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84

[20230217]1979년 5월1일 군포읍 승격하던날 축하 풍경들

2023.02.17/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군포읍승격 #1979년 출처.군포시사 별책 2편 군포사진스케치에서 1975년 5월1일 시흥군 남면이 군포읍으로 승격하던 날의 축하 풍경들 이날은 군포라는 행정지명이 처음 쓰인 날이다. 행정구역으로 군포는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남면이었고, 1914년 4월1일에 과천군이 시흥군에 통합되면서 시흥군 남면이 되었다. 1979년 5월1일에 시흥군 남면이 군포읍으로 승격하였고, 1989년 1월1일에 군포시로 승격하였다. 군포 지역은 1970년대 각종 공장들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공업도시로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공장 근로자들과 서울로 진입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군포를 보금자리로 택한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군포 지역은 1..

[20230215]1979년 5월1일 시흥군 군포읍사무소 현판식

2023.02.1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군포읍현판식 #1979년 출처.군포시사 별책 2편 군포사진스케치(심태섭 소장)에서 시흥군 남면이 군포읍으로 승격하던 1979년 5월1일의 시흥군 군포읍 현판식 사진으로 이날은 군포라는 행정지명이 처음 쓰인 날이다. 행정구역으로 군포는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남면이었고, 1914년 4월1일에 과천군이 시흥군에 통합되면서 시흥군 남면이 되었다. 1979년 5월1일에 시흥군 남면이 군포읍으로 승격하였고, 1989년 1월1일에 군포시로 승격하였다. 군포 지역은 1970년대 각종 공장들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공업도시로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공장 근로자들과 서울로 진입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군포를 보금자리로 택한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

[20230114]역사속으로 사라진 옛 시흥군청 동(銅)현판

2023.02.14./#아카이브 #동판 #현판 #시흥군청/ 1970년대 시훙군구청이 안양에 있을때 챵상앞 정문에 부착돼 있던 시흥군청 동(銅)현판 입니다 음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안양학연구소 발기인대회에서 안양 중앙동(현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이 문 닫을때 현판을 떼어가 보관하고 있다고 말한바 있었지요. 어렷을적 실물을 보았지만 그 이후 사진은 커녕 기록 조차 볼수 없었는데 최근 안양시 시승격 50주년과 관련하여 엣 자료들을 찾던중 시흥 시민 한분이 2019년 1월 19일 페이스북에 올린 시흥군청 현판 사진을 통해 그 존재를 드러낸 것이지요, 사진과 함께 게제된 글을 보니 2019년 1월 시흥시청 개청(開廳) 30주년..

[202302013]1996년 무렵 군포 산본 도장터널 주변 풍경

2023.02.13/ #아카이브 #도시기록 #군포 #산본신도시 #1990년대 산본신도시 5번 진입도로가 개통될 당시인 1990년대 중반인 1996년 무렵의 도장터널과 그 주변풍경이다. 한라 2차 아파트 옥상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보면 사진 중앙에 놓여진 도로는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과 금정동을 잇는 번영로다. 군포소방서 사거리에서 대야미로 연결되며 도장터널이 지나간다. 사진속 사람들이 무얼하는지 명확치를 않다. 도로위에 내걸린 플랜카드를 보면 이라 적혀있으나 개통축하는 아닌듯 싶고 무언가 반대를 하는 주민들의 시위처럼 보인다. 사진 우측으로는 지하철 4호선이 지나고 그 뒤로 보이는 아파트단지는 가야 5차 아파트다. 사진속 도장터널은 산본에서 서쪽 외곽으로 빠져나가고 산본으로 들어오는 관문과 같은..

[20230213]1986년 의왕 부곡 중앙로 거리 풍경

2023.02.13/ #아카이브 #옛사진 #도시기록 #의왕 #1986년/ 1986년 의왕 부곡동의 풍경이다. 의왕역에서 덕성초등학교 가는 길(현 부곡 중앙로) 주변 모습으로 사진속 멀리 우측에 보이는 5층 높이의 건물이 부곡 우성4차아파트이다. 공주식당, 금성건재, 양미용실 등 가게 상호가 적힌 간판과 더불어 숯불갈비, 닭꼬치, 세탁소, 지물포, 아가방, 약 간판도 보인다. 도로 위에는 풀랜카드가 내걸렸는데 부곡국민학교 총동문회 40년사 기념책자발간 자료수집연락소라 적혀있다.

