 5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레솔레파크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던 제8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행사를 취소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의왕시는‘정원으로 떠나는 소풍여행 레솔레파크’라는 주제로 지난해부터 오는 5월 박람회 개최를 목표로 의왕시민정원사 양성, 시민추진단 운영, 기반시설조성 공사 등을 진행해 박람회 준비를 완료하였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시 관계자는 박람회 행사는 취소하지만 박람회를 준비하면서 공모 작품으로 선정된 정원 14개소(문화정원 6개소, 생활정원 8개소)와 토피어리 조형물, 초화류 화단 등은 예정대로 조성하여 레솔레파크를 찾는 시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상돈 의왕시장은“5월에 개최하려고 계획하였던 경기정..

[20210419]안양 도심 아파트단지 뜨락에서 토종 하얀민들레를 만나다

2021.04.19/ #안양 #동네 #골목 #하얀민들레/ 안양 도심 한복판에서 하얀민들레를 만나다. 안양 도심에서 토종 하얀민들레를 보다니, 자연속 노란민들레 군락속에서 굳굳하게 잘 자라는 모습을 보기는 3년만에 보는듯 싶네요. 안양천.학의천은 물론 서울 등 곳곳의 자연생태계의 멋진 사진을 페북에 올리고 있는 페친(@Wanjae Lee)으로 부터 비산동 모 아파트 정원에 하얀민들레가 있다는 정보를 접하고 찾아갔지요. 아파트 뒷편 양지바른 뜨락에 노란옷을 입은 민들레 틈속에 하얀 옷을 입은 아씨가 보이네요. 하나둘셋. 단지를 한바퀴 돌다보니 옆동 뜨락에도 하얀민들레 둘이 보입니다. 요즈음 토종 하얀민들레 보기 어려운데 이 아파트단지의 특색화 사업으로 하얀민들레 번식을 하면 어떨까 아파트자치위원회에 귀띔을 ..

[20210419]안양천 덕천교-전파교 중간에 새 다리 생긴다

2021.04.18/ #안양 #동네 #안양천 #교량/ 쌍개울과옆 덕천교와 전파교 중간에 새로운 교량(다리) 하나를 놓기 위한 공사가 한창이다. 이 다리는 안양7동 옛 동화약품 안양공장 부지에 신축중인 매머드급 지식산업센터 ‘안양 아이에스비즈타워 센트럴’ 과 경수산업도로(1번구도)를 연결하는 것으로 안양교도소에서 안양천으로 이어지는 호계천 복개구간과 연결된다.

[20210416]군포시, 수리산 활용을 극대화 특화프로젝트 추진

군포시는 수리산의 생태환경을 매개로 역사·문화와 주민들의 삶을 연계시켜 도시 가치를 향상하기 위한 수리산 특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수리산 활용 개념을 기존의 등산과 녹지 이용, 자연환경 보존에서 도시 가치와 시민들의 삶 전반으로 확대시키는 것으로 한대희 시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한대희 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군포를 둘러싸고 있는 수리산은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수리산 활용 범위에는 끝이 없다. 수리산 활용을 한정적으로 접근하지 말고 역사와 문화, 복지, 예술, 청소년 활동 등과 연계하는 등 도시 전체와 시민들의 삶 전반으로 확대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군포시는 이에 따라 수리산을 매개로 생태·문화·관광·보건·교육 등 시민들의 삶과 관련한 모든 분야에 걸친 다양..

[옛사진]안양유치원 제6회 졸업 앨범(1964)

2021.04.15/ 기록 #역사 #기억 #추억 #졸업앨범 #안양유치원 #sine1964/ 안양유치원 6회 졸업생 어린이들. 1957-58년생으로 2021년 현재 63-64세가 되었을 어르신들의 유년시절 모습이 담겨있습니다. 안양유치원 이야기 1964년 2월 졸업(6회)한 앨범의 페이지를 넘기다보니 유년시절의 제 얼굴도 있네요. 안양유치원은 천주교 안양성당(현중앙성당) 부설로 1956년에 개원한 안양 최초의 보육시설이지요. 초창기에는 신부님, 이후에는 수녀님이 원장을 맡았지요. 당시는 시흥군 관내 국민학교들이 안양국민학교에 모여 초등학교 연합체육대회를 개최했는데 안양유치원이 초청 받아 참여했고, KBS텔레비젼 출연을 위해 남산 사옥을 방문했던 생각도 나네요. 안양유치원은 현재 중앙성당안에 있지만 예전에는..

