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84

[20230323]1989년 소멸된 옛 시흥군의 1975년 관내도

2023.03.23/ #아카이브 #옛지도 #시흥군 #1975년/ 1989년 소멸돼 사라진 시흥군의 1975년 무렵 관내도. 1975년 발행된 제15회 시흥군 통계연보에 실린 자료이다.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으로 가장 번창했을 당시 안양시 중앙동(현 안양일범가)에 군 청사가 자리했었으며 소멸 직전에는 안양6동 현 만안평생교육센터 자리에도 잠시 있었다. 원래의 시흥군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군청을 두고,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중심으로 영등포구(양화동 제외) · 관악구(남현동 제외) · 동작구 일부(신대방동, 상도동) · 구로구 동부(안양천 동쪽)와 경기도 광명시(옥길동 제외) · 안양시 일부(석수동, 박달동)를 관할구역으로 하였다. 1914년 4..

[20230323]1989년 소멸된 옛 시흥군의 1966년 관내도

2023.03.23/ #아카이브 #옛지도 #시흥군 #1966년/ 1989년 소멸돼 사라진 시흥군의 1966년 관내도. 1967년 발행된 제7회 시흥군 통계연보에 실린 자료이다.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으로 가장 번창했을 당시 안양시 중앙동(현 안양일범가)에 군 청사가 자리했었으며 소멸 직전에는 안양6동 현 만안평생교육센터 자리에도 잠시 있었다. 원래의 시흥군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군청을 두고,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중심으로 영등포구(양화동 제외) · 관악구(남현동 제외) · 동작구 일부(신대방동, 상도동) · 구로구 동부(안양천 동쪽)와 경기도 광명시(옥길동 제외) · 안양시 일부(석수동, 박달동)를 관할구역으로 하였다. 1914년 4월 1일..

[20230320]1980년대 중반 군포 노루목 일대

2023.03.20/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80년대 중반 군포 노루목 일대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이 시흥시에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군포 산본고가교에서 산본으로 진입하던 일대를 과거 노루목이라 볼렀다. 사진 좌측의 도로는 지금의 산본고가삼거리에서 산본으로 진입하는 도로인 고산로 쯤에 해당하며, 사진 촬영 위치는 지금의 산본1동사무소 부근으로 추정된다. 촬영시기는 1980년대 중반 이후이다. 사진 중앙으로 문화촌이 보이며, 우측 공장 굴뚝이 있는 지점은 금정역앞 보령제약이다.

[20230320]1980년대 중반 군포 금정역 일대

2023.03.20./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80년대 중반 군포 금정역 일대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군포 산본고가교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당시에는 군포로가 완공되지 않았기에 도로가 안양6동의 안양경찰서 사거리(현 성경대사거리)에서 현재의 금정역 앞까지만 연결되어 있었다. 수도권전철 과천선이 건설되기 전이므로 선로도 지금보다 훨씬 적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철로 우측이 문화촌이고, 좌측에 보령제약 안양공장(현 힐스테이트금정역+AK플라자)의 굴뚝이 보인다.

[20230304]1968년 군포 밤바위(군포 제7경) 청소년 놀이터였다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68년 #밤바위 #군포제7경 #금정동 1968년 군포 밤바위와 담력 놀이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군포주민 권원혁 소장) 이 사진은 1968년 군포 밤바위에서 청소년들이 바위를 뛰어넘으며 담력 놀이를 찍은 사진이다. 군포시 금정동, 현재의 행정동으로 치면 재궁동에 있는 시민체육광장 뒤편 산에는 큰바위가 하나 있다. '밤바위' 라 불리우는 바위다. 밤바위는 그 주위에 밤나무가 많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하며, 이 바위가 있는 산을 '밤바위산'이라고 한다. 밤바위산은 월구지고개(100m)에서 감투봉(181.1m)까지 지형상 직선거리 2.1km로 군포시의 한 가운데를 북서와 남동으로 양분하고 있는 해발 183.1m의 시민체육광장을 둘러싸고 ..

[20230304]1960년대 중반 군포 신사터에서 내려다 본 당동 일대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60년대 #군포당동 #신사터 #군포역 1960년대 중반 군포 신사터에서 내려다본 당동일대 모습이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군포주민 김정훈 소장) 이 사진은 1960년대 군포 신사터에서 산자락 아래 당동일대를 향해 찍은 사진으로 중앙 우축멀리 흰색 건물의 군포역이 보인다. 당동일대는 1905년 경부선 철길이 지나고 군포장역이 있어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 산본 신도시가 생기기 이전까지 군포의 중심지었다. '신사터'란 일제강점기 말에 건립된 신사(神社)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현 군포1동주민센터에서 밤바위산 방향으로 올라가다가 있었다. 산자락에 있던 신사터는 당동 일대를 조망하기 좋아 군포 토박이 원주민들이 마실 또는 나들이로..

[20230204]1970년대 1번국도 군포버스정류장과 구군포사거리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70년대 #군포정류장 #구군포 #호계구사거리 #국도1호선 1970년대 국도1호선 군포정류장과 구군포사거리 주변 풍경이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진은 1970년대 중반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오른쪽에 안양교도소등이 적힌 이정표 표지판이 보이는데 구군포사거리(현 호계구사거리)에서 과천으로 가던 옛길로 현재의 경수대로 519번길이다. 이정표 아래 길옆에 농원상회가 보이는데 현재 신원당약국이 자리한 건물이다. 사진 중앙에 버스가 지나가는 1번국도 우측에 주유소 간판이 보이는데 현재도 운영중인 서일주유소이다 사진 왼..

[20230304]1983년 신축중인 군포성당과 군포중학교 등 당동일대

2023.03.04./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 #1983년 #군포성당 #군포중학교 #땡땡거리 1983년 무렵의 땡땡거리라 불리던 철도건널목 주변으로 현재 지샘병원이 자리한 당동 일대 풍경이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 소장.시흥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아래 보이는 철도가 경부선 철길이다. 우측 하단에는 소위 땡땡거리라 불리우던 철도건널목이다, 땡땡거리앞에는 상점과 식당이 있었다. 사진 중간의 도로위에 신축중인 건물이 천주교 군포성당(1984년 9월18일 설립)이고 좌측의 흰건물은 1982년 개교한 군포중학교이다

[20230304]1987년 2월에 촬영된 과거 군포역

2023.03.04/ #도시기록 #아카이브 #옛사진 #군포역/ 1987년 2월에 촬영된 군포역 모습으르 이전 사진과 비교할때 달라 조금씩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군포시사 별책2권 군포사진스케치(시흥시향토사료실.시훙군이 해체될 당시 기록물과 사진 등 대부분의 자료들을 시흥시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군포역은 군포 구도심인 당동에 있는 역으로 대한제국 당시인 광무 5년(1905년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연 경부선의 철도역으로 1905년 군포장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37년에 군포역으로 변경된 유서깊은 역이다. 군포역은 전철이 운행하기 전에는 여객열차도 정차했었지만 현재는 수도권 1호선 완행과 서울-천안 급행열차만 정차한다. 한때 여객열차가 정차하던 역이기에 역사 남쪽으로 과거에 사용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