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옛지도읽기 123

[20250208]17세기 경기도삼십팔관(京畿道三十八官)속 안양권

명칭: 경기도삼십팔관아카이브 번호: H-TRNS-72277-781유물번호: 서13166시기: 17세기장소: 경기도자료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이찬 기증)우리 옛지도』(2006), 14쪽내용 경기도삼십팔관(京畿道三十八官)>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포함되어 있는 도별지도(동람도)를 따로 목판으로 크게 확대하여 간행한 ‘동람도’ 형 도별지도이다. 지도의 내용은 ‘동람도’와 거의 유사하며, 바다에 파도문양을 그려 넣은 점도 동일하다. 그러나 군현명 옆에 부사·군수·현령·현감 등 군현의 품계, 그리고 서울에서 각 군현까지 며칠이 걸리는지의 시간거리인 일정(日程)이 병기되어 있어 ‘동람도’보다 더 많은 지역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도(道)를 좌도(左道)와 우도(右道), 동도(東道)와 서도..

[20250205]1978년 육군 측지부대 제작한 안양 군사지도

2025.02.05/ #아카이브 #기록 #옛지도 #군사지도 #since1978/ 대한민국 육군 측지부대가 1977년에 촬영한 항공사진과 1978년 6월에 현지 답사한 지형 정보 자료애 의하여 편집한 지도임.축척: 1:10,000제작: 육군 측지부대출처: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원문보기: https://catalog.archives.gov/id/350913960 https://catalog.archives.gov/id/350913960 catalog.archives.gov

[20250204]1913년 경기도 관내지도 속 표기된 안양권

2025.02.04/ #아카이브 #옛지도 #경기도관내지도 #since1913/ 국가기록원에 소장된 경기도관내지도/ 경인선과 경부선 철길이 표기되어 있다. 안양지역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명 표기가 과천, 안산, 수원이 크게 표시된 반면 안양은 작아 자그마한 마을이었다. 또한 철길 우측에 표시돼 시대동(구시장)쪽이 마을중심지였음을 앞수 있다. 도로에 있어 삼남대로(한양-과천-호계동-의왕-수원)는 표시된 반면 시흥로(현 금천구-안양)연도로 표기가 없어 당시 통행이 뜸했을을 보여준다.- 기록물건 제목: 경기도관내지도- 자료출처: 국가기록원- 생산년도: 1913- 경기도관내지도- 관리번호: CJA0002543- 크기 : 54.3*64.8(0.03)- 재질 : 한지- 설명 : 개정전 군경계 및 군명은 검은색, 개정..

[20250204]1914년 과천군, 안산군이 흡수통합된후 시흥군 약도

2025.02.04/ #아카이브 #기록 #옛사진 #한국전쟁 #안양/ 1914년 시흥군 약도는 시흥군, 과천군, 안산군이 흡수통합된 후의 행정구역을 나타낸 지도다. 시흥군은 1895년에 승격되었으며, 1914년에 과천군과 안산군이 흡수통합되었다. 이후에도 행정구역이 잦은 개편을 겪었다. 국가기록원 자료에서 찾아냄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Y&archiveEventId=0049289876

[20250203]1950년 7월 4일 미공군 항공사진과 안양 지도

2025.02.03/ #아카이브 #기록 #지도 #항공사진 #한국전쟁/ 한구전쟁 개전 초기 북항군의 진격에 따른 도시 현황을 보여주는 항공사진과 지도로 미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에 보관된 자료다. 1950년 7월 4일 항공사진 오버레이(비행궤적과 비행정보를 담고 있음)와 1대 25만 항공지도를 중첩시켜 항공기가 지나간 궤적과 항공 촬영한 지역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재편집했다(출처: NARA, RG 373) 아래 항공사진은 1950년 7월 4일 미5공군 제8전술정찰비행대대에서 촬영한 서울 용산-마포 일대의 희귀한 항공사진이다. 이 항공사진이 촬영된 시기는 아군의 한강선 방어전투(1950.6.28~7.3) 직후로 개전 직후 서울 용산-마포 일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최초의 항공사진으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안양권지도]1918년 경성(京城) 지도에서 본 시흥군지역

