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자료 462

[20230320]안양여자중고등학교 교지 '목련' 창간호(1974년)

2023.03.20./ #아카이브 #회보 #안양여자중고등학교 #1974년/ 안양여자중고등학교에서 1974년 1월 16일 발행한 학교 교지 ‘목련’ 창간호. 학생들의 시와 수필 등 문예작품, 교사들의 논단, 학교연혁 등을 수록하였다.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357에 위치한 안양여자증고둥학교는 대림대학교 같은 재단 소속의 사립학교로 중학교는 1952년, 고등하교는 1960년에 개교했다. 교화인 목련이 상위권 학생을 위한 야자 집중반인 목련반, 교내 덕목인 목련인의 길, 축제인 목련제 등에 꾸준히 쓰인다. 동문회 행사 이름도 '목련인의 밤'이다. 교훈: 성실(誠實) 교화: 목련 교목: 느티나무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

[20230320]안양공업고등학교 교지 '관맥' 창간호(1971년)

2023.03.20./ #아카이브 #회보 #안양공업고등학교 #1971년/ 안양공업고등학교에서 1971년 발행한 학교 교지 ‘관맥’ 창간호. 학생들의 시와 수필 등 문예작품, 교사들의 논단, 학교연혁과 학생 명단 등을 수록하였다. 1948년 3월 15일 시흥학원 안양중학교 염색과 6년제 6학급 개교했으며 2021년 1월 13일 제69회 졸업식(192명 졸업)을 통해 총 졸업생수는 33,351명에 달한다. 교훈: 튼튼한 몸, 슬기로운 마음, 앞서가는 기능·기술인 교목: 은행나무 교화:개나리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수집한 것으로 과천시에서 2002년 개최했던 제5회 과천향토자료전에 선보였던 것이다. 현재는 시흥시 향..

[20230320]만안초등학교 학교신문 창간호(1967.04.15)

2023.03.20./ #아카이브 #회보 #만안국민학교 #1967년/ 만안국민학교에서 1967년 창간(4월15일)한 학교신문.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1면에는 학교 소식과 연혁을 소개하고 2면에는 학생들의 시와 수필작품, 월중 학교 행사 내용 등을 수록하였다.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384번길 13에 자리한 만안초등학교는 1962. 03. 10 개교했으며 2021. 01. 11 제58회 졸업식(졸업생 총27,656명)을 가졌다. 2006. 10. 12일에는 만안초등학교 역사관을 개관했다.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수집한 것으로 과천시에서 2002년 개최했던 제5회 과천향토자료전에 선보였던 것이다. 현재는 시흥시 향토..

[20230320]안양독서회보 창간호(1987.12.30)

2023.03.20./ #아카이브 #회보 #안양독서회 #1987년/ 1987년 12월 30일 발행한 안양독서회보 창간호이다. 4X6배판 안양독서회는 1987년 11월 22일 건강한 생활문화운동을 제창하며 창립한 모임으로 당시 안양에는 안양독서회를 비롯 우리그림(민중미술), 휘모리(사물놀이패), 안양사랑청년회, 안양문화운동연합 등 문화단체들의 활동이 이주 활발했었다.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수집한 것으로 과천시에서 2002년 개최했던 제5회 과천향토자료전에 선보였던 것이다. 현재는 시흥시 향토사료실에 보관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30320]옛 시흥군에서 1963년 발행한 군정백서

2023.03.20./ #아카이브 #백서 #시흥군 #건설시흥 #1963년/ 1960년대 초반 시흥군의 군정목표와 부서별 사업실적을 담은것으로 오늘날의 군(시)정 백서에 해당된다. 책자 표지에 당시 안양리 중앙동(현 안양1동. 안양일번가)에 있던 시흥군청사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수집한 것으로 과천시에서 2002년 개최했던 제5회 과천향토자료전에 선보였던 것이다. 현재는 시흥시 향토사료실에 보관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30320]안양중학교 학교신문 '수리뫼' 창간호(1971.12.16)

2023.03.20/ #아카이브 #수리뫼 #안양중학교/ 1971년 12월16일 발행한 안양중학교 학교신문 수리뫼 창간호. 타블로이드판 4면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수집한 것으로 과천시에서 2002년 10월 개최했던 제5회 과천향토자료전에 선보였다. 현재는 시흥시 향토사료실에 보관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30320]1955년부터 시행한 안양중학교 학칙 팜플렛

2023.03.20./ #아키이브 #팜플렛 #안양중학교/ 1955년부터 시행된 안양중학교 학칙 리를렛이다.1960년대까지 사용했다. 이 자료는 움직이는 박물관 또는 걸어다니는 경기도 향토사료사전으로도 불리우던 향토사학자 고 이한기선생(필명 이승언)이 수집한 것으로 과천시에서 2002년 개최했던 제5회 과천향토자료전에 선보였던 것이다. 현재는 시흥시 향토사료실에 보관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30226]국립수의학검역원 100년의 역사 현장(안양)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발자취 제1장 살아있는 역사 현장 1. 본관 부조물 의술이 인류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다면, 수의술은 인류가 짐승 길들이기 시작한 때부터 행하여 왔다고 전해진다. 멀리는 단군신화에서 보듯이 초기의 수의술은 기도, 주원, 금기, 저주 등의 방법과 침구, 마늘 같은 약제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에 이르 기까지 수의에 관련되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09년은 일제강점기였다. 일본은 품질 좋은 한우를 가져가고자 했으나, 당시 우리나라에서 우역이 발생하였기에 본국의 가축 보호를 위해서 철저한 검역이 필요하였다. 이 에 우역혈청소를 만들고, 소에 대한 철저한 검역으로 우역의 방역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

[20230225]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년사(1909~2009) PDF파일 보기

2023.02.25/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옛가축위생시험소 #100년사(1909~2009) 자료집(상.하권)/ 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년사를 발간하며 심유정/국립수의과학검역원 수의생명공학과 사서주사보(sims88@korea.kr)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1909년 부산에서 수출우검역소와 1911년 우역혈청제조소의 설립으로 시작된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인 수의 전문기관으로 2009년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검역원에서는 100주년을 기념하여 그동안 지나온 과거와 현재를 기록하고 미래의 비젼을 제시한 국립수의과학검역원 100년사 상∙하권 785쪽을 발간하였다. 100년사 발간사업은 2009년 2월 27일 검역원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계획에 따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최정업 수의생명공학과장을 편집팀장으로 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