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135

[20230730]1977년 안양대홍수, 7월10일 안양시청 방문 박정희대통령

2023.07.30/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기억 #안양대홍수 #77수해 #박정희 #옛안양시청/ 1977년 안양대홍수 당시 사진으로 경기도청 자료실에서 발견한 현장 기록물이다. 안양 대홍수(1977. 7.8-9) 당시 비가 그치고 다음날인 7월10일 박정희 대통령이 안양시를 방문했다. 당시 박통은 안양시청(현만안구청)을 찾아 2층 시장실(현 구청장실)에서 수해 피해 보고를 받았다. 박통은 이후 복구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인 7월20일 한차례 더 안양시청을 찾아 브리핑을 받았다. 하지만 두차례의 안양 방문 자료중 피해 현장을 직접 방문하거나 수재민을 찾아 위로를 하는 기록은 찾울수 없었다. 혹 국가기록원에는 있지 않을까 싶다. 1977년 7월 8-9일 이툴간 안양에 내린 비는 무려 467.2mm..

[20230730]1977년 안양대홍수, 경수산업도로 복구 향토예비군

2023.07.30/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기억 #안양대홍수 #77수해/ 1977년 안양대홍수 당시 사진으로 경기도청 자료실에서 발견한 현장 기록물이다. 1977년 7월9일 안양 비산동 경수산업도로 현장 모습으로 낙석 및 토사를 향토예비군들이 치우고 있다. 당시 안양시내는 물에 잠겨 다리가 끊어지거니 교각이 주저앉으면서 도로(만안로, 중앙로) 철도 교통망이 완전히 마비됐다, 다행히 관악산(현 비봉산) 산자락을 깍아 도로를 낸 개통한지 얼마 안된 경수산업도로는 높은지역에 자리하고 향토예비군들이 긴급 복구를 하면서 안양 외곽 교통은 11일부터 정상 운행됐다. 1977년 7월 8-9일 이툴간 안양에 내린 비는 무려 467.2mm로 기상청 창설이래 최대의 강우량을 기록하면서 이재민 6만명에 사망, 실종자..

[20230730]1977년 안양대홍수, 7월 8-9일 피해 현장 모습

2023.07.30/ #아카이브 #옛사진 #기록 #기억 #안양대홍수 #77수해/ 1977년 안양대홍수 당시 사진으로 경기도청 자료실에서 발견한 현장 기록물이다. 1977년 7월 8-9일 이툴간 안양에 내린 비는 무려 467.2mm로 기상청 창설이래 최대의 강우량을 기록하면서 이재민 6만명에 사망, 실종자 288명이라는 엄청난 인명피해를 입혀 안양 대홍수 또는 77년 대홍수라 블려지며 안양시의 첫번째 아픔으로 손꼽는 사건이다. 당시 안양시내 전역이 물에 짐기고, 안양천 모든 다리가 끊기고, 안양철교 교각이 주저앉아 경부선 철도가 수일간 운행하지 못했다.

[20230728]안양 평촌 도심속 매미 산란지

2023.07.28/ #도시기록 #생태 #매미 #안양 #평촌/ 매미들의 도심 산란지. 매미 짝짓기와 탈피 등 매미의 생태를 가장 가까이서 보고 손으로 직접 만질수 있는 곳. 3년전 송유관이 평촌 도심을 지나는 노선을 탐사하던증 송유관 매립 뚝방 위 나무 기둥에 매미들이 잔뜩 매달린 것을 본 이후 도심속 매미 산란지 상태계 확인과 기록을 위해 매년 찾아가는곳이다.

[20230729] 군포 산본신도시 배치도

2023.07.29/ #아카이브 #기록 #자료 #산본신도시 #군포/ 산본신도시는 1988년 시흥군 군포읍 시절부터 시흥군, 대한주택공사 등이 공동으로 시흥산본지구주택건설사업을 계획한 것이 그 시초이다.이후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 당시 서울특별시의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해 대규모 신도시 계획이 세워졌고 이에 따라 평촌신도시, 중동신도시와 같이 정부 차원에서 신도시로 개발할 것을 결정하였다. 수용인구는 42,000여 가구, 170,000여 명으로 계획되었으며, 1992년 4월부터 입주가 시작되었다. 산본신도시는 진정한 의미의 자족적 '신도시'라기 보다는 신도시라는 명칭이 만들어진 노태우 정부 이전부터 이미 지속되었던 '택지지구'(예를 들어, 의왕시 내손주공, 광명시 하안주공, 인천광역시 연수지구 등[3])에 ..

[김진애]산본의 시작과 군포의 미래를 말하다-군포문화재단 대담

군포문화재단 2021_가을​ 산본 신도시가 생긴 지 30여 년. 그사이 도시는 수많은 시민들의 삶과 시간을 품으며 발전해왔다. 앞으로 산본, 그리고 군포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산본 신도시 도시설계에 참여했던 김진애 박사와 군포문화재단 성기용 대표가 만나 도시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에 대한 대담을 나누었다. ​산본, 군포와의 인연 군포의 산본 신도시에 대해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있다. 바로 김진애 박사다. 방송과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해온 김 박사는 산본 신도시와 인연이 깊다. 성 대표는 우선 그녀의 근황을 물었다. 18대 이후 21대에서도 국회의원직을 맡았던 김 박사. 21대 국회에서 그녀에게 맡겨진 일터는 법제사법위원회였다. ​“법사위는 정쟁이 뜨거운 곳이고, 제가 있..

[20230729]안양 학원가 귀인동 먹자골목 <곰보냉면>

2023.07.28./ #맛기행 #안양맛집 #안양곰보냉면 #평촌학원가/ 안양 평촌 귀인동 먹자골목의 함흥곰보냉면은 서울 광장시장 인근에 있던 곰보냉면 창업주인 한태은씨의 아드님이 운영하며 안양의 맛집으로 등극한 식당으로 안양에서 영업한지 30년이 되어간다.함흥냉면맛집 곰보냉면은 서울광장시장인근에 1960년 개점해서 57년을 운영하고 있는 곳으로 함경도 본토의 맛과 가장 비슷하다고 해서 실향민들의 인기를 얻고 있는 곳이다. 상호가 곰보냉면인 이유는 창업자가 얼굴에 곰보(천연두로 남는 흉터)가 있어 곰보사장이라 불리우면서 자연스럽게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곰보냉면 창업주는 한국전쟁 이전 함경도 함흥의 땡땡 냉면집에서 조리장으로 일하던 분이었는데 월남해 종로 광장시장 인근에서 냉면장사를 한 것이 시초다. 곰보..

[20230720]1976년 작성한 안양유원지 종합개발 완성 예상도

2023.07.29./#아카이브 #안양유원지 #개발 #기록 #자료/ 안양시가 1976년 작성했던 안양유원지 종합개발계획 완성 예상도. 안양유원지는 1970년까지 수도권 남부지역의 대표적인 놀이 및 휴양지로 '69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될 정도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던 곳이었다. 1969년 1월 21일 당시 교통부가 국민관광지로 지정함에 따라 안양풀 대신 안양유원지란 명칭으로 불려지기 시작했으며 1971년 7월30일 건설부 고시 제447호로 개발제한구역(일명 그린벨트)으로 지정된 데 이어 1973년에는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건축 및 재건축이 억제되는 당국의 특별관리하에 들어가면서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더욱이 230명의 인명피해를 낸 1977년의 안양 대홍수는 기존 유원지의 경관을 완전히 초토화시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