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지도읽기 119

[20250203]1950년 7월 4일 미공군 항공사진과 안양 지도

2025.02.03/ #아카이브 #기록 #지도 #항공사진 #한국전쟁/ 한구전쟁 개전 초기 북항군의 진격에 따른 도시 현황을 보여주는 항공사진과 지도로 미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에 보관된 자료다. 1950년 7월 4일 항공사진 오버레이(비행궤적과 비행정보를 담고 있음)와 1대 25만 항공지도를 중첩시켜 항공기가 지나간 궤적과 항공 촬영한 지역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재편집했다(출처: NARA, RG 373) 아래 항공사진은 1950년 7월 4일 미5공군 제8전술정찰비행대대에서 촬영한 서울 용산-마포 일대의 희귀한 항공사진이다. 이 항공사진이 촬영된 시기는 아군의 한강선 방어전투(1950.6.28~7.3) 직후로 개전 직후 서울 용산-마포 일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최초의 항공사진으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안양권지도]1918년 경성(京城) 지도에서 본 시흥군지역

2025.01.22/ #지도 #기록 #아카이브/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경성지도속 시흥군지역.경성(京城 제판연도 1918 J040-001-00 1:200,000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지형도는 3차에 걸쳐 제작된 1:50,000의 수량이 가장 많다.1차 지형도는 일본 육군참모본부가 1894~1906년 비밀리에 제작한 것으로, 약도略圖 혹은 군용비도軍用秘圖라고 부른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삼각측량법에 의해 2차 지형도가 제작되었으나, 삼각점망이 완성된 후 중단되었다. 한반도 전역을 포함한 3차 지형도는 1914년~1918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이후 몇 차례 수정지도..

[안양권지도]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지금의 서울특별시 한강이남(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동작구, 관악구 일부지역)과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일대가 과천현의 범위에 소속되었으며 과천시 문원동, 중앙동이 과거의 중심지였다. 冠岳山이 鎭山이며 修理山, 淸溪山과 漢江이 과천현을 둘러싸고 있는 형국이다. 漢江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이 지역에 분포하므로 농사에 적합한 지역이 많아 室坪, 僧房坪, 仁德院坪 등이 지도에 기록되어 있다. 縣 앞으로 물길이 빠져나가는 곳에 水口藪가 있었음이 지도에 나타나고 있다. 한강 이남에 위치한 지역이므로 露梁津, 銅雀津, 漢江津과 연계된 형태로 도로가 발달하였으며 서울과 三南으로 연결되는 大路, 衿川, 安..

[안양권지도]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과천지도 果川地圖,과천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와 서울시 서초구와 동작구 일부에 해당한다. 읍치는 관문동이었고, 관아 터는 현재의 과천초등학교 자리인데, 지금도 객사(지도상의 행궁과 인접하였다)의 주춧돌이 교정에 남아 있다. 冠岳山을 주산, 淸溪山을 안산으로 여기는 과천읍은 한양에서 삼남지방으로 가는 대로변에 위치하였으며, 관천읍내는 읍취락인 동시에 교통취락의 역할이 컸다. 지도에 行宮이나 행궁터가 보이는 것은 정조대왕의 초기 헌릉원행 등 왕의 행차가 잦은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다리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향교는 지금도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남아 있다. 南泰嶺은 본디 여우고개라 했으나 정조대왕이..

[20241008]안양 범고개는 1960년대 지도에 더푼물(더푸멀) 표기

2024.10.08/ #도시기록 #지도 #안양 #박달리 #더푼물 위 지도는 1960년대 안양의 지형도로 당시 안양 박달리 일대 모습으로 당시 안양과 안산의 경계로 현재 범고개라 불리우고 쓰여지는 고개가 더푼물(더푸멀로 표기) 이었음을 보여준다.   지도에는 안양에서 안산 가는 도로 주변에 있던 호현마을, 충훈부 등 마을과 안서국교, 근명학교, 박달교 등의 위치가 표기되어 있는데 지도속 안서국교가 1964년3월에 개교했다는 사실에서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달리에서 가장 높은 고개였던 더푼물(지도표기 더푸멀),   지도속 지형이 지금의 헹정구역으로는 안양, 광명,시흥 등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1960년대에는 안양과 안산이었다. 지도 중간에 표기된 도로는 안앙에서 안산 목감삼거리 가는 ..

[20240915]1931년 발행 조선중요특산물분포도

2024.09.15./ #아카이브 #옛지도 #since1931/ 발행: 조선총독부 상공장려관발행년도 : 1931년크기 : 55*104 1931년 조선총독부 상공장려관에서 제작한 조선중요물산병특산물분포도(朝鮮重要物産並特産物分布圖) 지도. 조선의 지역별주요 특산물과 생산물을 그림으로 도식하고 있는 현황지도로 1930년대 지역별 특산물과 해역별 주요 어종자원을 도식하고 주요 도시들의 수출입 무역액도 적혀 있다. 친근하게 느껴지도록 특산물의 그림을 그려 넣어서 당시 지역별 주요 생산물을 누 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해놓았다.앞면은 조선 지도를 그리고 조선 특산물을 그림으로 그린 지도이며, 뒷면은 조선의 면적, 기후, 교통, 무역, 상업, 농업, 수산업, 공업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전면에 각지(各地)의 ..

[20240608]1971년 새서울건설약도속 시흥군 남면과 의왕면

1971년 2월 20일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새서울건설약도속 시흥군 남면(현 군포시)과 의왕면(현 의왕시) 지도이다. 이 지도는 71년 당시 서울과 인근 경기도의 서울시편입예정지를 나타낸 지도로 경기도 고양군의 신도면과 시흥군의 안양읍, 성남의 대왕면 및 중부면 등 일부 지역이 서울시편입예정지로 되어 있다. 지도에 붉은 선으로 건설 예정 도로 및 교량 등이 표시되어 있고 당시 건물, 도로, 호수 등 지형 지물과 지명 등을 살펴볼수 있다.

[20240608]1971년 새서울건설약도속 안양읍

1971년 2월 20일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새서울건설약도속 안양 지도이다. 이 지도는 71년 당시 서울과 인근 경기도의 서울시편입예정지를 나타낸 지도로 경기도 고양군의 신도면과 시흥군의 안양읍, 성남의 대왕면 및 중부면 등 일부 지역이 서울시편입예정지로 되어 있다. 지도에 붉은 선으로 건설 예정 도로 및 교량 등이 표시되어 있고 당시 건물, 도로, 호수 등 지형 지물과 지명 등을 살펴볼수 있다.

[20240607]안양, 서울 편입 70년도 새서울 도로번지 도시계획 약도

2024.06.07/ #아카이브 #옛지도 #안양 #사울 #의왕 #과천/  안양.군포.의왕.과천 등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편입될 예정지구와  주요건물의 빔례, 구별 토지시가표가 수록된 1970년 당시의 지도로 서울시가 확대되는 모습을 참조할수 있다. 지도명: 70년도 새서울 도로번지 도시계획약도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번호 서울역사022845)크기: 가로 : 64.7cm 세로 : 93.5cm재질지(紙)1970년대 필중서관에서 발행한 도시계획도이다.서울시에 새로 편입될 지역(안양.의왕.괴천.소래 등)을 표시하고 있으며 지도 하단에는 서울시 토지가격과 한강개발 관련내용이 삽입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