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 772

[안양권지도]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지금의 서울특별시 한강이남(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동작구, 관악구 일부지역)과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일대가 과천현의 범위에 소속되었으며 과천시 문원동, 중앙동이 과거의 중심지였다. 冠岳山이 鎭山이며 修理山, 淸溪山과 漢江이 과천현을 둘러싸고 있는 형국이다. 漢江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이 지역에 분포하므로 농사에 적합한 지역이 많아 室坪, 僧房坪, 仁德院坪 등이 지도에 기록되어 있다. 縣 앞으로 물길이 빠져나가는 곳에 水口藪가 있었음이 지도에 나타나고 있다. 한강 이남에 위치한 지역이므로 露梁津, 銅雀津, 漢江津과 연계된 형태로 도로가 발달하였으며 서울과 三南으로 연결되는 大路, 衿川, 安..

[안양권지도]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과천지도 果川地圖,과천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와 서울시 서초구와 동작구 일부에 해당한다. 읍치는 관문동이었고, 관아 터는 현재의 과천초등학교 자리인데, 지금도 객사(지도상의 행궁과 인접하였다)의 주춧돌이 교정에 남아 있다. 冠岳山을 주산, 淸溪山을 안산으로 여기는 과천읍은 한양에서 삼남지방으로 가는 대로변에 위치하였으며, 관천읍내는 읍취락인 동시에 교통취락의 역할이 컸다. 지도에 行宮이나 행궁터가 보이는 것은 정조대왕의 초기 헌릉원행 등 왕의 행차가 잦은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다리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향교는 지금도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남아 있다. 南泰嶺은 본디 여우고개라 했으나 정조대왕이..

[20250111]1991년 5월 안양 샘병원에 등장했던 백골단

2025.01.11/ #기록 #아카이브 #사진 #안양 #샘병원 #박창수열사 #백골단/ 34년전인 1991년 안양에 백골단이 등장했었다.  민주주의 탄압의 상징으로 이제는 역사책과 영화속에서나 볼수 있는 ‘백골단’이 최근 국회에 등장했다.   백골단은 군부독재와 민주주의 탄압의 상징이다. 이승만 정부 시기 자유당이 조직한 정치 깡패였으며, 전두환·노태우 군부 정권 시절에는 사복 경찰관으로 구성돼 시위 진압 임무를 수행하는 경찰부대의 별칭이었다. 사진은 1991년 5월 7일 안양 샘병원 영안실 벽을 뜷고 난입하는 백골단의 모습이다.  안양 샘병원은 박창수 위원장이 의문사를 당한 곳이다. 1981년 8월 한진중공업의 전신인 대한조선공사(전 한진중공업)에 배관공으로 입사했던 박 위원장은 1990년 민주노조를 창..

[20241222]안양 평촌동 동일방직 공장 아치형 정문과 경비실

2024.12.22/ #아카이브 #안양 #옛사진 #기록 #동일방직/ 안양을 대표하던 기업중 하나로 안양시 인덕원사거리 인근의 평촌동 75-1에 있던 동일방직(since 1969) 안양공장의 정문과 경비실의 1980년대 모습이다, 아치 형태의 공장 정문은 1970년대 산업도시 안양을 대표하던  랜드마크였다. 이 정문은 동일방직 곻장 부지 뒷쪽이 주택조합에 메각돼 대우아파트(현 푸르지오)가 들어섰으며 부지 앞쪽 대로변 일짜배기 땅 8000여평은 오랜기간 공터로 둔채 까르푸, 이마트 등을 유치하다가 무산되면서 결국 2000년대 말 이편한세상아파트(2010년 6월 준공)가 신축되면서 아쉽게도 철거돼 사라졌다.동일방직 안양공장은 창업주인 서정익 대표가 정열을 쏟아부은 곳이다. 동일방직 인천공장은 일본의 적산을 불..

[20241119]1963년 안양 장내동성당 내부 장궤 없던 시절

2024,11.19/ #기록 #역사 #기억 #추억 #졸업앨범 #안양유치원 #장내동성당/ 1963년 안양 장내동성당 내부. 장궤 없던 시절. 안양유치원 6회 졸업(1964년2월) 앨범속 기록안양지역 신앙의 역사는 박해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는 “늦어도 기해박해가 일어난 1839년에는 안양에서 서쪽으로 10리 거리인 수리산 깊은 산속에 박해시대의 전형적인 교우촌이 형성돼 60여 명의 신자들이 살고 있었다”고 전한다.최경환 성인과 그 일가가 생활하던 수리산 교우촌이 그곳이다. 성인의 아내 복녀 이성례와 그 아들로서 후에 사제품을 받은 최양업도 이곳에 숨어 신앙생활을 해나가고 있었다. 교우촌은 담배농사를 지어 생계를 꾸려갔기에 담배촌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박해가 끝나자 안양·시흥 지역..

