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지역얘기/담론

[최병렬]정조대왕 축조 만안교를 이전한 아쉬움(2023.01.27)

안양똑딱이 2023. 8. 17. 18:39

 
안양문화원이 발행한 안양문화 제3(19841231일 발행)에 실린 만안교 옛 다리 모습이다.

 

사진은 현재 삼성천으로 1980년 이전 복원하기전인 1970년대 중후반에 찍은 것으로 보인다. 원래 있었던 다리 사진을 보면 아래 교각 대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다. 광복후에 국도1호선에 포장을 실시하면서 다리위에 콜타르를 부어 이스파트길로 만들고 다리위에 큰크리트 난간도 설치돼 문화재를 훼손하면서 원형에서 변형시켰음을 보여준다.

 

사진 뒤로 보이는 하얀 건물은 대륙석면(한국슬레트) 고무공장으로 현재의 영화아파트가 들어선 자리다. 사진 오른쪽으로 교통 신호등이 보이는 지점은 안양유원지 들어가던 도로와 우측으로 안양시내 방향이 만나는 교차로로 당시 안양유원지쪼으로 땡댕댕 건널목(지금은 지하차도)이 있었다.

 

만안교는 본래 1번국도로 정조대왕때 개통한 시흥로(현 만안로)에 놓여진 석조교로 만안로와 안양유원지 길이 서로 만나는 +자 교차로에서 북쪽으로 약 20m 지점에 있었다. 그러나 구 한말인1904년 무렵 일제가 경부선 철도길을 부설하면서 안양천을 남쪽으로 우회한 후부터 물길이 바뀌면서 다리로서 의 효용가치는 상실되어, 다리의 위와 아래지역에 공장과 민가가 들어섰는가 하면 한 때는 다리 밑은 넝마주이 등의 안식처(?)이기도 했다.

 

다리 이전(1880)을 앞두고 보도한 당시 신문(중앙일보 1979.01.27일자)"도시계획으로 자리 옮기는 안양 효성의 다리』…만안교" 기사를 보면 경기도가 이 다리를 옮기기로 한것은 교통량증가로 원형보존이 어렵고 다리밑 하천(안양천)일대가 침수지역이며 도로확장으로 이전이 불가피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만안교의 새자리는 이곳에서 2m떨어진 삼막천으로 구국도인 만안로에서 석수동을 이어 삼성주택 진입로와 닿는다. 경기도는 85백만원을 들여 10월안에 공사를 끝낼 계획이다고 기록돼 있다.

 

풀리지 않는 의문은 만안교 아래 하천이 있었을텐데 안양천과 삼막천 둘중 어느것일까 또 물길은 왜 바뀌었을까. 만안교는 하천을 건너기 위해 놓여졌을텐데, 현재의 안양천 그리고 삼막천 물줄기와 맞지를 않는다는 점이다. 아마도 일제강점기 당시 경부선 철도를 놓으면서 천변에 뚝을 쌓고 철교를 놓으면서 안양천 물줄기를 돌린 것으로 추측되는데 일부 연구자는 안양천이 아니라 삼막천이었을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으나 근거 자료가 없다..

 

만안교 아래로 흘렀던 물줄기가 안양천 또는삼막천인지. 정확히 언제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옛기록을 찾아 연구해야할 과제로 보인다.

 

정조 대왕때 실시한 이 다리 축조공사에는 당시 경기관찰사, 병마수군절도사, 수원·개성·강화유수까지 동원됐다는 비문으로 보아 큰 공사였음을 알수 있다.

 

만안교의 특징은 다리 밑부분이 자갈과 돌·모래로 묻혔고 홍예(홍예·무지개처럼 둥근모양)는 하단부터 곡선을 그려 전체모양이 반월형을 이룬다. 축조방법은 정교하게 다듬은 긴돌(장대석)을 종으로 총총이 밀집시켜 무지개모양을 만들었고 등글게 테를 이룬 7(만안교 비문에는 5개로 오기)의 수문을 축조했다.

 

수문사이에는 장방석(장방석)을 배열했고 다리위에도 긴돌을 깔아 평면을 이루도록하여 전체적으로 우아함을 간직한것은 물론 교랑의 공법 또한 학술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정조의 능행차시에는 왕의 숙박과 휴식을 위해 '행궁'(주필소)을 짓기도 했다. 현재의 안양역 인근인 안양1번가 골목길에도 안양행궁이 있었다. 정조는 1800628일 유시(오후5-7) 오랫동안 앓던 피부병이 심해져 창경궁 영춘헌에서 승하하게 된다. 정조가 승하한 이후 안양주필소는 1868년 헐리도 만다. 이 자리에는 아주 자그만한 표지석만이 놓여져 있다. 따라서 오늘날 안양에 남은 원행의 흔적은 사실상 만안교가 유일하다 할 수 있다.

 

만안교는 1973710일에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관리되어 오다가 1980년 도시화로 현재의 위치인 석수2270으로 복원, 이전하였으나 몇가지 아쉬움이 남는다. 첫째, 문화재는 본래의 자리에 있어야 하고 아울러 원형보존이어야 한다는 것인데, 만안교의 가설은 남·북을 연계하여 서울과 안양은 물론 서울과 삼남지방간의 원활한 교통수송의 일익을 담당해 안양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만큼 중요한 문화재인데,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면서부터 이상의 기능은 상실하고, 다만 석수2·3동 주민들이 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구실밖에 되지 못할 만큼 국소화 되고 말았다. 두번째는, 만안교는 역사적으로 옛 과천군과 시흥군(금천)의 군계여서 경계교 역할도 함께 수행했으나 이전된 자리는 옛 시흥군 영역의 보도로 이용되는 외에는 역사성 등의 당위성이 결여되어 있다.

 

다리를 원래의 자리에 그대로 두고 도로를 옆으로 우회했더라면 만안교는 지금쯤 국가지정문화재인 국보로 지정되지 않았을까 두고두고 아쉬운 사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