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493

[20220823]안양사람들의 마음의 고향 안양천 쌍개울

2022.08.23/ #도시기록 #쌍개울 #안양/ 안양사람들의 마음의 고향. 지도에 표기되지 않았지만 다 아는 지명 쌍개울. 집중호우와 수해를 견뎌낸 흔적 모래톱이 길게 형성됐다. 어렷을적 멱 감고 집짓기 놀이를 했던 은모래사장과 깻묵 넣은 유리어항으로 송사리와 피라미를 잡아 하얀 고무신에 담아 집에 갖고갔던 어린시절의 추억이 깃든 곳이다.

[20220821]의왕 오전천 거센 물살 공장 담벼락을 무너트리다

2022.08.21/ #도시기록 #오전천 #안양천 #수해/ 지난 8-9일 수도권에 내린 집중호우로 인한 물살에 오전천과 안양천이 만나는 합류부 지점에 있는 공장(한진화학) 담벼락이 오전천 상류에서 오전천 상류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거센 물살에 모두 무너졌다. 지난 21일 현장에서 목격한 바에 의하면 오전천 끝자락에 위차한 광명교 다리 아래에는 집중호우 당시의 거센 물살의 흔적을 보여주는 풍경이 펼쳐지고 이 공장은 거센 물살에 콘크리트 블럭 담장 대부분이 유실된 상태다. 한편 오전천은 의왕시 왕곡동 모락산 인근에서 발원하여 고천동에서 안양천에 유입되는 길이 3.35km 규모의 소하천으로 상류와 합수부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복개되어 도로로 사용되고 있어 상류 집중호우시 복개 터널을 빠져나오는 물살이 ..

[20220821]의왕시, 안양천 구간 명소 '고천 대나무숲' 을 훼손하다

#도시기록 #고천대나무숲 #의왕 #안양천/ 안양천 의왕 구역에 있는 고천대나무숲을 의왕시가 재해예방을 명분으로 무참히 베어버렸다는 신문 기사를 보고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환경단체 반발과 언론 보도이후 대나무숲 절단 행위는 일단 중단됐지만 전체 구간(웇우물교-고천4교)중 절반 가까이가 잘려져나가 휑합니다. 그래도 웇우물교쪽 대나무 터널은 살아남아 예쁜 터널 모습을 보여주고있어 다행입니다. 안양천 의왕구간의 대표적인 물인 고천 대나무숲 남은 구간만이라도 꼭 지켜야 할듯 싶습니다. 한겨레신문 기사 (폭우도 버틴 대나무숲, 포클레인이 짓이겼다…의왕시의 ‘삽질’ /(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1055365.html)

[20220821]안양 학의천 집중호우와 거센 물살 견뎌낸 나무들

2022.08.21/ #도시기록 #안양 #학의천 #가로수/ 안양 학의천 수촌교-동안교 구간에서 살아남은 나무들. 지난 8-9일 수도권지역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범람위기에 처한 학의천과 안양천에서 많은 나무들이 뿌리채 뽑혀 나갔다. 21일 학의천을 걸으며 확인한 결과 천변에 그 많던 뽕나무를 비롯 숱한 나무들이 뽑혀 없어졌다. 그래도 학의천명물 왕버드나무를 비롯 몇몇 나무들이 손상 없이 거센 물살을 잘 견뎌내 너무나 감사하고 고맙다"

[20220821]안양 학의천 명물 왕버드나무 "살아남아서 고맙다"

2022.08.21/ #도시기록 #안양 #학의천 #가로수/ 학의천의 명물 왕버드나무 살아남다. 지난 8-9일 수도권지역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범람위기에 처한 학의천과 안양천에서 많은 나무들이 뽑혀나갔으나 학의천 명물 왕버드나무(대한교와 동안교 중간 놓여진 세월교 옆에서 볼 수 있는 멋진 나무 한그루)가 위험속에서도 굿굿하게 살아남았다. 21일 확인한 결과 왕버드나무 아래 깔린 야자매트 등은 상당부분이 훼손됐으나 와버드나무는 손상이 없이 거센 물살을 잘 견뎌낸것으로 보인다. "살아남아서 고맙다 왕버드나무야"

[20220821]안양 학의천 산책로 공사구간 고인물에 물고기들 갇혔다

2022.08.21/ #도시기록 #물고기 #안양 #학의천 #갇힘/ 학의천 북단 산책로를 걷다보니 산책로 확장공사 현장 고인물에서 자그마한 움직임들이 보인다. 살펴보니 지난 8-9일 하천 범람때 하천물을 따라 움직였던 송사리와 피래미등 작은 물고기들이 수량이 내려간후 공사장 고인물과 함께 갇힌것으로 보인다. 일부 지점에서는 손바닥만한 붕어가 죽은 것도 보인다. 이같은 풍경은 학의천뿐 아니라 안양천을 따라 물이 고인 여러 지점에서도 목격된다. 이녀석들을 구조해야애 하는데 천변에 있는 초중학교 선생님들이 관심을 갖고 학생 동아리들이 물고기구조대로 출동시키면 어떨까 생각해본다. 아울러 이글을 보시는 안양시의원, 안양시 공무원들께 구조를 요청드립니다.

[20220820]경기도 도시이야기 안양편-최병렬(경기문화재단)

지난 2월 어느날 인천일보에 근무했던 이동화기자로 부터 연락이 왔다. 경기문화재단이 빌행한 책(경기도 도시이야기 경기그레이트북스 30)에 내 이야기도 실려있다면서 책자와 관련 내용의 페이지를 찍은 사진을 보내왔다.이 책을의 글을 쓴 사람은 세사람(양훈도, 이동화, 김예옥)인데 그중 한명과 인터뷰한 기억이 없어 안양지역정보뱅크(지금은 안양지역도시기록연구소)에 올린 글들을 편집해 안양에 대한 이야기를 게제한듯 싶었으나 2020년 가을 무렵 2시간 여 인터뷰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당시 저를 인터뷰한 김예옥님이 2022.08.25일 전화를 걸어 알려주어서 알게됐다. 또한 책자를 보내려 했으나 연락이 안돼 보내지 못했다며 보내준다고하여 주소를 알려드렸다.왜 인터뷰했던 기억이 없지 의..

최알퐁소자료 2022.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