[20210414]강득구의원, 안양역앞 흉물 24년 장기방치 그동안 뭐했냐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안양만안) 국회의원이 14일 오전 10시 안양역앞 장기방치건축물 ‘원스퀘어’ 빌딩 정상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지역위원회, 안양 만안구 지역 시·도의원, 원스퀘어 빌딩 범시민 TF팀 등 20여명이 함께했다. 이날 기자회견을 주관한 강득구 의원은 "사유재산이라는 이유로 지난 24년간 방치돼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원스퀘어 빌딩의 조속한 정상화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원스퀘어 빌딩(구 현대코아 빌딩)은 연면적 3만8천400㎡에 지하 8층~지상 12층 규모의 장기방치 건축물로 지난 1996년 대규모 쇼핑센터를 조성할 목적으로 착공했지만, IMF 여파로 시행사가 부도나면서 67%의 공정이 진행된 상황에서 외부골조만 마무리된 채 1998년 공사가 중단된 이후 ..

[20210414]안양시에 국내 1호 공공전세주택 들어섰다

안양시에 국내 1호 공공전세주택이 들어섰다. 보증금 2억5000만원 이하, 최대 6년간 살 수 있는 공공전세주택은 전 세대가 방 3개 이상으로 구성됐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과 관련해 올해 처음으로 공급하는 '공공전세주택'을 14일 공개했다. 공공전세주택은 정부가 작년 11월 19일 발표한 '서민·중산층 주거 안정 지원방안'의 핵심으로, 공공이 처음으로 도입한 유형의 임대주택으로 LH 등 공공사업자가 다세대·다가구 신축주택을 매입해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전세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이날 LH가 공개한 공공전세주택은 안양역과 명학역 중간쯤의 만안로(옛 1번국도.구도로)에 위치해 있으며 주소지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현충로 12(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3..

[옛사진]1960년대 구세군 안양교회 사람들

2021.04.14/ #기록 #기억 #옛날사진 #구세군안양영문 #sine1959-1963 #안양5동/ 연말이 되면 자선남비로 잘 알려진 구세군은 1865년 영국 런던에서 윌리엄 부스 목사에 의해 세워진 기독교의 한 교파다. '기독교선교회'란 이름으로 처음 활동을 시작했으나 이내 교단 명칭을 '세상을 구원하는 군대'란 뜻의 구세군으로 바꾸고 군대식 조직을 갖췄다. 실제 구세군에서는 군복, 군기, 계급 등 군대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1960년대 초 안양5동에 둥지를 튼 구세군 안양교회는 생활이 궁핍했던 시절 1962년 안양급식소를 신설하는등 자선사업과 사회복지 등 다양한 선교 활동으로 교우들이 많았으며 1978년 12월 24일 성탄절에 안양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구세군냄비 모금활동을 펼쳤다. 구세군안양교회 03..

[202104013]안양시민사회단체, 공직자 부동산투기 전수조사 촉구

안양 정당시민사회단체 등이 시의원 등의 선출직을 포함한 안양시 전체 공직자에 대한 부동산 투기 여부 전수조사를 안양시에 촉구했다. 더불어 거래가를 상승시키기 위한 담합행위와 무허가 부동산에 대한 전수조사도 요구했다. 이들은 13일 오전 안양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수조사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최근 한 안양시의원이 역세권 땅 투기 의혹으로 경찰조사를 받고 있고, 다수의 안양시의원, 전 안양시 공무원이 조직적으로 부동산 투기를 일삼았다는 의혹도 있어 시민으로서 무척 부끄럽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집값 상승 등으로 인해 안양시 인구가 매년 1만 명씩 감소하고 있고, 주거비용 상승으로 안양시에서 살기 어렵다는 고백이 이어지는 마당에, 모범이 돼야 할 시의회가 투기 의혹에 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