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97

[20250416]수도권개발제한구역도(1972년) 안양읍 주변

2025.04.16/ #아키이블 #옛지도 #기록 #그린벨트 #since1972/ 안양읍 당시인 1972년 발행된 수도권 개발제한구역도. 읍에서 시로 승격(1973년 7월1일자) 하기전임에도 지도에는 안양시로 표기돼 있다 시 승격 당시의 안양은 경부선 철도 아래로 안양천이 흐르고 지역특산물인 포도가 알알이 익어가는 인구 11만여 명의 작은 도시로 대부분의 관공서가 현재의 안양1번가(당시 중앙동 현 안양1동)에 자리하고 있었다.인구수 변화를 살펴보면 1941년 10월 1일 시흥군 서이면이 안양면으로 개칭되었던 당시의 인구는 10,000명, 1949년 8월 15일 안양읍 승격 당시에는 20,021명, 1973년 7월 1일 안양시 승격 당시에는 111,075명에 불과했으며 2025년(4월 1일 기) 현재 인구수..

[20250416]1930년 의왕면과 수원군 경기도 관내도 보기

2025.04.16./ #아카이브 #옛지도 #수원군관내도 #since1930/ 발행년도 : 1930명칭 경기도 수원군 군세일반(京畿道 水原郡 郡勢一斑)원본 해상도 5447 * 3631재질종이 - 양지크기가로 10.9 ; 53.9(펼침)cm, 세로 20.9 ; 40.6(펼침)cm 수원군 관내도상 예하 면단위 구분 지도로 주요 관공서 및 기관들을 표기하고 주요지간 이정거리도표가 있으며 수원군의 연혁 교통 사회 산업 상업 현황과 주요 관공서 현황이 있다

[20250414]의왕 백운호수 호반상회와 양철문(1977년)

2025.04.14/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의왕 #점빵 #since1977/ 사진출처:의왕문화원 홈피에서/ 의왕 백운호수변에 있던 가게. 점방이란 불리우던 호반상회다. 가게 문은 요즘 찾기도 보기도 힘든 양철문이다. 이 문은 닫기가 쉽지 않았다. 미닫이지만 여러 문들이 짝을 이루고 있고, 순서대로 끼워 넣지 않으면 엉켜버리기 때문이다. 순서를 어기면, 문을 빼내 처음부터 다시 끼워야 한다. 가게문을 닫을때 하나씩 밀어넣었는데 순서 바뀔까봐 1, 2, 3, 4 숫자를 문마다 적었다.

[20250327]1960~70년대 안양유원지에 있던 보트장

2025.03.27./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안양유원지 #1970년대/ 사진속 풍경은 1970년대 안양유원지에 있던 보트장으로 셀수스햡종조합에서 기증한 공유 기록물이다.(출처: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298661&menuNo=200018 ) 사진속 장소는  현재의 안양 파빌리온 앞 계곡으로 사진 가운데 뒤로 보이는 흰색 건물이 안양관광호텔( 현 블루몬테)이다.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호수같이 물 많고 아름답던 곳은 1977년 안양대홍수 당시 산위에서 집채만한 바위들이 쏟아지는 등 처참하게 파괴되고 말았다.1960-70년대 운영되어 온 안양유원지 보트장은 한여름 피서철뿐 아니라 여름이 끝나고 물놀이를 못하게 되..

[20250326]110년전 의왕 하우현 성당과 청계 교우촌 사람들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국외재단’)은 2024년 8월 12일 오후 2시 성 베네딕도회 서울수도원 피정의 집에서 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아카이브 소장 한국사진 조사 성과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아카이브 소장 한국사진중에는 의왕 하우현 성당과 청계리 사람들의 삶을 담은 100년전 모습이 많이 담겨있어 이를 소개한다. 하우현성당은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청계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경기도 안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복음이 선포됐던 이곳은 1801년 신유박해 때부터 교우들이 숨어 살며 신앙생활을 지켜오던 유서 깊은 교우촌이다. 성 볼리외 신부와 복자 한덕운(토마스)·하느님의 종 서태순(아우구스티노)·이조이(요셉)·순교자 김준원(아니체도) 등이 이곳에서 생활했다. 신..

[20250324]1872년 군포와 안양에서 '場'(장)이 열렸다

1872년 지방지도중 과천지도(果川地圖) 1800년대 군포와 안양에서 장이 열린듯 1872년  지방지도 편 지도에 軍浦場과 安養場이 명기돼 있다.흥선대원군(1820~1898)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전국 군현과 군사기지(진보와 수영 및 병영), 역참 등의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올릴 것을 명령하였다. 이에 1872년 과천현에서 직접 그려 올린 [과천지도]를 보면 [해동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았던 안양장(安養場)과 군포장(軍浦場)이 표시되어 있다. 당시 군포장은 과천현 관내이며 안양장은 금천현 관내였다. 그런데 그 표시 방법이 특이하다. 두 개의 장을 만안교에서 왼쪽 아래(남쪽)의 삼남대로와 연결된 도로가 관통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 것이다.   『안양시 지명유래』등 역사적 기록을 들여다보면 군포장(軍浦場..

[20250321]원태우지사 의거 기사 공립신보 '投石被捉'(1906.07.30)

2025.03.21./ #아카이브 #옛신문 #공립신보 #대한제국 #원태우지사 #이등박문 #이만여 신문명 공립신보 기사제목 投石被捉 기사형식 일반기사 발행년월일 1906년 07월 30일색인어이름 : 이등박문(통감), 이만여지명 : 경기도 안양주제분류정치,행정 > 정치,행정,외교(대한제국기) > 통감부 > 통감민족해방운동,대중운동 > * 무장,의열투쟁 > 무장의열투쟁 > 암살처단 공립신보 1906년 07월 30일자에 실린 원태우지사의 이등박문을 향한 돌 투석 항일운동 사건 기사로 기사 제목이 投石被捉(투석피착)이다. "投石被捉"는 한자로 "돌을 던졌다가 붙잡히다"라는 뜻이다. "투석(投石)"은 돌을 던지는 행동을 의미하고, "피착(被捉)"은 붙잡히거나 잡히는 상황을 뜻한다. 이 표현은 어떤 행동이 결과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