2025.01.22/ #지도 #기록 #아카이브/ 조선총독부 시절 제작한 경성지도속 시흥군지역.경성(京城 제판연도 1918 J040-001-00 1:200,000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사용·보관한 지도이다. 대부분 지형도이며, 각종 주제도와 지도 관련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지형도는 3차에 걸쳐 제작된 1:50,000의 수량이 가장 많다.1차 지형도는 일본 육군참모본부가 1894~1906년 비밀리에 제작한 것으로, 약도略圖 혹은 군용비도軍用秘圖라고 부른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삼각측량법에 의해 2차 지형도가 제작되었으나, 삼각점망이 완성된 후 중단되었다. 한반도 전역을 포함한 3차 지형도는 1914년~1918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이후 몇 차례 수정지도..

[안양권지도]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해동지도(고대4709-41)_과천현 지금의 서울특별시 한강이남(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동작구, 관악구 일부지역)과 경기도 과천시, 안양시 일대가 과천현의 범위에 소속되었으며 과천시 문원동, 중앙동이 과거의 중심지였다. 冠岳山이 鎭山이며 修理山, 淸溪山과 漢江이 과천현을 둘러싸고 있는 형국이다. 漢江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이 지역에 분포하므로 농사에 적합한 지역이 많아 室坪, 僧房坪, 仁德院坪 등이 지도에 기록되어 있다. 縣 앞으로 물길이 빠져나가는 곳에 水口藪가 있었음이 지도에 나타나고 있다. 한강 이남에 위치한 지역이므로 露梁津, 銅雀津, 漢江津과 연계된 형태로 도로가 발달하였으며 서울과 三南으로 연결되는 大路, 衿川, 安..

[안양권지도]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2025.01.20/ #기록 #고지도 #시흥군 #과천 #안양 #군포 #의왕/ 1872년지방지도_과천지도 과천지도 果川地圖,과천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와 서울시 서초구와 동작구 일부에 해당한다. 읍치는 관문동이었고, 관아 터는 현재의 과천초등학교 자리인데, 지금도 객사(지도상의 행궁과 인접하였다)의 주춧돌이 교정에 남아 있다. 冠岳山을 주산, 淸溪山을 안산으로 여기는 과천읍은 한양에서 삼남지방으로 가는 대로변에 위치하였으며, 관천읍내는 읍취락인 동시에 교통취락의 역할이 컸다. 지도에 行宮이나 행궁터가 보이는 것은 정조대왕의 초기 헌릉원행 등 왕의 행차가 잦은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다리가 많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향교는 지금도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남아 있다. 南泰嶺은 본디 여우고개라 했으나 정조대왕이..

[20241008]안양 범고개는 1960년대 지도에 더푼물(더푸멀) 표기

2024.10.08/ #도시기록 #지도 #안양 #박달리 #더푼물 위 지도는 1960년대 안양의 지형도로 당시 안양 박달리 일대 모습으로 당시 안양과 안산의 경계로 현재 범고개라 불리우고 쓰여지는 고개가 더푼물(더푸멀로 표기) 이었음을 보여준다.   지도에는 안양에서 안산 가는 도로 주변에 있던 호현마을, 충훈부 등 마을과 안서국교, 근명학교, 박달교 등의 위치가 표기되어 있는데 지도속 안서국교가 1964년3월에 개교했다는 사실에서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달리에서 가장 높은 고개였던 더푼물(지도표기 더푸멀),   지도속 지형이 지금의 헹정구역으로는 안양, 광명,시흥 등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1960년대에는 안양과 안산이었다. 지도 중간에 표기된 도로는 안앙에서 안산 목감삼거리 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