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72

[20250222]1912년 시흥(始興) 지도속 과천.안양.군포

2025.02.22/ #지도 #기록 #아카이브 #since1918/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시흥(始興) 지도속 과천안양군포 지형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획대 보기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p_view.do?scale=50_2&doc_id=J040-016-003&seq=42934&pcnt=37과천군포안양지역 자세히 살펴보기:https://anyangbank.tistory.com/9912 시흥(始興)경성 4측도연도 1910 제판연도 1912 J040-016-003 1:50,000 2차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20250222]1918년 京城 지도속 안양천 표기와 물줄기 지형

2025.02.22/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경성지도속 안양천 표기와 물줄기.경성(京城 제판연도 1918 J040-001-00 1:200,000 2025.02.22/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since1918/ 조선총독부 시절인 1918년에 제작한 경성 지도속 안양천 표기와 물줄기.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안양천 지형 자세히 살펴보기:https://anyangbank.tistory.com/9912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지형도는 3차에 걸쳐 제작된 1:50,000의 수량이 가장 많다.1차 지형도는 일본 육군참모본부가 1894~1906년 ..

[20250221]안양 사랑의집 방문한 김대중 총재와 이희호 여사

2025.02.21/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사랑의선교수녀원 #since1990 안양 사랑의선교수녀원에서 운영하던 양로원 사랑의 집을 빙문한 김대중 총재와 이희호 여사 사진으로 전국박물관장품 검색을 하던중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에 있는 기록물을 찾아내다. 안타깝게도 기록에 촬영일자가 없는데 1990년 4월20일로 추정된다.츨처: https://www.emuseum.go.kr/main(안양+김대중+이희호 검색) 사랑의집은 빈자의 성녀’로 불리는 테레사 수녀(‘마더 테레사’·1910∼1997)가 창설한 사랑의선교수녀회가 운영한 양로워으로 수녀회와 함께 안양2동에 있었다.마더데레사 수녀는 1981년.5.3. 1982년.4.28.,1985년 1.26 등 한국을 방문했으며 1985년애는 안양 사랑의선교..

[20250219]1925년 일본군이 지나가는 안양역 앞 풍경

2025.02.19/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일제강점기 #일본군 #안양 #since1925/ 1925년 일본군이 지나가는 안양역앞 풍경. 국립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소장한 엽서에 안쇄된 사진으로 일본력 대정13년(1925년) 어느날 일본군 제20사단 병력이 추계연습차 경성(서울)에서 군포장 인근으로 가기위해 안양역 앞 통과하는 모습이다. 사진 좌측 뒷쪽의 높다란 2그루 나무를 볼때 민속학자인 석남 송석하 선생이 1934년 2월 20일 촬영한 안양역 앞에 있던 미륵당과 안양음식점 사진속 현장으로 보여 안양역이 사진 좌측 초가집 뒤에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원본: 해상도 3576 * 2500명칭: 大正十三年第二十師團秋季演習, 步七九安養驛前通過국적/시대일본 - 근대분류..

[20250219]1970년대 초 시흥군 안양읍내 원도심 풍경

025.02.19/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항공사진 #안양/명칭: 시흥새마을화보소장: 시흥오이도박물관원본 해상도 6254 * 4170크기: 가로 18.9cm, 세로 26.3cm분류: 소장품번호구입 105 1970년대 초반 안양 중앙로 안양6동 현 은혜와 진리교회 사거리 정도 하늘에서 석수동 방향으로 찍은 항공사진으로 시흥군이 발행한 시흥새마을화보> 표지에 실린 사진이다. 사진 윗쪽이 석수동삼거리 방향이며 아랫쪽이 구 경찰서사거리 방향이다. 사진 중앙의 황토빛 비포장도로가 중앙로이며 사진 중간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황토색 흙길 주변은 교하동(현 안양5동)으로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 위로 안양초등학교가 있다. 비포장도로는 비산동(현 비산대교)으로 가는 방향이다. 비포장 도로 위로 버스들이 주차된 모습..

[20260217]안양면 표기 1940년대 발행 추정 경기도전도

2025.02.17/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역사 #since1941 #안양권지도 #시흥군 #안양면/ 년도 미상의 경기도관내도. 행정구역 안양이 안양면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볼때 1941년 이후 발행된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1914년 4월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시흥군에 속하게 되면서 과천군에 숙해있던 서이면 역시 시흥군 관할이 되었다.1917년 상서면과 하서면을 합하여 서이면으로 통합하면서 호계동에 있던 서이면사무소가 안양역 인근 안양1동 지금의 자리로 이전한다. 1941년 10월에는 서이면이 안양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안양면사무소로 이름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20250217]1930년 경기도관내도 속 <시흥군> 행정구역

2025.02.17/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시흥군/ 1930년대 경기도관내도 지도속 시흥군 행정구역.행정구역상 아주 거대했던 시흥군의 역사를 보면 1910년 시흥동에 있던 시흥군청(始興郡廳)이 지금은 영등포동이 된 영등포리(永登浦里)로 이전한다.1914년에는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이 실시되는데 시흥군, 과천군, 안산군을 합쳐 거대 규모의 통합 시흥군을 만든다. 이때 과천현에 속하던 서울 동작구, 서울 관악구 사당동, 남현동, 서초구와 과천시, 군포시랑 안양시 대부분과 안산이었던 정왕, 군자지구가 시흥군에 편입(통합)된다.1946년에 서울 영등포역 주변이 경성부로 편입되면서 영등포에 있던 시흥군청이 1947년 안양면으로 이전되면서 안양은 시흥군의 새로운 중심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