[20241114]1935년 4월 안양 망해암 탐방 기록(조선일보)

2024.11.14/ #아카이브 #기록 #옛신문 #망해암 #안양역 #관악산/ 춘교명상-관악산편[조선일보]1935.04.20조간2면 기사 (문화) ※ 원본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 글자가 ㅁ 또는 공란으로 표기됩니다.춘교명산(春郊名山)삼박자행각(三拍子行脚)관악산편(冠岳山篇)동천(洞天)은암벽(岩壁)에고현(孤懸)유곡(幽谷)엔간수자명(澗水自鳴)=청허감(淸虛感)에일행(一行)은잠시자신(暫時自身)도망각(忘却)="망해(望海)"부득(不得)"망해(望海)"암점경(庵點景) 【십(十)】문(文)…촌석(村石)화(畵)…웅초(熊超)사(寫)…종옥(鍾玉)떠나기전에 관악(관악(冠岳))에 대한 전설과 사적이라도 들추어보라는 권고도 잇섯스나 나는 차라리 한 장의 생생한 홉지(흡지(吸紙))가 되어서 전연 백지(백지(白紙))의 상태에서 관악이 주는 ..

[20241112]UNKRA 원조 건설 군포 반월저수지 준공(since 1958)

2024.11.12/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반월저수지 #운크라 #since1958/ 오늘 모교수로부터 군포에 있는 반월호수가 유엔 원조로 건설된 것에 대해 사실 여부를 알고싶다는 연락이 와서 자료를 찾다가 발견한 반월저수지(당시 화성군 반월면) 준공식 사진. 1958년 5월21일 준공식 당시의 사진과 기록 영상이다.반월호수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1957년 조성된 인공 저수지로 반월수리조합 UNKRA에서 한미합동사업구역으로 정해 서기 1957년 12월 15일 세워진 것이다. 반월저수지 조성 이후 남산 뜰을 비롯해 오늘날의 본오 뜰을 포함한 주변 지역에 중요한 농업용수를 공급해 가뭄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젖줄이 됐다. 이같은 기록은 반월저수지가 운크라의 지원으로 농업 기반시설 조성용 저수..

[20241111]안양 장내동성당(현 중앙성당)의 1960년대 옛모습

2024.11.11./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장내동성당/ 안양유치원 제6회 졸업(1964년 2월)앨범에 수록된 안양 장내동성당(현 중앙성당)의 옛 기록으로 1960년대 초반의 성당 모습이 담겨있다. 안양지역 신앙의 역사는 박해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는 “늦어도 기해박해가 일어난 1839년에는 안양에서 서쪽으로 10리 거리인 수리산 깊은 산속에 박해시대의 전형적인 교우촌이 형성돼 60여 명의 신자들이 살고 있었다”고 전한다.최경환 성인과 그 일가가 생활하던 수리산 교우촌이 그곳이다. 성인의 아내 복녀 이성례와 그 아들로서 후에 사제품을 받은 최양업도 이곳에 숨어 신앙생활을 해나가고 있었다. 교우촌은 담배농사를 지어 생계를 꾸려갔기에 담배촌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박해가 끝..

[20241111]안양 장내동성당(현 중앙성당)의 1963년 옛모습

2024.11.11./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장내동성당/ 안양유치원 제6회 졸업(1963년)앨범에 수록된 안양 장내동성당(현 중앙성당)의 옛 모습이다.안양지역 신앙의 역사는 박해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는 “늦어도 기해박해가 일어난 1839년에는 안양에서 서쪽으로 10리 거리인 수리산 깊은 산속에 박해시대의 전형적인 교우촌이 형성돼 60여 명의 신자들이 살고 있었다”고 전한다.최경환 성인과 그 일가가 생활하던 수리산 교우촌이 그곳이다. 성인의 아내 복녀 이성례와 그 아들로서 후에 사제품을 받은 최양업도 이곳에 숨어 신앙생활을 해나가고 있었다. 교우촌은 담배농사를 지어 생계를 꾸려갔기에 담배촌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박해가 끝나자 안양·시흥 지역 곳곳에 공소가 형성되기 시작했..

[20241107]백범 김구선생 안양 방문(자유신문 1947. 8.19일자)

2024.11.07/ #아카이브 #옛신문 #기록/ 1947.08.19일자 자유신문에 게제된 뱍범 김구 선생 안양 방문 단신. 김구 선생이 1947년 8월 16일 정오경 비서를 대동하여 경성기독보육원(현 안양2동 좋은집)을 방문하여 100여 원아들의 양육상황을 살펴보고 오후5시경 귀경했다고 한다.한편 김구 선생은 광복 직후인 1946년 4월 5일 한식일에 안양 관양1동 329-1에 안동김씨 대종친회 문영공(휘 恂:충렬공 3째 아드님) 산소에 참배하러 방문했다. 현재 관양동 문영공파 묘역에는 김구선생이 다녀가신 것을 기념하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