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자료 433

[20230609]문화예술도시로의 안양, 길찾기 토론회 자료(PDF파일)

지난 7일 오후2시 안양아트센터 컨벤션홀에서 개최한 예술도시로의 안양, 새로운 길 찾기’ 토론회 자료집(PDF파일)이다 이날 토론회는 문화예술도시 안양의 위상을 찾기 위한 진단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강득구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이 마련했다. 토론회에는 강득구 국회의원을 비롯 최병일 안양시의장과 시의원들, 안양문화예술재단 박인옥 대표, 천진철 경기예총 회장, 이재옥 안양예총 회장, 안양시 관련 부서 공무원, 안양시 청년 예술인과 문화예술에 관심있는 안양시민 등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의 첫 번째 발제는 안양문화예술재단 강주희 차장이 ‘예술인과 상생하는 문화예술 지원 방향’을 주제로, 두 번째로는 한국예총 안양지회 이재옥 회장이 ‘안양시 문화예술 정책 진단 및 향후 과제’ 를 중심으로 발표했다. 이어지..

[20230601]굴뚝도시 안양의 기억 전시자료집(PDF파일)

2017년 9월 28일 안양박물과 개관에 맞추어 개최한 특별전 전 자료집이다, 안양박물관은 2017년 퍙촌아토홀에 있던 밗물관을 안양예술공원으로의 이전 개관을 기념하기 위하여 시민참여박물관 「안양랩소디 : 1970-80 굴뚝도시 안양의 기억」展을 개최했다. 이를 위해 지역민, 학교, 공공기관,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굴뚝도시 안양의 기억이 담긴 사진과 영상,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16명의 시민, 10개 기업, 16개 기관이 소장한 총 900여점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엄선된 자료 550점을 전시하였다. 1부 전시 〈굴뚝도시 안양〉에서는 과거 또는 현재까지 안양에 공장을 둔 기업들의 성장사와 이를 배경으로 한 도시의 변모를 살펴보았다. 이어지는 2부 전시 〈안양의 밑천, 안양사..

[20230601]닐 미샬로프 특별사진전 도록(PDF파일)

안양시가 2005년 8월22일 발간한 60년대 안양의 옛 생활상과 모습을 담은 ‘60년대 우리 안양의 옛모습 사진집’ PDF파일이다.이 사진집에는 1968-1969년 안양 석수동 미군부대에 근무했던 미군병사 닐 미샬로프씨(Neil Mishalov·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가 복무시절에 틈틈이 찍어 보관해 오던 사진들이 담겨있다.이 사진들은 1960년대 당시의 생생한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으며 역사적인 보존가치가 큰 안양시가지(항공사진), 초가 지붕의 정육점, 빨래하는 아이들 등 안양의 발자취와 발전상을 담고 있는 103점이다.안양시는 지난 2003년 10월 시승격 30주년 시민축제를 맞아 닐 미샬로프씨에게 60년대 우리들의 생생한 생활상과 모습을 되돌아 보는 기회가 될 사진전시회를 열고 싶다는 뜻을 전했..

[202300526]사라지는 군포 공장들 아카이빙 "당정동공업지역"

2023.05.26./ #아카이브 #책자 #기록 #당정동공업지역/ 군포시청 홍보실로부터 한권의 책을 받았다. 아카이빙자료집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책자 “당정동공업지역”은 비그리운드아키텍츠의 건축사 윤경숙 소장(차주협.김다은)이 펴낸 책으로 1부 당정동공업지역의 성장, 2부 당정동 공장이야기, 3부 공장사람들을 기록했다. 여는글 아기가 태어나 성인이 되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이치처럼 도시 또한 탄생과 성장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거칩니다. 현재 군포시 당정동에 자리한 공업지역은 군포시가 생기기 이전인 1960년대 이전부터 서서히 싹트기 시작하여1970~1980년대 나라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안양천과 철길 사이 논밭이 펼쳐졌던 자리에 하나둘 공장들이 들어서며, 어느..

[202300526]사라지는 군포 공장들 아카이빙 "당정동공업지역"

2023.05.26./ #아카이브 #책자 #기록 #당정동공업지역/ 군포시청 홍보실로부터 한권의 책을 받았다. 아카이빙자료집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책자 “당정동공업지역”은 비그리운드아키텍츠의 건축사 윤경숙 소장(차주협.김다은)이 펴낸 책으로 1부 당정동공업지역의 성장, 2부 당정동 공장이야기, 3부 공장사람들을 기록했다. 여는글 아기가 태어나 성인이 되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이치처럼 도시 또한 탄생과 성장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거칩니다. 현재 군포시 당정동에 자리한 공업지역은 군포시가 생기기 이전인 1960년대 이전부터 서서히 싹트기 시작하여1970~1980년대 나라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안양천과 철길 사이 논밭이 펼쳐졌던 자리에 하나둘 공장들이 들어서며, 어느..

[20230526]2040년 안양도시기본계획 요약(PDF파일)

최종 승인 받은 2040년 안양도시기본계획 요약본. 전체 보고서는 안양시 홈페이지 분야별정보 - 도시/건축/부동산 - 도시계획 - 도시기본계획에서 확인할수 있다. https://www.anyang.go.kr/main/contents.do?key=427 안양시가 신청한 ‘2040년 안양 도시기본계획(안)’을 경기도가 최종 승인했다. ‘2040년 안양 도시기본계획’은 안양시의 미래와 도시의 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법정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지속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정책·전략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도시발전 청사진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2040년 목표 계획인구는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60만 명(현재 약 55만 명)으로 설정했다. 또한 목표 연도 토지 수요를 추정해 안양시 전체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