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생후 24~48개월 미만 아동을 돌보는 4촌 이내 친인척(조부모 등) 또는 이웃 주민에게 최대 월 60만 원을 지원하는 ‘2025년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신청을 2월 3일부터 받는다.
경기형 가족돌봄수당은 경기도의 대표 복지 정책 시리즈인 ‘360° 언제나 돌봄’ 중 하나로, 지난해 6월부터 시작해 3,993가구(아동 4,298명)가 지원받았다.
올해는 지난해 13개 시군에서 5곳이 늘어난 18개 시군(성남·화성·안양·파주·광주·광명·하남·군포·오산·양주·구리·안성·포천·양평·여주·동두천·과천·가평)이 참여하면서 양육 공백 가정 5천여 가구가 혜택을 볼 예정이다.
대상은 양육자(부 또는 모)와 아동(생후 24~48개월 미만)이 주민등록상 참여 시군에 거주하고,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이다. 다른 시도와 달리 부모의 소득제한은 없다.
돌봄비를 받는 돌봄 조력자인 조부모 등 4촌 이내 친인척은 다른 지자체 거주자도 가능하지만, 사회적 가족인 이웃 주민은 대상 아동과 같은 읍면동에 주소를 두고 1년 이상 거주자여야 한다. 친인척 외 사회적 가족(이웃 주민)까지 돌봄비를 지원하는 건 경기도가 전국 최초다.
월 40시간 이상 아동을 돌볼 경우 아동 1명은 월 30만 원, 2명은 월 45만 원, 3명은 월 60만 원을 받는다. 아동 4명 이상은 반드시 조력자 2명 이상이 함께 돌봐야 한다.
‘조부모 돌봄 수당’이 저출생 극복과 노인 일자리 창출, 시설 돌봄의 한계 극복, 일·가정 양립이라는 효과를 거두면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2011년 광주시를 시작으로 서울시가 2023년 9월 손주 돌봄 수당을 도입했고 경남도는 경기도와 비슷한 지난해 7월부터 비슷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부산시와 울산시 등은 준비 중이다.
윤영미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가족돌봄수당은 맞벌이·다자녀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하는 가정에 믿고 맡길 수 있는 실질적인 돌봄 조력자를 지원하는 정책”이라며 “부모의 양육 부담을 줄이고, 아이돌봄의 사각지대를 메꿔 더욱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안양지역뉴스 > 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126]경기지속협, 2024 사업보고 및 2025 정기총회 개최 (0) | 2025.01.27 |
---|---|
[20250114]경기도민 3월부터 '전국기후보험' 자동 가입 (0) | 2025.01.13 |
[20250108]기상청, 8일 오후 수도권 전역에 한파주의보 발령 (0) | 2025.01.08 |
[20250107]2024년 지역안전지수 의왕-우수, 안양.군포-양호 (1) | 2025.01.07 |
[20250107]우리고을 공공기관 2024년 정보공개 종합평가 결과 (0) | 2025.01.07 |
[20250101]안양군포의왕 2024년도 종합청렴도 점수 저조 (0) | 2025.01.01 |
[20241206] 경기중부시민사회단체 '송년회' 잠정 연기 (0) | 2024.12.06 |
[20241129]정치검찰과 사법카르텔 해부 대토론회 12월 3일 (2) | 2024.11.29 |
[20241113]수리산 관통 시흥~수원 고속화도로 사업 폐기하라 (2) | 2024.11.13 |
[20241103]전국 지자체 브랜드평판 안양 19위, 의왕108위 군포 129위 (0)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