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74

[20231218]1967년 안양 시흥군청앞 공터 읍민관 행사

2023.12.18/ #아카이브 #옛사진 #안양 #장내동 #안양4동 #Ssince1967/ 1967년 4월 19일 시흥군청앞 공터인 읍민관(현 2001아울렛옆 안양빌딩.1층에 다이소건물)앞에서 열린 행사 사진으로 국가기록원에 소장된 기록물이다. 당시 기록을 보면 주간 새나라신문 주최로 안양에서 열린 전국 읍면대항 퀴즈대회 시상식 모습이다,. 어떤 연유에서 전국 읍면대항 퀴즈대회 시상식이 안양에서 열리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행사장 사진속 현수막을 보니 송아지 50마리가 우승상품이었으니 행사 규모가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인다. 안양읍 시절있던 당시에는 안양역앞을 지나는 1번국도(현 만안로)밖에 없던 시절이었으며 현재의 중앙로(석수동-성결대사거리)가 개통되기 전이다. 사진에 보이는 건물은 1958년 무렵 지어진 ..

[20231214]안양 호계동에 있던 군포장의 군포역 이전 기록

2023.12.14/ #아키이브 #지도 #기록 #역사 #군포장/ 지도속 위 등그라미가 1700년경부터 1926년까지 군포장. 아래 동그라미가 1926년 이후 군포장) 군포장 하면 현재 군포역앞에 있는 군포역전시장을 떠올리지만 역사 속에서 ‘군포’라는 지명이 들어간 군포장은 조선시대 군포천옆현 안양천 구군포교)에서 열렸던 ‘군포천장(軍浦川場)’이 시작으로 지금의 구군포사거리(안양 호계동) 지역이다. 이곳은 삼남길과 시흥대로가 만나는 곳으로 대한제국 시절에는 안양.군포.의왕의 중심지였으며 1926년대 이전까지 전국에서 장돌뱅이들이 모여들 만큼 큰 장이 서던 곳이다. 군포장에서는 1919년 3월 31일 장날 안양.군포.의왕사람들이 모여 만세운동을 시작해 군포역까지 행진했던 출발지였던 역사적인 곳으로 1980년..

[20231214]안양 관양동 대한전선 안양공장 항공사진(1990년대)

2023.12.14/ #아카이브 #옛사진 #신문 #대한전선안양공장/ 매일경제 1993년 05월31일자에 실린 대한전선 안양공장 항공사진. 대한전선은 1955년 2월 21일 인송 설경동 창업주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전선 생산업체로 한때 15개 기업을 거느리고 매출규모는 2조7035억(자본금 7155억)에 달하는 등 재계 5위까지 올랐던 그룹이다.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시작으로 국가 기간산업인 전력공급과 통신망이 확충되는 시기와 발맞춰 신제품 개발과 품질향상에 주력해 왔다. 1964년 전선류 제품에 대한 KS표시 허가를 획득하고 68년 기업공개로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후, 중화학공업으로 전환되던 1970년대 전선공업도 비약적인 발전의 시기를 맞게 된다. 대한전선은 1975년..

[20231202]1950년대 안양 일번가에 있던 안양경찰서

2023.12.02/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경기부흥총람 #건국10주년기념 #sine1958 #경인일보사/ 경인일보사에서 1958년 건국 십주년 기념 특집으로 발간한 사진 자료집인 에 실린 안양읍 증앙동(현 안양일번가)에 지리했던 안양경칠서 전경 사진이다. 경기부흥총람(京畿復興總覽)은 경기와 인천에 소재한 관공서, 학교, 공장 등 주요 건물 사진이 수록돼 있는 귀중한 자료집이다. 1950-60년대에 안양걍찰서는 1950-60년대에 안양읍 중앙동(현 안양1동. 안양 일번가)에 자리하고 있었다. 자료를 보면 안양경찰서의 첫 관서는 1945년 10월 21일 당시 금성방직 자리(현 대농단지)에 개서했으며 이후 1960년대 시흥군청, 안양읍사무소 등과 함께 안양읍 안양리 중앙동(현 안양1동. 안양시 ..

[20231201]2005년의 안양예술공원(안양유원지 상점들)

2023.12.01/ #도시기록 #안양에술공원 #옛사진 #안양유원지상점들 #since2004/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시작에 앞서 조사한 과거 안양유원지 상점들. 1933년 안양풀로 개장한 안양유원지는 삼성천 계곡을 막아 조성한 곳으로 초입에 위 아래 계곡을 막아 두개의 풀장이 있었는데 공짜풀로 아래쯕은 물 깊이가 2m가 넘는 성인용. 위쪽은 아이들용이었다. 1960년대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계곡물이 점점 오염되자 유료풀장인 인공수영장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대영풀장, 맘모스수영장, 만안각수영장, 안양관광호텔수영장 등이 있었다. 수도권 주민들의 여름철 피서지중 한곳으로 인기몰이를 했던 안양유원지, 과거의 풀장과 수영장은 다 없어졌다. 대영풀장자리에는 안양워터랜드, 맘모스수영장에는 상가(커프를레닛)가 들어섰다. ..

