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73

[20240124]안양 고려청자 가마터 발견 대서특필(1987.10.13)

2024.01.25/ #아카이브 #기록 #옛신문 #안양 #고려창자 #가마터 #관악산/ 1987년 10월 13일자 신문과 방송을 통해 대서특필되었던 안양 관악산(서을대수목원 끝자락 안양 비산동도요지)에서의 고려청자 가마터 발견 기사. 당시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등 신문과 MBC-TV 등에 보도되고 이후 대한뉴스를 통해서도 방영되었다. 안양시비산동도요지 (安養市飛山洞陶窯址) 대한민국 경기도의 기념물 제124호로 지정(1991년 4월 12일)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3-1번지 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안양 비산동 도요지(安養 飛山洞 陶窯址)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서울 농대 수목원 안에 있는 11∼14세기에 걸쳐 오랜 시간동안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도요지이다. 199..

[20240124]의왕에 있는 한국나병연구원과 오전리(1976년)

2024.01.24/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의왕 #한국나병연구원 #since1976/ 성라자로마을 입구인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오전리 산87)에 세워진 한국나병연구원의 초창기 모습이다. 한국나병연구원은 1928년 4월 6일 조선나병근절책 연구회 발족을 시작으로 그 첫발을 내딛은 사단법인 대한나협회를 모태로 하여 1976년 6월 22일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한센병에 대한 완전한 퇴치와 한센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진료 및 연구를 확충하기 위해 만들어진 본 연구소는 신환자 조기 발견과 한센인에 대한 양질의 전문의료서비스, 한센병 진단 및 최신 치료방법 개발 등을 주 임무로 하고 있으며, 1982년 4월 1일에는 대한나협회로 흡수 통합되어 한센인에 대한 보다 전인적인 보건복지의료서비스를 제공하..

[20240122]의왕 고천공립심상소학교 조회광경(1939.03)

2024.01.22./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의왕 since1939/ 일제강점기 당시 고천공립심상소학교(현 고천초등학교) 조회광경으로 이 사진은 의왕문화원 발행한 [고천동.오전동 사진으로 기륵하다] 15페이지에 실린 기록이다. 고천공립심상소학교(현 고천초등학교)는 의왕 최초의 공립학교로 일제강점기 의왕지역 초등 교육기관 가운데 유일한 정규학교였다. 1930년대에 들어와 조선총독부는 ‘일면일교제(一面一校制)' 정책을 펼쳤다. 의왕면 주민들은 1935년부터 공립보통학교를 설치하고자 보통학교 기성회를 조직하 고 기부금을 모집하였다. 기성회의 요청에 따라 조선총독부(경기도)는 1936년 10월 30일자로 고천공립보통학교 설립을 인가했다. 1936년 11월 15일 개교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12월 ..

[20240120]육영수여사, 성라자로마을 예수상 제막(1971)

2024.01.18/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71/ 의왕에 자리한 성라자로마을에서 1971년 7월23일에 있었던 예수상 제막식으로 육영수여사가 노기남 대주교와 함께 제막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육영수 여사는 성라자로마을의 정결의 집 건축비를 지원하는 는 등 큰 후원자였다. ‘정결의 집’은 70년대 초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건물이다. 이 집은 육영수 여사가 보낸 성금 450만 원으로 지어졌다. 육 여사는 성 라자로 마을 환우들이 이발과 목욕 한 번 제대로 해보는 게 소원이라는 신문 기사를 읽고 건축비를 지원했다고 한다. 단층(건평 12평)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이경재 신부가 제7대 원장으로 재 부임하여 지은 첫 현대식 건물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정결의집’은 ..

[20240119]성라자로마을 의무부 라자니신부와 아이들(1950년대)

2024.01.18/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50/ 의왕에 자리한 성라자로마을의 10950년대 사진으로 의무부 라자니 신부님과 아이들 모습이 담겨있다. 성 라자로마을은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원골로 66)에 위치한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으로 1950년 6월 2일에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서울 근교의 유랑 나환자들에 대한 구호 및 의료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메리놀외방전교회 소속의 캐롤(Carroll,G.) 주교가 1950년 6월 부천군 오류동에 성라자로원을 개원하였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그 활동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으로 약 8,000명에 달하던 나환자들이 수용소에서 풀려나 극도의 빈곤과 질병에 버려지자, 캐롤 주교는 1951년 경기도 화성군 ..

