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보따리/기억

[기억-정진원]1950년대 안양시장(구시장) 이야기

안양똑딱이 2017. 3. 24. 00:02

[정진원]그곳에 ‘안양시장’이 있었다
 
50년 전 안양시장(市場)은 그야말로 궁벽한 산골 촌놈을 어리둥절케 한 별유천지였었다. 당시 수푸르지(지금 비산동)에서 안양천 다리(지금 임곡교)를 건너서 철길을 넘어 경수국도까지의 오른편 넓은 터에 안양시장이 자리 잡고 있었다. 아마도 당시 안양의 유일한 시장이었을 것이다. 현재는 상전벽해 시장의 흔적조차 찾을 길이 없다. 엄마 치맛자락을 붙잡거나 머슴의 지게꼬리를 잡고 힘겹게 걷고 걸어서 그곳엘 갔었다. 구리고개 언덕에 올라서서 한숨을 내쉬면 멀리 신세계 안양의 바람이 불어오는 듯했었다.  
구리고개 밑에 운곡 마을을 오른쪽에 두고 산모롱이를 돌면 제법 곧게 된 한길이 뻗어있었는데, 거기를 걸으면서 안양쪽을 보면 기차가 하얀 연기를 뿜으면서 지나가는 모습이 보이고, 태평방직 공장의 옆모양이 거대한 톱날처럼 보였었다. 풍차를 거인의 팔로 보고 놀랐던 돈키호테가 그것을 보았다면 어떤 생각을 했을까? 왼쪽으로 밤나무가 띄엄띄엄 서있고, 오른쪽으로는 야산에 큰 바위가 있었던 길 끝에서 산자락을 돌아서면 수푸르지 동네였다. 안양의 문간 동네처럼 가게들도 있고 민가도 여러 채 있었던 마을이었다.
수푸르지 다리를 건너면 바로 안양시장이 된다. 다리를 건너면서 왼편으로 태평방직공장, 오른쪽 작은 둔덕 아래는 소시장터였다. 소시장은 장날에만 열리고 여느 날에는 쇠말뚝만 뎅그러니 군데군데 박혀있고 쇠똥 냄새가 풍겨나는 곳이었다. 소시장 앞길에는 겨울철이면 마차에 땔나무를 잔뜩 싣고 와서는 바이어들을 기다리는 황소의 워낭소리에 하얀 콧김이 섞여 퍼져나가고 있었다. 철길 쪽으로 나가면서 닭집이 있었는데, 먼 곳 시골까지 와서 닭을 사다가는 그곳 작은 닭장에 넣고 파는 집이었다. 그 닭집 아저씨 얼굴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별에 별 물건을 파는 가게들이 길가에 즐비했었다. ‘아이스케키’는 작은 통에다 넣어서 짊어지고 다니면서 팔았었는데, 그 시장 중간 길가에는 테이블을 몇 개 놓고 그것을 공장도 가격으로 파는 가게가 있어서, 그것을 사먹으려고 이십 리 밤길을 마다않고 걸어갔었던 생각이 난다. 철길과 경수국도(京水國道) 사이에는 간, 천엽, 순대 등을 파는 좌판이 있었고, 철길에 거의 붙어서는 만년필 가게가 있었다. 지금의 볼펜류가 나오기 전 만년필은 당시로서는 문방의 보배처럼 대단한 것이었다. 당시 가게 주인은 만년필 진열대 크기만큼의 작은 키의 아저씨였다.
종로의 육의전(六矣廛)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었다. 안양시장이 안양 근동의 육의전이면서 시전이었다. 안쪽으로 들어가면 무명, 본견과 인견, 모시, 베 등을 파는 피륙전이 있었고, 그곳에서 한복을 지어팔기도 했었다. 냉장시설이 요즘 같지 않은 때여서 생선을 파는 가게는 거의 없었고, 염장한 고등어나 아지, 꽁치를 파는 가게와 건어물 가게들이 많았다. 과일전이라야 배, 사과와 고장 토산인 감, 밤, 대추 등을 파는 정도였다. 채소류 및 양념류를 파는 가게가 있었는데, 그곳에서 파는 ‘사카린’인가를 사서 우물물에 풀어서 마시곤 했었다. 각종 솥, 양은 냄비 등 주방 기구 등을 밑에서부터 크기순으로 쌓아놓고 팔기도 했었다. 주로 창호지와 도배지를 파는 지전도 있었다. 여러 모양의 장독을 파는 가게는 시장 뒤편에 있었다.
시장 뒤쪽으로 들어가면 돼지 내장탕, 순대국 등을 파는 곳, 설렁탕집이 있었다. 뒷골목으로는 막걸리집 몇 채가 자리 잡고 있었다. 비가 오면 시장 전체가 검은 흙으로 질퍽거렸는데, 그런 날이면 물건을 사려는 사람보다 막걸리집을 찾는 사람들이 더 많았었던 것 같았다. 저녁 무렵 그 막걸리집들이 있는 시장 뒷골목에는 난전(亂廛)이 서서 난장판이 되곤 했었다. 당시 막걸리집에는 몇 명씩 작부를 두고 있었는데, 이른 봄 땅에 묻어두었던 배추나 무를 파내서 머슴 지게에 얹어 안양장에 팔러 보내곤 했었다. 머슴은 그때 그 막걸리집에서 낮술에 취했고, 눈에 들어온 작부의 견인에 포로가 되어서 일 년 새경을 며칠 밤에 작부에게 헌납하고 돌아와서는 다시 ‘시시포스의 바위’를 굴렸었다.