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3

[20250727]안양천에 큰물 지나가던날 기록 소환(2022.08.09)

2025.07.27/ #도시기록 #안양천 #큰물/ 안영천에 큰물 지나가던날의 모습. 쌍개울~명학대교 구간에서 똑딱이가 보다. 안양천과 학의천이 만나는 쌍개울엔 걷고 싶은 하천 100선(2006. 5. 15),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2009. 2. 5) 등 2개의 표지석이 과거에 오염하천의 대명사였던 안양천을 복원한 하천 한켠에 자리잡고 있다. 안양천은 친자연형하천으로 조성한지 25년이 흘렀고, 현재는 버들치와 은어와, 참갈겨니 서식, 수달까지 발견되고 또한 멸종위기 야생조류인 흰목물떼새, 물총새 등이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종이 현성되어 사람과 생물이 함께 공존하는 생태적인 하천으로 변모해 왔다.하지만 근래 들어 여름철 큰물이 한번 지나가면 천변의 모든것을 싹쓸이 하다시피 휩쓸고 지나기 엄청난 피..

[20250727]1966년 안양 전파연구소 개소식 기념사진

2025.07.27/ #도시기록 #안양 #옛사진 #옛전파연구소 #호계동/ 1966.10.05부터 2009.8.31일 까지 안양 호계동에 자리했던 전파연구소의 개소식 당시의 기념사진이다. 사진출처: 국립전파연구원 홈페이지전피연구소 (현 국립전파연구원)는 1960년대 초 전파의 관리와 감독이 중요하게 인식됨은 물론이고 나아가서는 전파가 국가의 중요한 자산임을 인식하게 되면서 전파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국가기관으로 탄생했다.전파연구소는 전파에 관한 연구를 전담하기 위하여 1966년 2월 5일 대통령령 제2397호에 의해 설립되었다. 같은 해 10월 5일 경기도 시흥군 안양읍 호계리에 전파연구소 청사를 마련하여 3과 6계의 조직을 갖추고 업무를 시작하였다.연구소 부지 선정의 기준 중에서 가장..

[최병렬]기후위기, 안양천 100억 꽃밭 만들기 중단돼야 한다(2025.07.27)

안양천과 학의천이 만나는 쌍개울엔 걷고 싶은 하천 100선(2006. 5. 15),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2009. 2. 5) 등 2개의 표지석이 과거에 오염하천의 대명사였던 안양천을 복원한 하천 한켠에 자리잡고 있다. 안양천은 친자연형하천으로 조성한지 25년이 흘렀고, 현재는 버들치와 은어와, 참갈겨니 서식, 수달까지 발견되고 또한 멸종위기 야생조류인 흰목물떼새, 물총새 등이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종이 현성되어 사람과 생물이 함께 공존하는 생태적인 하천으로 변모해 왔다.지난 7월 11일 오후 안양시청에서 열린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사업 주민설명회에서 연세가 지긋하신 어른께서 낮은 목소리로 말씀하셨다. “정원이라고 하면 수목이 있고 수풀이 우거져야 하는데 이건 정원 계획이 아닙니다. 꽃밭이 무슨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