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3]안양역앞 원스퀘어 철거로 광장 시야가 뻥 트였다 2023.04.03/ #도시기룩 #안양 #원스퀘어 #구현대코아 #철거/ 안양역 앞 오랜 시간 방치된 건축물 원스퀘어(구 현대코아)가 완전히 철거돼 안양역 광장의 시야가 뻥 트였다.. IMF부도로 공사가 중단된 채 24년간 방치됐던 원스퀘어는 2022년 10월 해체공사를 시작해 순조롭게 작업이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안양역 앞 도심 환경이 새롭게 정비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3.04.04
[20230403]안양세무서 뒷쪽 뜨락에 있는 할미꽃 군락지 2023.04.03/ #도시기록 #꽃 #할미꽃 #안양세무서 #봄봄봄/ 꽃 뒤로 줄기가 길게 뻗어, 그 모습이 백발의 노인처럼 보여서 할미꽃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햇볕이 잘 드는 초원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야생초이지만, 지금은 보기가 쉽지 않다. 안양세무소 뒷쪽 뜨락에 군락지가 있다. 배수가 잘 되는 흙에 심고, 햇빛을 충분이 받게 한다. 씨로 쉽게 번식시킬 수 있다. 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3.04.04
[20230403]안양 도심속 옛 국립검역원 정원 벚꽃 숲 2023.04.02/ #도시기록 #벚꽃맛집 #안양6동 #옛검역원/ 안양 도심속 벚꽃 감상 명소. 가장 만개한날, 다음날부터 푸른 잎사귀 나기 시작. 예년에는 벚꽃 만개해도 3-5일은 갔는데 금년에는 이틀도 못감. 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3.04.04
[20230403]안양박물관 외벽 조각품 보수공사로 새옷 갈아입었다 2023.04.04./ #도시기록 #조각품 #김종배 #안양예술공원 #엣유유공장 #안양박물관 #모자상 #파이오니상/ 안양박물관 건물(엣 유유제약 생산동건물) 모서리 양쪽에 설치된 김종배 작가의 조각 작품들이 보수공사를 통해 때 빼고 광내고 예쁜 새옷으로 갈아 입었다. 1961년 김중업건축가의 설계로 유유산업(유유제약)을 신축할 당시 생산동(현 안양박물관) 북서쪽과 남서쪽 양 모서리에 조각 작품 한점씩이 각각 설치되었다. 두 작품은 우리나라 조각미술의 선구자격인 박종배선생의 젊은 시절 작품으로 복쪽에는 모자상, 남쪽에는 남성 파이오니상이 설치됐다. 박종배작가는 국전에서 조각작품으로 처음 국무총리상과 대통령상을 수상한 후, 대한민국 조각미술을 대표했던 분이다. 1961년 설치됐던 조각 작품은 시간이 지나면서 .. 안양지역뉴스/안양 2023.04.04
[20230403]안양예술공원에서 저물어가는 해를 보다 2023.04.03/ #도시기록 #안양 #해넘이 #실루엣/ 해가 저무는 시각, 안양예술공원에서 나무 사이로 보이는 해와 계곡 물에 비친 해를 보다. 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3.04.04
[20230403]안양6동 옛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정원의 벚꽃엔딩 2023.04.01/ #도시기록 #안양 #벚꽃엔딩 #꽃비/ 안양6동 엣 검역원 정원 벚꽃나무에서 꽃눈이 내린다. 도시영상기록/안양 2023.04.03
[20230403]안양 호원초교 벚꽃나무에서 꽃눈이 날리던 날 2023.04.01/ #도시기록 #안양 #벚꽃 #꽃비/ 안양 호원초등학교 정문 벚꽃나무에서 꽃눈이 날린다. 도시영상기록/안양 2023.04.03
[20230402]안양 학운공원에 하얀 꽃비가 내리던 날 2023.04.02/ #도시기록 #안양 #학운공원/ 안양 학운공원 산책로에 하얀 꽃비가 내립니다. 도시영상기록/안양 2023.04.03
[20230403]안양예술공원 까치골에서 딱다구리를 만나다 2023.04.03/ #도시기록 #자연 #생태 #안양예술공원 #삼성산/ 까치골 장석광산 입구에서 딱다구리를 만나다. 도시영상기록/안양 2023.04.03
[20230401]천주고 수원교구 안양 호계동성당 2023.04.01/ #도시기록 #안양 #호계동성당/ 안양기억찾기탐사대 2023년 첫 탐사인 211차 탐사날에 철거중인 LG연구소와 호계동지역을 돌아보면서 들리다. 안양 호계동지역은 교우촌이 있던 곳이다. 당시 행정구역상 경기도 시흥군 남면 금정리에 위치한 교우촌의 신자 수는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미 4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이후 1954년 안양본당(현 중앙본당)이 설립되면서 본당의 모체가 되는 군포공소가 금정리의 교우촌에 자리하게 됐다. 당시 공소에는 공소 강당이 따로 없었다. 이에 1971년 4월 당리, 금정리, 안금정리, 벌터, 호계동 공소신자들이 힘을 모아 금정리 206번지에 합동 강당을 세워 공소 강당으로 사용했다. 당시 4개 공소의 신자 수는 800여 명이었다. 공소 신자들은 함께 신.. 도시사진기록/골목풍경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