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84

[20230208]1894년 초가집 형태의 의왕 하우현본당 초창기 모습

2023.02.08./ #아카이브 #기록 #역사 #천주교 #하우현성당 #의왕/ 1894년 초가집 지붕 형태의 하우현성당 초창기 모습이다.사진출처: 한국교회사연구소 하우현본당은 왕림본당의 공소로부터 분할되어 1900년 현 시흥군 의왕읍 청계리(始興郡 儀旺邑 淸溪里), 속칭 ‘하우고개’에 프랑스인 샤플랭(Chapelain, 蔡) 신부가 초대 본당주임으로 부임하면서 설정되었다. 이곳의 처음 성당은 1893년에 교우들의 협력으로 초가 10간을 지어 공소강당으로 써온 곳인데, 샤플랭 신부가 부임하여 지은 사제관과 함께 뮈텔(Mutel, 閔德孝) 주교의 집전으로 축성식을 봉헌하였다. 이때 내빈으로 참석한 주한(駐韓) 초대 콜랭 드 플랑시(Collin de Plancy) 프랑스 공사가 기증한 종은 지금도 잘 보존되어..

[20230208]1939년경 의왕 사근행궁터와 고천심상소학교 학생들

2023.02.08/ #아카이브 #기록 #역사 #엣사진 #사근행궁/ 사진출처: 의왕시사 8편에서/ 뒷편에 한옥의 문만 남은 의왕 사근행궁터 추정사진. 1939년 고천심상소학교(현 고천초등학교) 학생들의 토끼 양육실습. 박성호님제공 사근행궁(肆覲行宮)은 정조가 현륭원 행차의 편의를 위해 서울에서 수원에서 이르는 길목에 세운 행궁 중 하나이다. 1790년에 세워진 것으로 지금의 고천동 주민센터와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한 사그내길 11 일대에 위치한다. 정조가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의 묘를 현륭원에 이장하면서 현륭원 행차의 편의를 위해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요소와 경유지마다 세운 행궁 중의 하나이다. 행궁이란, 국왕이 지방에 거둥할 때 임시로 머물던 별궁을 말한다. 1790년(정조 14)에서 1975년에 걸쳐 ..

[20230202]1980년대 안양공설운동장에서 근명여상 밴드부

2023.02.02/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근명여상밴드부 #안양 #만문누리 # 사진출처: 다음카페에서 https://cafe.daum.net/agapesgd/76nN/65?q=%EA%B7%BC%EB%AA%85%EC%97%AC%EC%83%81+%EB%B0%B4%EB%93%9C%EB%B6%80&re=1 1980년대 안양은 물론 인근 군포.의왕.광명 등에서 열렸던 왠만한 굵직굵직한 행사를 비롯 각종 행사에서 연주와 공연을 했던 근명여상 밴드부 사진으로 뒷 배경을 볼 때 1980년대 초 안양 석수동에 있던 안양공설운동장(현 럭키아파트)에서 열린 행사에 참여해 공연한 모습으로 보인다. 시흥군 시절인 1970년대 조성한 안양공설운동장은 시흥군.안양읍 시절 각종 체육대회와 행사들이 열렸으며 1977년 안영대홍..

[지도]1974서울특별시전도속에 그려진 안양시 지도

2023.02.02./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역사 #만문누리 #sine1974/ 2023년 올해는 안양시가 읍에서 시로 승격한지 50주년이 되는해로 관련 자료들을 발굴하고 있다. 지도는 1974년 개정서울툭별시전도로 지도 상단 우측에 안양시지도가 별도 표기돼 있어 시 승격 당시의 안양 모습을 볼수 있다. 지도명: 개정서울특별시전도(1974) 아카이브번호:67535 유뮬번호: 서14466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https://museum.seoul.go.kr/archive/NR_index.do? 내용: 는 영진문화사에서 1974년 11월에 발행한 서울시전도이다. 이 지도에는 일반적인 범례와 함께 각종 도로와 지하철 등 도시계획 관련 범례가 실려 있어 도시계획도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특히 지도 우측 ..

[지도]안양읍 서울 편입 계획 담겨있는 1971 새서울건설약도

2023.02.02./ #아카이브 #옛지도 #기록 #역사 #sine1971/1971년 새서을건설약도 1971 새서울건설약도크기: 새로 105,8/ 가로 78.5유뮬번호: 서울역사051976출처: 서울역사박물관https://museum.seoul.go.kr/www/relic/RelicView.do?mcsjgbnc=PS01003026001&mcseqno1=051976&mcseqno2=00000&cdLanguage=KOR 이 지도는 1971년 당시 시흥군 안양읍 등 서울 인근 경기도 일부 지역을  서울시로 편입시켜 더 튼 서울시르 만들려고 했던 당시 편입 예정지를 나타낸 기록이다. 또 한강의기적이라 불리우던 서울 여의도와강변개발+고가도로계획도+어린이왕국배치도+토지시가조사표(등)도 보여주는 자료라 할수 있다.지..