[20230213]1973년 무렵의 1번국도 군포에서 안양 가는길

2023.02.13/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만문누리 #안양 #구1번국도 #엘에스로/ 2023년 올해는 안양시가 읍에서 시로 승격한지 50주년이 되는해로 관련 자료들을 발굴하고 있다. 사진은 군포에서 안양 가는 옛 1번국도의 모습으로 안양이 읍에서 시로 승격한 1973년 무렵으로 보인다. 도로옆에 세워진 거리 이정 표지석에 안양 4Km라 되어있어 현재의 안양8동 끝자락에서 산본으로 가는 도로가 놓여진 산본고가차도 앞쪽으로 추정된다. 사진 좌측에 경부선 철길이 보이고 산자락 지형을 볼때 수리산 줄기로 산자락에 보이는 집들은 안양8동 명학마을이 아닐까 싶다.

[20230208]1935년 의왕 청계동에 있던 성현서당

2023.02.08/ #아커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의왕 #성현서당/ 의왕 청계동에 있던 성현서당의 1935년 사진이다. 의왕시사 제8권에 게제된 기록인데 당시 서당에 다니던 의젓한 학생들과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성현서당은 일제강점기 이후 애국애족과 신교육 정신을 받들어 1925년경 하우현성당 윤예원 신부가 성당 앞마당에 애경강습소를 설립하여 운영한 것을 시초로 한다. 이후 청계(淸溪), 포일(浦一), 학의(鶴儀), 내손리(內蓀理)에 있던 기존의 군소 서당의 서생을 흡수하여 4동의 중앙지역인 이곳에 한학과 신문학을 겸한 청계강습소를 설립하였는데 폭 4간, 길이 12간의 건물과 300평의 운동장이 있었다고한다. 1927년 윤예원 신부가 옥천서당으로 전출되자 포일리 성현서당의 정준모..

[20230209] 1956년의 의왕 덕장초등학교 교실 모습

2023.02.09./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덕장초등학교 #의왕 사진출처: 의왕시사(덕장초교 60년사에서) 의왕에 자리한 덕장초등학교는 1944년 4월 1일: 고천국민학교 청계분교로 개교했으며 1949년 3월 25일 고천국민학하교 청계분교에서 덕장국민학교로 승격된후 1996년 3월 1일: 덕장초등학교로 개명했는데 학교가 있던 동네 이름이 덕장골이라 덕장국민학교라 지었다고 한다. 으욍시사에 따르면 청계분교를 지울 당시 성현서당을 헐고 그 재목을 운반하여 분교 교실을 지었다고 한다. 1949년 6월29일 제1회 졸업삭에서 29명의 졸업생을 베출했다.. “삼천리 한 복판에 장엄하다 청룡산은/창공에 우뚝 서서 광교 모락 마주보고/청계천 맑은 시내 길이길이 흐르는 곳/화려한 이 마을에 덕장학교 세웠도다.”..

[지도]1914년 지도에 나타나는 안양천 물줄기 지형

2023.01.09/ #아카이브 #기록 #엣지도 #안양천물줄기 #1914년 1914년 제작된 군포장(軍浦場) 지도에서 안양천 물줄기를 보다. 조선총독부 경성 및 인천지방 8 측도연도 1914 수정측도 1918 제1회J 041-009-005 1:25000지도 지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p_list.do?scale=25 일제가 1914년 무렵 제작한 '군포장'제목의 1;25,000 지도로 당시의 안양.군포.의왕 일대 모습을 볼수 있는 근대 지도이다. 일제는 조선을 강점하고, 통치차원에서 일본군 육지측량부대를 비밀리에 파견하여 조선인 측부를 고용하여 조선 땅을 측량하기 시작하였다. 1910년 강제 합방 전까지 약도 형태의 축척 5만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