[20240117]의왕 성라자로마을 입구 아치 조형물(1971년)

2024.01.1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71/ 1번국도변애 세워졌전 성라자로마을을 상징하는 삼각 아치형 조형물. 이 조형물은 1971년 7월 23일 세워졌으며 문 옆에는 역시 김세중 교수가 조각한 ‘새삶의 예수상’이 있다. 처음에는 서울-수원간 1번국도(경수산업도로) 입구에 세워져 버스를 지나다 조형물을 보면 성라자로마을 임을 알수 있었다. 지금은 삼각형 아치와 조형물이 약 500여 미터 안쪽인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사진 왼쪽 뒤로 보이는 산이 모락산이다. 정문의 조형물을 지나 성라자로마을까지 좌우는 1970년대 야산과 밭이다. 좌측 산자락 밑에 고천국민학교(현 고천초교) 오전분교가 있어 나환자 자녀들이 다녔다. 1980년에는 라자로마을 가는길 주변에 양계..

[20240115]1951년 무렵 성 라자로마을 나환자 요양원 숙소

2024.01.1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51/ 1951-52년 무렵 나환자들이 거주했던 성라자로마을 요양원 숙소. 성 라자로마을은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원골로 66)에 위치한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으로 1950년 6월 2일에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서울 근교의 유랑 나환자들에 대한 구호 및 의료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메리놀외방전교회 소속의 캐롤(Carroll,G.) 주교가 1950년 6월 부천군 오류동에 성라자로원을 개원하였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그 활동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으로 약 8,000명에 달하던 나환자들이 수용소에서 풀려나 극도의 빈곤과 질병에 버려지자, 캐롤 주교는 1951년 경기도 화성군 일왕면 오금리 산 87(현 의왕 ..

[20240115]1951년 무렵 성 라자로마을 성당과 종탑

2024.01.15/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성라자로마을 #의왕 #since1950/ 1950년대 성 라자로마을 초창기 성당과 종탑. 성 라자로마을은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원골로 66)에 위치한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 기관으로 1950년 6월 2일에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서울 근교의 유랑 나환자들에 대한 구호 및 의료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메리놀외방전교회 소속의 캐롤(Carroll,G.) 주교가 1950년 6월 부천군 오류동에 성라자로원을 개원하였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그 활동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으로 약 8,000명에 달하던 나환자들이 수용소에서 풀려나 극도의 빈곤과 질병에 버려지자, 캐롤 주교는 1951년 경기도 화성군 일왕면 오금리 산 87(현 의왕 내손동)에 20만평의..

[20240115]안양화약고 발화(1946.04.21 동아일보)

2024.01.10./ #아카이브 #옛신문 #기록 #역사 #동아일보 #since1946/ 동아일보 1946,04,21일자 기사. 안양화약고 19일 발화 “19일 정오경 안양에 잇는 전군용지 산에서 돌연 큰불이 났는데 이는 전에 일인들이 산에저정했든 폭발화약을 폭발 식혀 업새다가 불덩어리가 나무에 연소된 것이다 불은 곧 진화되었스나, 산에는 아직도 폭발물이 남어있는만큼 금후 안전한대책을 마련하여 주기를 일반주민들은 바라고 있다.“ 옛 어르신들의 구술과 기록을 보면 일제는 박달군용지에 1941년경 일본군 평양육군병기창 안양분창을 건살해 탄약고를 비롯 각좉 군수물자르 저장했디.일본 패망후 군용지 시설을 접수한 미군이 탄약고를 폭발시켜 저정된 포탄을 없앴다. 하지만 엣 신문들을 보면 미군의 탄약고 폭팔 이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