[20230201]1956년 동양 최대 규모 안양영화촬영소 정초식 행사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안양 #석수동/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1956년 10월17일 개최된 안양영화촬영소의 정초식 모습이다. 안양 석수동 275번지(현 석수현대아파트)에 터를 마련한 안양영화촬영소는 당시로는 동양 최대 규모로 이날 행사를 기록해 방영한 대한뉴스를 보면 정초식과 상량식을 함께 실시했다고 나온다. 정초식(定礎式)이란 건축물을 세울 때, 기초 공사를 마치고 머릿돌을 설치하여 공사 착수를 기념하는 서양식 의식이며 상량식(上樑式)은 목조 건물의 골재가 거의 완성된 단계에서 대들보 위에 대공을 세운 후에 최상부 부재인 마룻대(상량)를 올리고 거기에 공사와 관련된 기록과 축원문이 적힌 상량문을 봉안하는 의식으로 본래 목조 건축과 관련된 의식이지만 현대에도 건물을 신축하는 과정에서 철골 공사의 마지..

[20230131]1963년 무렵의 안양교도소 입구 풍경

2023.01.31/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서울역사박물관 #안양교도소 #1960년대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자료 류물번호: 청계천00180과 청계천001801 크기: 1:세로5 / 1:가로5 /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한 노무라 모토유키 기증 슬라이드 필름에 수록된 안양교도도소 가는길로 1960년대 말 허허벌판이던 안양교도소 주변의 풍경이 담겨있다 안양교도소는 재판이 끝나 형이 확정된 수형자와 아직 형이 확정되지 않은 피고인을 동시에 수용관리하는 구치소 시설로써, 법질서 확립을 통하여 사회안정을 도모하고 수용자 자립 갱생을 위하여 보호 관리하는 국가 교정시설이다. 지난 1963년 세워진 안양교도소(42만㎡ㆍ동안구 호계동)에는 현재 1900여명의 미ㆍ기결수가 수용돼 있다. 국내 교도소와 구치소 전국 53..

[지도]1990년 안양.군포.의왕 시가지 상세 지도

2023.01.31/ #아카이브 #옛지도 #안양 #기록 #만문누리 #안양시가지 #1993년/ 2023년 올해는 안양시가 읍에서 시로 승격한지 50주년이 되는해로 관련 자료들을 발굴하고 있다. 이 지도는 1993년 발행한 사진첩에 실린 것으로 1990년대 초인 1992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73년 7월 1일 법률 제2597호에 따라 시제가 실시되면서 만안구 행정구역 관내 동네 지명이 1.2.3..4.5.6.7.8.9 동의 아라비아 숫자 지명으로 변경되었기에 옛 동네 지명을 표기한 마지막 지도로 보인다. 이 사진첩은 70년대와 90년대 모습을 비교한 사진들이 게제된 187페이지 분량의 기록이다. 지도는 사진첩 9페이지에 수록돼 있는데 안양은 물론 군포와 의왕, 과천까지 도로와 지명, 주택과 시..

[20230121]1948년 조선직물주식회사 광고속 조감도

2023.01.,31/ #아카이브 #기록 #조선직물주식회사 #1938년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자료 아카이브번호74424 유물번호서14407 시기1938 자료출처『躍進朝鮮大觀』(帝國大觀社, 1938) 조선직물주식회사(朝鮮織物株式會社) 광고에 포함된 경성부 안양역 앞 공장 조감도(鳥瞰圖)로 공장앞 아래쪽 도로는 현재의 중앙로길이다. 북쪽(위)은 안양3동과 박달리이며, 서쪽(위왼쪽)은 안양3동 양짓말이다. 사진 아래 경부선 안양역전이라 기록한 위치 표시와 전화번호 5번 표기가 아주 이색적이다. 조선직물주식회사는 1932년 11월 11일에 이토추상사(伊藤忠商事)가 박승직(朴承稷: 두산그룹 창업자) 등과 합작하여 설립한 공익사(共益社)가 중심이 되어 경기도 시흥군 서이면 안양리 872-1( 안양역 인근인 현 안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