[20231130]1950년대 안양일번가에 있던 안양읍사무소

2023.11.30/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역사 #경기부흥총람 #건국10주년기념 #sine1958 #경인일보사/ 경인일보사에서 1958년 건국 십주년 기념 특집으로 발간한 사진 자료집인 에 실린 안양읍사무소 전경 사진이다. 경기부흥총람(京畿復興總覽)은 경기와 인천에 소재한 관공서, 학교, 공장 등 주요 건물 사진이 수록돼 있는 귀중한 자료집이다. 안양 중앙동(안양1동)에 있던 안양읍사무소(1949년 준공)는 현재의 안양 일번가 안양로 292번길 롯데리아 안양점과 맥도날드 안양점이 있는 건물과 뒤로는 과거 안양1동사무소가 있던 일번가 쌈지공원 등을 포함하는 면적을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안양읍사무소는 2층 건물이었는데 지붕은 기와였고 유리창이 참 많았다. 안양읍사무소는 1973년 안양읍이 안양시..

[20231130]1977년의 안양역앞 중국집 <영흥관>

2023.11.30/ #옛사진 #기록 #기억 #영흥관 #since1977 안양역에서 삼원극장 가는길 좌측에 있던 영흥관. 대만 출신 화교분이 하시던 중국집이다. 주소지는 안양시 안양동 674-228로 2층짜리 이 건물은 지금도 현존하고 있는데 1층에 던킨도너츠 가게가 입주해 있다. 세월이 흐르면서 건물 외관은 달라졌지만 골조는 예전 그대로다. 이 사진은 영흥관 주인장의 막내 아들로 현재 안양 농수산물도매시장 관리동 2층에서 왕덕중 한의원을 경영하는 왕덕중 원장께서 제공해주셨다. 왕 원장 기억에 의하면 사진속 건물(중국집)에 1969년부터 2009년까지 살았으며 중국집 오른쪽으로는 경기은행과 태성상사라고 화공약물 판매점. 서을우우 보급소(최영규사장)가, 왼쪽에는 신화목재사(이병준사장님 소유)가 있었으며 건..

[20231128]우리나라 마지막 성냥공장 역사 1946년으로 올라간다

2023.11.28/ #기록 #역사 #옛사진 #경북의성 #성광성냥 #문화영 2013년을 끝으로 성냥 생산을 중단한 국내의 마지막 성냥 공장인 경북 의성의 성광성냥공장이 최근 문화유산으로 지정돼 복합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보전할 예정으로 전해진 가운데 성광성냥 역사가 그동안 알려진 1954년보다 8년이나 거술러 올라가는것으로 확인됐다. 성광성냥업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4(도동리 769-2)에 있다. 안양문화원 이사로 활동중인 문화영씨가 최근 친척으로부터 전달받은 성냥공장의 옛사진을 보면 1947년 8월 21일 1주년 창립기념 단체 사진을 담고 있다. 문화영이사는 "사진속 사진 두번째 줄 남자5명중 가운데 분이 본인 대구 고모부이신 차석수씨로 1946년 성냥공장을 만들어 운영하다 한국전쟁..

[20231126]안양->서울 편입 예정 1970년 새서울계획약도

2023.11.26./ #옛지도 #기록 #새서을계획약도 #since1970/ 서울역사박물관에 보관된 70년도새서울도로번지도시계획약도.1970년대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도시계획도이다. 새로 편입될 지역을 표시하고 있으며 지도 하단에는 서울시 토지가격과 한강개발 관련내용이 삽입되어 있다. 시선을 끄는 부분은 안양과 의왕,부천,성남 일부가 서울시로 편입하는 계획이 추진됐었다. 유물명: 70년도새서울도로번지도시계획약도 유물번호: 서울역사022845 유물크기: 가로 : 64.7cm 세로 : 93.5cm재질지(紙)

[20231126]1971년의 부곡역(현 의왕역)

2023.11.26./ #기록 #옛사진 #부곡역 #현의왕역 #since1971/ 부곡역은 의왕역의 옛 명칭으로 사진은 1971년의 부곡역(현 의왕역) 모습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준공된 단층 역사를 허물고 벽돌 구조의 2층 역사를 건설했으며, 1976년에는 그 옆(당정역 방면)으로 수도권 전철 전용 선상역사를 지었다. 1977년 5월 16일부터 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부곡역은 1944년에 용산역 인근 철도기지창 기능의 일부가 수원군 일왕면 삼리(당시 행정구역)로 이전하면서 철도 관련 인력의 통근 편의를 위해 신설한 역이다. 1974년 광역전철 개업 당시의 행정구역은 시흥군 의왕면 삼리였으나,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1989년부터 의왕시 삼동에 소재한 역이 되었다. 일왕면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